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개최지 | 프랑스 파리 |
---|---|
대회 기간 | 2024년 7월 26일(금) ~ 8월 11일(일) |
대회 규모 | 206개 국가 10,500명 |
주경기장 | 스타드 드 프랑스(폐막식) |
올림픽 경기 종목 | 32개 종목 329개 세부 종목 |
종목 | 3대3농구, 골프, 근대5종, 체조, 농구, 다이빙, 레슬링, 마라톤 수영, 배구, 배드민턴, 복싱, 브레이킹, 비치발리볼, 사격, 사이클, 서핑, 수구, 수영, 스케이트보드, 스포츠클라이밍, 승마, 아티스틱 스위밍, 양궁, 역도, 요트, 유도, 육상, 조정, 체조, 축구, 카누, 탁구, 태권도, 테니스, 트라이애슬론, 트램폴린, 펜싱, 하키, 핸드볼 |
한국 선수단 규모 | 21개 종목, 선수 143명, 지도자 117명 |
한국 참가 종목 | 골프, 근대5종, 레슬링, 배드민턴, 복싱, 브레이킹, 사격, 사이클, 수영, 스포츠클라이밍, 승마, 양궁, 역도, 요트, 유도, 육상, 체조, 탁구, 태권도, 펜싱, 핸드볼 |
사이트 | https://olympics.com/ko/paris-2024 |
요약
2024년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한 하계 올림픽. 제2회(1900년), 제8회(1924년)에 이어 100년만에 파리에서 개최된 올림픽 대회이다. “와서 나누자(Venez partager)”라는 슬로건 아래, 32개 종목 329개 세부 종목을 두고 전 세계 200여개 국 1만 500여 명의 선수들이 참가했다. 파리 올림픽에는 브레이킹, 스케이드보드, 스포츠클라이밍, 서핑 종목이 추가되었다. 숙소에도 냉방기를 설치하지 않는 등 친환경 건축, 재생 가능 에너지 사용, 낮은 탄소 발자국 목표 등을 통해 지속 가능한 올림픽을 목표로 했다. 파리 한복판을 흐르는 센강에서 개막식이 열린 파리 올림픽에서 21개 종목에 선수 143명, 지도자 117명이 참가한 대한민국 대표팀은 금메달 13개, 은메달 9개, 동메달 10개를 거두어 종합 메달 순위 8위의 성과를 올렸다.
정의
프랑스 파리에서 1924년 이후 100년만에 개최된 하계 올림픽 대회. 제2회 대회였던 1900년 이후 프랑스 파리에서 3번째로 개최된 하계 올림픽이기도 하다.
프랑스 파리에서 100년만에 다시 열린 올림픽 대회
2024년 파리 올림픽 대회는 1924년 파리 올림픽 대회 이후 100년만에 개최된 하계 올림픽 대회이다. 2017년 국제올림픽위원회(IOC)에 의해 최종 개최도시 후보로 선정되었던 프랑스 파리와 미국 로스앤젤레스가 합의하여, 2024년 하계 올림픽 대회는 파리 올림픽 100주년을 기념하여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하기로 하고, 로스앤첼레스는 2028년 하계 올림픽을 개최하게 되었다.
2024년 파리 올림픽 대회는 혁신과 지속 가능성, 공유를 주제로 삼고 준비되었다. 올림픽 개최를 위해서 파리와 주변 도시의 기존 시설을 최대한 활용하며, 지역 주민들의 실수요가 있을 경우에만 신규 시설을 건설했다. 탄소배출량을 최소화하도록 숙소에도 냉방기를 설치하지 않는 등 친환경 건축, 재생 가능 에너지 사용 등을 통해 지속 가능한 올림픽을 목표로 추진되었다.
또한 센 강에서 트라이애슬론 종목이, 샹젤리제 거리에서는 사이클링 종목이, 에펠탑 아래 샹 드 마르스에서는 비치발리볼 종목이 열리는 등 파리 중심가의 거리와 고풍스런 유적도 경기장으로 활용되었다. 파리가 주최도시이지만, 파리뿐 아니라 해외를 포함한 그밖의 프랑스 지역에도 경기장이 배치되었다. 요트 경기는 마르세유에서, 축구는 파리를 비롯하여 보르도, 리옹, 생테티엔, 니스, 낭트, 마르세유에서 펼쳐지며, 핸드볼 경기는 릴에서, 서핑은 환상적인 파도를 자랑하는 타히티의 테아후푸 해변에서 진행되었다.
