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충청남도 중앙부에 있는 공주시의 자연 지형과 기후, 식생 등의 현황.
시의 전체적인 지세는 천혜의 요새를 이루는 분지형이다. 시의 북서부에는 차령산맥이 북동에서 남서방향으로 뻗어 있어 봉수산(534m)·금계산(575m)·국사봉(591m)·갈미봉(515m)·무성산(613m) 등 높은 산이 많다. 시의 남동부에는 대전광역시와 논산시와의 경계를 이루며 계룡산(845m)이 자리잡고 있다. 전체 모양이 마치 닭의 볏을 쓴 용과 같다고 하여 이름 붙여진 계룡산은 1968년에 지정된 국립공원으로서 산세가 신비롭고 그윽해 일찍이 민간신앙이 싹터온 곳으로 유명하다.
우성면·정안면·사곡면에 걸쳐 있는 무성산은 울창한 혼합림을 이루고 있으며, 고위평탄면을 이용한 고랭지무 재배지역이기도 하다. 그밖에도 곳곳에 200~300m 정도의 구릉성산지가 널리 분포하며, 중앙부의 하천유역에는 평야가 펼쳐져 있어 전체적으로 분지형태를 이루고 있다. 분지형의 천혜의 요새로서 인근 지방과 연결되는 곳에 청양 방면의 솔치고개, 예산을 잇는 차령고개, 아산 방면의 각흘고개, 천안 방면의 장고개·곡두재고개 등 많은 고개가 있다.
전라북도 무주군과 장수군에서 발원해 연기군을 거쳐온 금강은 장기면을 지나 공주시 중심시가지를 흐르다가 다시 우성면과 이인면의 경계를 따라서 부여군으로 흘러간다. 금강에는 정안면에서 흘러내리는 정안천과 유구읍에서 시작된 유구천이 흘러들고 이인면으로 빠지는 용성천을 비롯해서 대교천·구곡천·노성천·도천 등 여러 갈래의 하천이 합류하며, 이들 하천의 양안에 비옥한 범람원이 이루어져 있다. 특히 유구천과 정안천이 금강과 만나는 지역과 계룡면의 노성천 연변에 발달한 저평한 범람원은 이 지역의 대표적인 경작지대를 이루고 있다.
계룡저수지·신원사저수지·한천저수지·운궁저수지 등이 농업용수로 이용된다. 중심시가지의 서쪽에는 반달 모양의 봉황산(147m)이 봉황동·반죽동·금학동·교동에 걸쳐 있으며, 동쪽에는 봉화대(313m)가 시가지를 굽어보고 있다. 한편 중심시가지에서는 금강이 동서로 중앙부를 관류하면서 공산성을 휘돌아 활처럼 흐르고, 남북으로는 남쪽 주미산에서 발원하여 정지산 북쪽에서 금강과 합류하는 제민천이 흐르고 있다. 금강 유역의 월미동·쌍신동·신관동·검상동 일대에 발달한 저평한 범람원은 벼농사에 이용되고 있다.
금강 유역은 가을과 겨울철에 금강의 수온에 의해 복사무가 형성되어 안개가 끼는 날이 많다. 통합 전 공주시 지역의 연평균기온은 13.0℃ 내외, 1월평균기온은 -3.6℃ 내외, 8월평균기온은 27.7℃ 내외이고, 연평균강수량은 1,564㎜로 많은 편이다. 이 지역은 산림대로 보면 활엽수림지대에 속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소나무와 각종 활엽수 및 참나무 등의 혼효림이 탁월하다. 한편 통합 전 공주군 지역의 연평균기온은 11.3℃ 내외, 1월평균기온은 -3.0℃ 내외, 8월평균기온은 25.1℃ 내외이고, 연평균강수량은 1,329.6㎜ 정도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