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충청남도 중앙부에 있는 공주시의 유물·유적 현황과 관광 자원 현황.
차령산맥 남동쪽에 있어 계룡산 국립공원을 비롯한 수려한 경관과 선사 및 백제시대의 유적, 그리고 동학사·갑사 등 관광자원이 풍부하다.
시내에는 국가지정문화재(국보 16, 보물 18, 사적 7), 도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 31, 기념물 19, 민속자료 2, 무형문화재 4), 문화재자료 33점이 있다.
선사시대의 유물·유적으로는 소학동 일대의 구석기시대 유물이 있으며 장기면 장기리의 구석기 유적과 탄천면 남산리의 기반식고인돌, 반포면 상신리의 선돌과 탄천면 송학리 독무덤 등 청동기시대의 유적이 있다.
또한 공주 신관리 석실고분을 비롯해 박산리·구암리·남산리 등 각지에 백제고분이 있다. 백제 유적인 송산리고분군(宋山里古墳群:사적 제13호)은 무령왕릉을 비롯한 6기의 고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찬란한 백제문화의 모습을 생생히 전하고 있다. 특히 무령왕릉은 수많은 국보급 유물을 간직한 채 완전히 보존된 상태로 발굴되었다.
무령왕릉의 유물은 왕과 왕비의 금제관식(국보 제154호)·금제심엽형이식(국보 제156호)·금제수식부이식(국보 제157호)·금제경식(국보 제158호)·금제뒤꽂이(국보 제159호)·은제팔찌(국보 제160호)·청동신수경외(靑銅神獸鏡外:국보 제161호)·석수(石獸:국보 제162호)·지석(誌石:국보 제163호)·두침(頭枕:국보 제164호)·족좌(足座:국보 제165호) 등이며, 모두 공주국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또한 백제의 도성으로 추정되는 공산성 내에는 쌍수정사적비(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35호)·명국삼장비(明國三將碑: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36호)·공북루(拱北樓: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37호)·광복루(光復樓: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50호)·진남루(鎭南樓: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48호)·연지(蓮池:충청남도 기념물 제42호) 등이 있다.
불교문화재로 갑사의 갑사철당간 및 지주(보물 제256호)·갑사부도(보물 제257호)·감지은니묘법연화경권1(紺紙銀泥妙法蓮華經卷一:보물 제269호)·감지은니묘법연화경권6(보물 제270호)·갑사동종(보물 제478호)·선조2년간월인석보판목(宣祖二年刊月印釋譜板木:보물 제582호)과 마곡사의 마곡사5층석탑(보물 제799호)·마곡사영산전(보물 제800호)·마곡사대웅보전(보물 제801호)·마곡사대광보전(보물 제802호) 등이 있으며 사찰유적인 대통사지에는 당간지주(보물 제150호)와 함께 중동석조(보물 제148호)·반죽동석조(보물 제149호) 등의 유적이 있다.
이밖에 수원사지(충청남도 기념물 제36호), 석굴사원인 남혈사지(충청남도 기념물 제35호)와 서혈사지(충청남도 기념물 제37호)·주미사지(충청남도 기념물 제38호) 등의 사찰유적이 있다. 동학사에는 사육신을 초혼하기 위해 지은 숙모전(肅慕殿)이 있으며, 계룡산신에게 제사지내는 계룡산중악단(鷄龍山中嶽壇:일명 계룡단)이 신원사에 있다.
또한 계룡산마애불·공주구릉사지·영규대사비 등의 불교문화재도 널리 분포한다. 그밖에 신라시대의 효자향덕비(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99호), 고려시대의 효자이복비를 비롯해 공주향교(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75호)·선화당(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92호)과 봉정동의 동학혁명군 위령탑 등의 유물·유적이 남아 있다.
백제문화의 유물·유적은 주로 공산성·송산리고분군·공주국립박물관에 집중되어 있으며, 대표적인 관광지로 계룡산의 갑사·동학사·신원사·마곡사 등이 있다.
또한 공주시를 가로지르는 금강은 공산성 연변과 곰나루 일대에서 절경을 이루어 보는 이의 마음을 사로잡는 안온함이 깃들어 있다. 대표적인 관광코스로는 공산성 진남루-쌍수정-왕궁추정지-광복루-영은사-연지-공북루-무령왕릉-곰나루-공주국립박물관-우금치-동학혁명군위령탑에 이르는 코스와 중심시가지-갑사-군자대-동학사에 이르는 코스 등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공주시 유물·유적·관광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