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네팔의 경제

다른 표기 언어

네팔은 대체로 농업에 바탕을 둔 시장경제체제를 이끌어가고 있다. 중국·인도·독일·미국·캐나다·스위스 및 국제기구의 원조에 많이 의존하고 있다.

인구가 늘어나는 것만큼 빨리 경제성장이 이루어지지 않아 1인당 국민총생산(GNP)이 세계에서 가장 낮은 나라에 속한다.

농업이 GN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절반이 넘으며 노동력의 9/10 이상이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 전체 토지 면적 가운데 경작이 가능한 땅은 1/5 정도를 넘지 않으며 농업 생산성이 아주 낮다. 카트만두 남동쪽에 발전소가 세워지면서 관개가 가능한 땅이 약 5% 늘어났다.

네팔은 자급자족할 수 있을 정도로 농사를 짓지만 식량 공급과 수요의 혼란으로 큰 곤란을 겪고 있는 지역도 있다.

주요산물은 쌀이며 옥수수·밀·감자·사탕수수·기장도 많이 재배한다. 히말라야 산맥 비탈면에서 자라는 의약용 약초가 주요 생산품목으로 손꼽히며 소·물소·염소·양 같은 가축류도 기르고 있다.

주요산업은 임업이다. 통나무 원목 벌채가 주종을 이루는데, 이들 원목은 거의 연료로 쓰여 네팔에서 소비되는 에너지 대부분을 공급한다.

이런 식으로 나무를 연료로 쓴 결과, 숲이 파괴되면서 심각한 침식현상이 일어났다.

거의 개발되지 않은 상태의 석탄(갈탄)·구리·마그네사이트·코발트·철광상이 매장되어 있다. 카트만두 가까운 곳에서는 운모가 채굴된다. 광업 부문은 GNP의 4%, 전노동력의 1%미만을 차지하는 정도의 발전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제조업 부문에서 국내 원자재 사용을 늘리려는 노력이 정부의 주도 아래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제조업은 면의류·벽돌·타일·제지·건설자재·가공식품 산업이며 바구니·식용유·면직물 같은 전통제품은 가내수공업으로 생산되고 있다.

건설은 GNP에서 6% 정도를 차지하며 금융을 포함한 서비스업은 GNP의 1/5을 차지한다.

주요 외화획득원으로서 관광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외국 관광객들에게 필요한 편의시설을 갖춘 지역은 카트만두 강 유역뿐이다. 1978년 네팔 정부는 석가모니가 태어난 룸비니 동산을 그리스도교의 예루살렘, 이슬람교의 메카에 버금가는 세계적인 불교 성지순례지로 조성하려는 야심찬 7개년 개발계획을 세웠지만 빈약한 기반시설과 재정 사정 때문에 제대로 추진하지 못하고 있다.

전력은 거의 수력발전을 통해 공급된다.

1인당 전기 소비량은 대부분의 다른 아시아 국가에 비해 많이 낮은 편이며 전력 공급은 도시지역에서도 상당히 제한되고 있다.

재정지출(개발을 위한 지출도 포함)은 정기 세입을 훨씬 넘어선다. 세입은 거의 관세, 내국소비세, 사업체와 개인들이 내는 세금에서 나온다. 재정수입과 지출에서 생기는 차액은 주로 외부 원조를 통해 보충된다.

정기예산은 대체로 대부상환·국방·일반행정·경제활동·사회복지사업·교육에 할당된다. 외국에서 받는 원조의 대부분은 정부의 5개년 개발 계획에 쓰인다.

네팔의 해외무역은 인도가 관할하며 네팔은 제한된 운송권만을 갖고 있다. 네팔의 주요수출품은 면의류·곡물·황마·목재·유료종자·기(ghee:정제 버터)·감자와 의료용 약초 및 짐승가죽이다. 자본과 소비재 상품, 광물 연료, 화학 제품은 거의 수입에 의존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아시아

아시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네팔의 경제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