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테이블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기강(Actinopterygii) > 농어목(Perciformes) > 바리과(Serranidae)
|
학명 |
Epinephelus poecilonotus (Temminck and Schlegel)
|
북한명칭 |
닷줄바리
|
분포지역 |
남해, 일본 홋카이도 이남, 남중국해, 인도양, 서태평양
|
형태
D ⅩⅠ, 14~15; A Ⅲ, 8; P1 17~19각주
몸과 머리는 측편되었고 긴 타원형이다. 꼬리지느러미 뒤 가장자리는 바깥쪽으로 둥글다. 종렬비늘 수는 110~136개, 측선공비늘 수는 54~65개이다. 몸은 황갈색을 띠고 등지느러미의 극조부 아래에 타원형의 큰 반점이 있으며, 이 점을 중심으로 4개의 점줄무늬가 아래쪽으로 둥근 반원형을 이루며 이어진다. 전장 약 50cm.
생태
연안의 얕은 곳과 약간 깊은 곳의 암초 지역에 서식하고, 연안에서 낚시에도 잡힌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내용
-
・ 어종의 동종이명, 최초로 발표된 문헌, 국내 최초 출현 기록문헌
-
・ Serranus poecilonotus Temminck and Schlegel, 1842, p. 6 (Japan). / Epinephelus poecilonotus : Mori, 1952, p. 86 (Busan).
글
김익수
집필자 소개
1942년 전라남도 함평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중앙대학교 대학원에서 이학박사를 수여 받았으며, 미국 노던일리노이대학에서 연수했다. 한국동물..펼쳐보기
1942년 전라남도 함평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중앙대학교 대학원에서 이학박사를 수여 받았으며, 미국 노던일리노이대학에서 연수했다. 한국동물분류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현재 전북대학교 생물학과 교수로 있으면서 한국어류학회 편집위원장을 맡고 있다. 어류 연구 분야에서 손꼽히는 학자로서, 책으로 『한국 동식물도감 동물편(담수어류)』『원색 한국 담수어류 도감』『원핵 한국어류 도감』『은빛 여울에는 쉬리가 산다』등이 있다.
1942년 전라남도 함평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중앙대학교 대학원에서 이학박사를 수여 받았으며, 미국 노던일리노이대학에서 연수했다. 한국동물..
출처
한국어류대도감
|
저자김익수 외 5인
|
cp명교학사
전체항목
도서 소개
우리 나라에서 출현하거나 서식하는 어류 1085종의 학명과 국명, 동종 이명, 형태적 특징, 생태 및 분포와 검색표를 수록하고, 어류 동정에 직접 이용될 수 있는 실제..펼쳐보기
우리 나라에서 출현하거나 서식하는 어류 1085종의 학명과 국명, 동종 이명, 형태적 특징, 생태 및 분포와 검색표를 수록하고, 어류 동정에 직접 이용될 수 있는 실제 표본 사진이나 그림이 제시된 원색도감이다.
우리 나라에서 출현하거나 서식하는 어류 1085종의 학명과 국명, 동종 이명, 형태적 특징, 생태 및 분포와 검색표를 수록하고, 어류 동정에 직접 이용될 수 있는 실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