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925년 9월 1일, 평안북도 정주(定州) |
---|---|
사망 | 2011년 2월 28일 |
주요활동 | 1943년 중국으로 망명한 이후 한국광복군 제3지대에 입대, 광복군 기관지인 『빛』 편집위원으로 활동 |
포상훈격 |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 |
관련 인물/단체 | 한국광복군, OSS |
1925년 9월 1일 평안북도 정주군(定州郡) 덕달면(德達面) 육성동(현 정주시 오성리)에서 출생하였다. 오산중학교(五山中學校)를 다니다가 1943년 12월 오산중학교 동지들과 함께 중국으로 망명하였다. 중국 쉬저우(徐州)에서 애국청년 규합을 위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1944년 11월 한국광복군 제3지대에 입대하였다.
한국광복군 제3지대에서 기관지 『빛』을 발간하는 등 홍보활동과 함께 초모(招募) 동지 호송과 연락장교로 활동하였다. 1945년에는 한 ・ 미 합작 OSS(Office of Strategic Services) 특수훈련을 받았다. 기관지 『빛』은 일제의 만행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및 한국광복군의 활동, 일본군의 패전상 등을 소개하고 독립사상을 고취시키는 내용을 주로 담았다. 박상기(朴相基) ・ 한이윤(韓伊尹) ・ 문수열(文洙烈) ・ 김문택(金文澤) ・ 박재곤(朴載坤) 등과 함께 『빛』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며 목판에 찍어 발간하였다.
1945년 1월 한국광복군 제3지대의 연락장교 김우전(金祐銓)은 사만(謝灣)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 OSS 파견대장 버치(John M. Berch)를 만나 상호 부대의 임무에 대해 소개하고 일본군에 관한 정보를 교환하였다. 김우전은 버치와 여러 차례 만나 한국광복군과 연합한 첩보공작을 논의하였다. 한국광복군에게 무전 통신 기술을 교육한 뒤 일본군 점령지구에 잠입시켜 군사정보를 얻어 무전으로 송신하는 것이었다. 김우전은 한미연합 첩보공작 계획을 김학규(金學奎) 지대장에게 보고하였다.
김학규 지대장은 김우전 ・ 버치와 함께 쿤밍(昆明)으로 이동하여 미 제14 항공단 사령관 첸놀트(Claire Lee Chennault, 1893–1958) 장군과 한미 연합 공동작전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 결과 한국광복군이 OSS훈련을 실시하는 것이 결정됨에 따라 OSS 훈련생을 선발하였다. 김용관(金容寬) ・ 한이윤(韓伊尹) ・ 이영순(李英淳) ・ 이철민(李鐵民) ・ 차성훈(車聖勳) ・ 이창도(李昌道) ・ 김하진(金夏鎭) ・ 오성규(吳成奎) ・ 조승희(趙昇熙) ・ 이신성(李信成) ・ 조대균(趙大均) ・ 정길주(鄭吉胄) ・ 전형운(田瀅雲) ・ 변수정(邊守靜) ・ 이창배(李昌培) ・ 김용인(金龍吝) ・ 김성환(金成煥) ・ 이아청(李雅靑) ・ 김성철(金成哲) 등과 함께 OSS 훈련생으로 선발되었다. 이들 대원들은 미군이 한반도에 상륙했을 때 내부에서 호응하여 함께 작전을 펼치기 위해 5월 중순부터 OSS 특수 훈련을 받았다.
이들 대원들은 특수훈련을 마친 뒤 국내 정진작전을 준비하던 중, 1945년 8월 15일 일제의 항복으로 OSS 합동작전은 실행에 옮기지 못했다. 총책임자 엄도해(嚴道海)와 훈련대장 윤영무(尹永茂) 등과 함께 8월 22일 본부로 귀대하였다.
한국광복군동지회 회장을 역임한 뒤 광복회 회장으로 재임 중이던 2011년 2월 28일 사망하였다. 장례는 사회장으로 치러진 뒤 2011년 3월 4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4묘역에 안장되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1977년 건국포장)을 수여하였다.
집필자 : 서태정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김승학, 『한국독립사』 하, 1972
- ・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편, 『독립운동사』 제6권, 1975
- ・ 한시준, 『한국광복군연구』, 일조각, 1993
- ・ 김광재, 『한국광복군』,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7
출처
<독립운동가의 업적을 인명사전으로> 3.1운동,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하여 그동안 축적된 연구기반 위에서 독립운동가의 업적을 사전적으로 종합, 정리하기 ..펼쳐보기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김영일 –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독립기념관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