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1960년대 이후 농촌인구의 이농현상으로 공주군도 지속적인 인구감소현상을 보였다. 1990년의 인구는 9만 2,880명으로 1980년에 비해 44.5%의 인구감소를 보였다. 행정구역이 확대된 1970~75년에 감소율이 둔화되었으나 1980년대 이후 그 폭이 증대되었다. 1986년 공주시로 승격된 이후 인구가 크게 위축되었다. 1990년 인구이동은 전출이 59.3% 정도 많았으며, 전출인구 중 도외로의 유출인구가 전체의 61%를 차지했다. 한편 1995년 통합 이전의 공주시는 과거 공주읍 당시부터 지속적으로 인구가 성장해온 곳으로 1990년에는 6만 5,195명으로 1980년에 비해 49.6%의 높은 인구증가율을 나타냈다. 통합 이후인 1995년의 인구는 13만 9,101명으로 100% 이상의 인구 증가율을 보였다. 2024년 기준 인구는 10만 1,906명으로 감소했다.
통합 이전 공주군은 1960년대 이후 가속화된 산업화과정에 수반된 농촌인구의 이농현상으로 1965년 20만 2,707명의 인구를 기록한 이후 지속적인 인구감소현상을 보였다. 1990년의 인구는 9만 2,880명으로 1980년의 16만 7,406명에 비해 7만 4,526명이 감소해 44.5%의 대폭적인 인구감소를 보였다.
행정구역이 확대되었던 1970~75년에 감소율이 다소 둔화되었으나 1980년대 이후 감소의 폭이 증대되었다. 특히 1986년 공주읍이 공주시로 승격된 이후 이 지역은 크게 위축되었다. 1990년 현재 인구이동은 전입 7,248명, 전출 1만 1,547명으로 전출이 59.3% 정도 많았으며, 전출인구 중 도외로의 유출인구가 전체의 61%를 차지했다. 한편 1995년 통합 이전의 공주시는 과거 공주읍 당시부터 지속적으로 인구가 성장해온 곳이다.
1980년에 4만 3,574명으로 1970년의 3만 4,110명에 비해 9,464명이 증가하여 27.7%의 인구증가율을 보였으며, 1990년에는 6만 5,195명으로 1980년에 비해 2만 1,621명이 증가하여 49.6%의 높은 인구증가율을 나타냈다. 통합 이후인 1995년의 인구는 13만 9,101명으로 무려 100% 이상의 인구 증가율을 보였다. 그러나 높은 인구증가 현상은 인구의 자연증가나 사회증가에 의한 것이라기보다는 행정구역개편에 따른 공주군과의 통합에 의한 것이다.
2024년 기준 인구는 10만 1,906명으로 다소 감소했다. 행정구역별 인구를 보면 신관동(1만 9,297명)·월송동(1만 6,389명)·웅진동(7,598명)이 많고 사곡면(2,765명)·탄천면(2,792명)·이인면(3,044명)이 적게 분포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충청남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