경기 종목
2024년 파리 올림픽 대회는 3대3농구, 골프, 근대5종, 체조, 농구, 다이빙, 레슬링, 마라톤 수영, 배구, 배드민턴, 복싱, 브레이킹, 비치발리볼, 사격, 사이클, 서핑, 수구, 수영, 스케이트보드, 스포츠클라이밍, 승마, 아티스틱 스위밍, 양궁, 역도, 요트, 유도, 육상, 조정, 체조, 축구, 카누, 탁구, 태권도, 테니스, 트라이애슬론, 트램폴린, 펜싱, 하키, 핸드볼 등 32개 종목, 329개 세부 종목이다.
경기장 정보
파리 올림픽의 개막식은 경기장이 아닌 센강에서 열렸으며, 폐막식은 육상 경기장인 스타드 드 프랑스에서 열렸다. 경기장은 파리 상트르 존, 베르사유 존, 그랑 파리 존, 그 외 파리 외곽의 여러 도시의 경기장으로 구분되며, 올림픽 선수촌은 릴생드니, 메인프레스센터는 르부르제에 두었다.
종목별 경기장
3대3농구 : 플라스 드 라 콩코르드/파리 상트르 존
골프 : 르 골프 나시오날/베르사유 존
근대5종 : 아레나 파리 노르/그랑 파리 존(펜싱), 베르사유 궁전/베르사유 존
농구 : 베르시 아레나/파리 상트르 존(결승전), 피에르모루아 스타디움/릴(예선전)
다이빙 : 상트르 아카티크 올랭피크/그랑 파리 존
럭비 : 스타드 드 프랑스/그랑 파리 존
레슬링 : 그랑 팔레 에페메르/파리 상트르 존
마라톤 수영 : 알렉상드르 3세 다리/파리 상트르 존
배구 : 파리 엑스포 포르트 드 베르사유/파리 상트르 존
배드민턴 : 포르트 드 라 샤펠 아레나/그랑 파리 존
복싱 : 아레나 파리 노르/그랑 파리 존(예선, 4강전), 스타드 롤랑 가로스/파리 상트르 존(결승전), 쿠르 필리프 샤트리에 경기장/파리 상트르 존(본선)
브레이킹 : 플라스 드 라 콩코르드/파리 상트르 존
비치발리볼 : 에펠탑 스타디움/파리 상트르 존
사격 : 국립사격센트/샤토루
사이클 : 플라스 드 라 콩코르드/파리 상트르 존(BMX 프리스타일), 퐁디에나/파리 상트르 존(도로, 트랙), 베르사유 궁전/베르사유 존(도로 출발점), 벨로드롬 드 생캉탱앙이블린/베르사유 존(트랙, BMX)
서핑 : 타이라푸웨스트/타히티
수구 : 파리 라데팡스 아레나/그랑 파리 존(결승전), 상트르 아카티크 올랭피크/그랑 파리 존(예선)
수영 : 파리 라데팡스 아레나/그랑 파리 존, 스케이드보드 : 플라스 드 라 콩코르드/파리 상트르 존
스포츠클라이밍 : 르부르제 클라이밍 경기장/그랑 파리 존
승마 : 베르사유 궁전/베르사유 존
아티스틱 스위밍 : 상트르 아카티크 올랭피크/그랑 파리 존
양궁 : 앵발리드/파리 상트르 존
역도 : 파리 엑스포 포르트 드 베르사유/파리 상트르 존
요트 : 마르세유 구항구/마르세유
유도 : 그랑 팔레 에페메르/파리 상트르 존
육상 : 스타드 드 프랑스/그랑 파리 존, 퐁디에나/파리 상트르 존
조정 : 일 드 프랑스 나시오날 올랭피크 스타디움/베르쉐르 마른
체조 : 베르시 아레나/파리 상트르 존(기계체조, 트램펄린)
축구 : 파르크 데 프랭스/ 파리 상트르 존(예선, 결승전), 스타드 경기장/마르세유, 파르크 올랭피크 리요네/리옹, 스타드 마트무트 아틀랑티크/보르도, 스타드 조프루아 기샤르/생테티엔, 알리안츠 리비에라/니스, 스타드 드 라 보주아르/낭트
카누‧카약 : 일 드 프랑스 나시오날 올랭피크 스타디움/베르쉐르 마른
탁구 : 파리 엑스포 포르트 드 베르사유/파리 상트르 존
태권도 : 그랑팔레/파리 상트르 존
테니스 : 스타드 롤랑 가로스/파리 상트르 존, 쿠르 필리프 샤트리에 경기장/파리 상트르 존, 쿠르 쉬잔 랑글랑 결기장/파리 상트르 존, 쿠르 시몬 마티이 경기장/파리 상트르 존
펜싱 : 그랑팔레/파리 상트르 존
필드하키 : 이브 뒤 마누아르 스타디움/그랑 파리 존
핸드볼 : 피에르모루아 스타디움/릴(결승전)
성화대
2024 파리 하계 올림픽 대회의 성화대는 성화대는 열기구가 성화대 역할을 하는 지름 7m의 링을 매달고 공중에 떠 있는 형태로 디자인되었다. 지속 가능한 올림픽이란 취지에 맞게 화석 연료를 쓰지 않는 방식으로 고안되어, 성화대 링에 장착된 40개의 발광다이오드(LED) 프로젝터와 200여개의 고압 노즐에서 나오는 수증기로, 불꽃의 모양을 형상화했다. 열기구와 성화대는 공개된 장소인 튈르리 정원의 장식 연못에 설치되어 있으며, 낮에는 연못 위에 떠 있다가 오후 10시에 공중 부양을 시작해 새벽 2시까지 지상 60m 높이에 떠오르도록 하여, 주위에서도 성화대를 볼 수 있도록 했다.
