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공주시 산업과 교통

다른 표기 언어

요약 충청남도 중앙부에 있는 공주시의 산업 현황과 교통 현황.

공주시 논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총경지면적 180.62㎢ 중 논이 118.90㎢, 밭이 61.72㎢, 경지율 19.2%로 논이 많다(2006). 하운(河運)의 쇠퇴, 토지개혁 등으로 전통적인 경제기반이 무너지고 1931년 도청이 대전으로 이전되자, 충남의 행정과 경제의 중심지였던 이곳은 소규모 영세업체를 중심으로 하는 소비지향적 농촌 서비스 중심도시로 기능이 변모했다. 통합시 이전 공주시의 산업구조는 3차산업 종사자가 70% 이상으로, 산업구조의 불균형을 보여 도시 생산기반이 취약했다. 이는 인구의 절반 이상이 학생인 것과 관련이 있었는데 농촌지역인 공주군과 하나의 도농통합시를 이루어 산업구조가 개선되고 지역경쟁력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1995년 산업별 종사자를 중심으로 산업구조를 살펴보면 1차산업종사자가 44.8%, 2차산업종사자가 6.6%, 3차산업종사자가 48.6%이다. 주요농산물은 쌀·보리·콩·감자·고구마·엽연초·목화 등이다. 특히 채소류는 장기면·정안면, 특용작물은 유구읍·계룡면·탄천면, 과실류는 유구읍·우성면 등지에서 많이 생산된다. 유구읍에서는 활석이 많이 생산된다. 2006년 현재 제조업체는 총 179개소에 종업원수는 4,377명이다. 주로 섬유업체 등의 소규모업체가 입지해 있다. 중심시가지의 상권이 확대되면서 5일 정기시장은 유구시장·산성시장 등 2곳만 남아 있다.

예로부터 각 지역으로 사통팔달한 육로와 금강을 이용한 수운의 편리함으로 충남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다. 철도는 통과하지 않으나 방사상으로 뻗은 도로망을 통해 천안·예산·청양·부여·논산·청주 등지와 연결되어 교통의 요지로서의 위치는 오늘날에도 크게 흔들리지 않고 있다. 더욱이 정부가 중부권개발사업의 일환으로 검토하고 있는 보령-공주-안동을 잇는 동서횡단고속화도로와 천안-공주-논산을 잇는 고속도로가 개통되면 공주시는 중부권의 교통의 요지로 부각될 것이다.

1987년 중심시가지의 강남·북을 잇는 공주대교의 완공으로 강북의 신관동 일대가 신시가지로 개발되어, 기존의 강남지역과 균형있는 발전을 꾀하게 되었다. 또한 시 외곽도로의 건설로 도심지역 교통난 해소와 교통의 중심성이 더욱 증대되었다. 도로총길이 963.69km, 도로포장률 66.9%이다(2006).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충청남도

충청남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공주시


[Daum백과] 공주시 산업과 교통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