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북종화

다른 표기 언어 北宗畵
요약 테이블
시대 조선
유형 개념용어
분야 예술·체육/회화

요약 직업화가들이 외면적 묘사에 치중하여 꼼꼼하고 정밀하게 그리는 산수화의 화풍.

내용

중국 명대(明代) 말기의 동기창(董其昌)과 막시룡(莫是龍)이 당대(唐代) 선종(禪宗)의 남북분파에 착안하여 중국회화를 출신 신분과 화풍에 따라 남북2종(南北二宗)으로 구분지은 데에서 생겨난 명칭이다.

주로 산수화에서 남종화와 대립되는 개념으로 쓰이며, 직업화가들에 의하여 외면적 형사(形似)에 치중하여 그린 기교적이고 장식적인 공필화(工筆畫) 계통의 그림을 일컫는다.

명대 말기의 분류 기준에 따르면 청록산수화(靑綠山水畫)를 비롯하여 북송의 곽희파(郭熙派)와 남송의 마하파(馬夏派) 산수화들이 여기에 해당된다. 우리나라에서는 남종화에 비하여 유입이 빨라 조선 초기 및 중기까지 화단의 주류를 이루었다.

그 대표작으로는 안견(安堅)의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1447년작, 일본 天理大學 소장)가 있으며, 청록산수화로는 조속(趙涑)의 「금궤도(金櫃圖)」(국립중앙박물관 소장)와 안중식(安中植)의 「도원문진도(桃源問津圖)」(삼성미술관 리움 소장)등이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한국남종산수화풍(韓國南宗山水畵風)의 변천(變遷)」(안휘준, 『삼불김원룡교수정년퇴임기념논총』Ⅱ, 일지사, 1987)
  • ・ 「동양화(東洋畵)의 남북종(南北宗)」(안휘준, 『군자사회』3, 1976)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멀티미디어 더보기 2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금궤도 / 조속


[Daum백과] 북종화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