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원시사회가 해체된 후 중세 봉건제사회가 시작되기 전까지의 시기에 해당되는 동양 사회의 특징.
고대 인도문명은 일찍 성립하긴 했지만 자료의 부족으로 많은 부분이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다만 독특한 신분제도인 카스트 제도와 함께 촌락공동체적 토지소유를 들어 역사적 정체성을 지적하기도 한다.
인도에서 성립한 불교는 이후 동양사회의 대표적인 종교로 발전했다. 중국은 전설상의 왕조인 하를 제외하면 은대부터 갑골문을 비롯한 많은 문자기록으로 상세한 연구가 이루어져 있다.
왕조별 변천을 보면, 황하 유역을 중심으로 성립하여 종법에 따른 분봉이 이루어지던 주나라가 춘추전국시대를 거쳐 무너지고 진이 성립했다. 이후 한(漢)-남북조-수-당을 거치면서 광대한 제국으로 발전했다. 그리고 공자에 의해 주장된 유교가 한대 이후 주류적인 정치사상으로 자리잡아 동양 각국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사회의 성격에 대해서는 노예제사회를 상정하는 견해와 이를 부정하는 견해가 나뉘어져 있다. 따라서 고대사회의 존속시기에 대해서도 매우 견해가 다양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태그 더 보기
사회
사회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