엠블럼과 마스코트
엠블럼
2024 파리 올림픽 대회 엠블럼은 성화의 불꽃과 프랑스 혁명의 3대 상징물이며 자유의 여신으로도 알려져 있는 마리안을 형상화했다. 마리안은 서민적인 여성 이름의 상징이었는데, 프랑스 혁명 후에는 프랑스 혁명과 프랑스 공화국을 상징하는 캐릭터로 사용되어 왔다. 엠블럼의 흰 부분은 불꽃일 수도 있고 마리안의 얼굴일 수도 있다.
마스코트
2024 파리 올림픽 대회 마스코트는 올림픽 프리주이다. 마스코트 프리주는 프리기아의 전통적인 작은 모자를 모티브로 디자인되었다. 마스코트의 이름과 디자인은 자유의 상징이자 프랑스 공화국의 우화적 인물을 상징하고 있다. 마스코트 프리주는 프랑스 삼색 국기 색상인 파란색, 흰색, 빨간색으로 장식되어 있으며 가슴에는 황금색 파리 2024 엠블럼이 새겨져 있다.
한국 선수단
2024년 파리 올림픽 대회에 참가하는 한국 선수단 규모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대회 이후 가장 작은 규모인 21개 종목(골프·근대5종·레슬링·배드민턴·복싱·브레이킹·사격·사이클·수영·스포츠클라이밍·승마·양궁·역도·요트·유도·육상·체조·탁구·태권도·펜싱·핸드볼)에 선수 143명, 지도자 117명이 참가하며, 2024년 7월 9일 결단식을 가졌다. 북한에서는 레슬링·수영·탁구·체조 등의 종목에 선수 16명이 참가 등록을 마쳤다.
한국 선수단은 대회 첫날인 27일 펜싱 남자 사브르의 오상욱, 28일 사격 여자 10m 공기권총의 오예진, 양궁 여자 단체에서 연이어 금메달을 수확한 데 이어, 29일 사격 여자 10m 공기소총에서 반효진이 한국 하계 올림픽 사상 100번째 금메달 수확의 기록을 세웠다. 한국 양궁선수단은 양궁 단체 종목이 신설된 1988년 서울 하계 올림픽 대회부터 2024 파리 하계 올림픽 대회까지 10회 연속 금메달을 수확하는 기록을 세웠다. 4일에는 김우진이 양궁 남자 개인전에서 우승하면서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하계 올림픽 이후 8년 만에 양궁 5개 전 종목을 석권했다.
11일 막을 내린 파리 하계 올림픽 결과, 한국 선수단은 1976년 몬트리올 하계 올림픽 이후 최소 규모의 선수단을 구성하면서 금메달 5개, 종합 15위의 종합 메달 순위를 목표로 했으나 금메달 13개, 은메달 9개, 동메달 10개를 획득하여 종합 메달 순위 8위의 성과를 기록했다. 금메달 13개는 2008년 베이징 대회, 2012년 런던 대회에 이어 역대 한국이 참가한 올림픽 최다 타이 기록이었다.
이번 대회에서 한국은 특히 활·총·칼에서 빛나는 성과를 거두었다. 양궁은 남녀 개인전·단체전·혼성전까지 종목 사상 최초 5개 종목을 석권했고, 사격에서는 3개 종목에서 금메달을, 펜싱 남자 사브르는 단체전 3연패를 달성하고, 개인전에서 종목 최초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배드민턴은 28년 만에 여자 단식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직전 도쿄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던 태권도는 금메달 2개를 획득, 종주국의 명예를 회복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제33회 파리 올림픽 (2024년) – 올림픽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