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다른 표기 언어 동의어 꽃벵이
요약 테이블
분류 절지동물문 〉 곤충강 〉 딱정벌레목 〉 꽃무지과
서식지 썩은 나무나 퇴비, 건초더미 등
학명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흰점박이꽃무지)
분포지역 러시아(시베리아), 한국, 일본 등

요약 딱정벌레목에 속하는 흰점박이꽃무지의 애벌레. 흔히 꽃벵이라 하며 약용이나 식용으로 사용한다.

개요

딱정벌레목에 속하는 흰점박이꽃무지의 유충이다. ‘흰점박이꽃무지 애벌레’ 혹은 ‘꽃벵이’라고도 부른다. 유충이란 태어나거나 부화한 후 성체가 되기 전인 유생이나 애벌레 단계를 말한다. 흔히 시장에서 판매하는 굼벵이는 대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인 경우가 많다.

흰점박이꽃무지

흰점박이꽃무지는 절지동물문 곤충강(곤충류) 딱정벌레목 꽃무지과의 동물이다. 몸 길이는 17~22mm, 폭은 12~15mm로 광택이 있으며 전체적으로 구릿빛이나 붉은빛을 띤다. 껍질에는 황백색 무늬가 흩어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색 변이가 많은 편으로 녹색이나 흑색, 보라색 등을 띠는 개체도 있다. 흰점박이꽃무지는 나비처럼 알에서 애벌레, 번데기를 거쳐 성충이 되는 갖춘탈바꿈을 한다.각주1)

흰점박이꽃무지

ⓒ Udo Schmidt/Flickr | CC BY-SA

서식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은 썩은 나무나 낙엽이 쌓인 곳, 건초더미, 퇴비 등 부식성 토양에서 서식한다. 과거에는 초가지붕 밑에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이 흔하게 발견되기도 했다. 유충을 키울 때는 볏짚이나 참나무 톱밥 등을 썩혀 먹이로 사용할 수 있다. 성충은 참나무류나 귤나무류, 닥나무류 등의 수액이나 과즙을 먹는다. 여름에는 수박이나 참외 같은 과일 근처에 모이기도 한다.

활용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은 오래전부터 약용으로 쓰였다. 주로 부스럼 치료나 통증 완화에 활용했으며 《동의보감》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이 간 질환 등의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또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은 단백질 함량이 풍부해 식용으로도 사용한다. 수분을 제거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100g당 단백질 함량은 58g 정도다. 참고로 닭가슴살의 단백질 함량은 100g당 23~25g이다.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지방 함량은 100g당 18g 정도다.

2014년 식품의약품안전처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한시적 식품원료로 지정했다. 한시적 식품원료는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인증한 특정 업체에 한해 가공, 판매할 수 있는 재료다. 이와 달리 모든 영업자가 다양하게 제조·가공해 판매할 수 있으려면 일반식품원료로 지정되어야 한다.

2017년 1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꽃벵이)과 장수풍뎅이 유충(장수애)이 일반식품원료로 지정됐다. 이에 따라 모든 영업자가 꽃벵이와 장수풍뎅이 유충을 식품 원료로 사용할 수 있게 됐다. 두 종류 이외에 일반식품원료로 지정된 곤충은 누에 번데기와 메뚜기, 백강잠(누에)각주2) , 고소애(밀웜)각주3) , 쌍별이(쌍별귀뚜라미)가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정보센터, 한국의 곤충자원, http://www.genebank.go.kr/pb/main.jsp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딱정벌레 종류

추천항목


[Daum백과] 흰점박이꽃무지 유충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