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유물 조회순 목록
-
김덕령 장군 의복 (金德領 將軍 衣服) 김덕령장군의복은 조선 중기의 장군 김덕령의 묘에서 출토된 16세기 후기의 복식류이다. 1965년 광주 무등산에 있던 김덕령(1567∼1596..
-
백자 달항아리 (白瓷 달缸아리) 조선 후기에 만들어진 백자 항아리. 2007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2005년 8월 12일 보물로 지정되었다가 2007년 12월 17일 국보로..
-
논산 개태사지 석조 여래삼존 입상 (논산 개태사 석조삼존불입상, 論山 開泰寺址 石造 如來三尊 立像) 논산 개태사지 석조 여래 삼존 입상은 논산시 연산면 개태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삼존불상이다. 고려의 태조 왕건이 개태사를 짓고 940년에 불..
-
윤봉길 의사 유품 (尹奉吉義士遺品)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인 윤봉길(尹奉吉)이 사용하였던 유품 일괄. 1972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모두 13종 68점으로서 그 가운데 10종은 ..
-
불국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 (佛國寺 三層石塔 舍利莊嚴具) 불국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는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일명 석가탑)에서 발견된 통일신라 시대 사리장엄구 일괄 유물이다. 불국사 삼층석탑은 751..
-
예천 용문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목각아미타구품회도, 醴泉龍門寺木刻阿彌陀如來說法像)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사 대장전에 봉안되어 있는 1684년에 조각승 단응이 제작된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1989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용문사 ..
-
포항 오어사 동종 (浦項 吾魚寺 銅鍾) 경상북도 영일군 오천읍 오어사(吾魚寺)에 있는 고려시대의 범종. 1998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93.5㎝. 몸체에 새겨진 명문에 동화사..
-
양사오 문화 (Yangshao culture) 1921년에 허난 성 몐츠 현 양사오에서 발견되었다. 산시 성 웨이허 강 유역, 산시 성 서남부와 허난 성 서부의 협장 지대에 주로 분포한다..
-
방각본 (방간본, 坊刻本) 방각본이란 원래 중국의 남송 이후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서점에서 출판한 사각본을 일컫는 다. 한국에서 이 용어가 처음 사용된 것은 일본인 서..
-
하동 쌍계사 사천왕상 (河東 雙磎寺 四天王像)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에 봉안되어 있는 사천왕상. 쌍계사 천왕문 내에 봉안되어 있는 목조 사천왕상으로, 2004년 10월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