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1920년대 한국문학사적 특징, 종합 잡지 〈개벽〉 우리 문학사에 발자취를 남긴..이 잡지를 거쳐간다. 따라서 몇 차례의 판매 금지와 압수 또는 정간을 당하면서도 1926년 8월 1일자로 72호를 내기까지 『개벽』은 1920년대의 갖가지 문학 형태를 담아내는 큰 그릇 구실을 한다. 이후 『개벽』은 1934년에 속간되나 이듬해에 끊기며, 1946년에 복간된 뒤 통권 81호까지 이어지다가 1949년에 다시...
- 시기 :
- 1920년
-
20세기의 보수주의신문·잡지 등의 언론에서는 보수주의라는 말을 상원의원 배리 골드워터와 로널드 레이건(전 캘리포니아 주지사로서 1980년 대통령에 당선됨)과 연관된 공화당 분파를 지칭하는 것으로 막연하게 사용하고 있다. 현대 미국의 보수주의는 어빙 배빗의 〈민주주의와 지도력 Democracy and Leadership〉(1924) 또는 노벨...
-
19, 20세기의 역사학역사적 사건을 기술하는 방향으로 옮겨갔다. 브로델은 영향력있는 역사학 잡지 〈경제·사회·문명의 연보 Annales : économies, sociétés, civilizations...수량화에 크게 의존했다. 브로델의 업적은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쳐 20세기 후반에는 대부분의 역사가들이 경제적·사회적·지적 요인들을 과거의 역사가들...
-
-
-
1920년대 한국문학사적 특징, 〈백조〉의 깃발 아래로 〈장미촌〉의 동인들이 모여 만든 순문예지같은 잡지 5월호에 발표한 「항의 같지 않은 항의자에게」라는 글에서 자신의 비평이 주관적이기는 하지만 “말똥말똥한 정신”을 가진 책임 있는 주관이며, 김억의 항의가 “서푼짜리”도 못 된다고 반박한다. 이 글에서 그는 비평을 의고적 비평, 과학적 비평, 인상 비평, 감상 비평, 설리(設理) 비평 등 다섯 가지로...
- 시기 :
- 1922년
-
1930년대의 한국문학사적 특징, 〈문장〉과 〈인문평론〉 쳬계적이고 공정한 등단제도를 기반으..터져 나온 연대다. 신인들은 『동아일보』와 『조선중앙일보』 같은 일간지의 신춘 문예 공모에 응하는 것 외에도 자신의 글을 게재할 지면을 얻기 위해 잡지 투고와 동인지 활동 등 여러 각도에서 방법을 모색한다. 이에 걸맞게 1930년 『시문학』을 시작으로 『문예월간』 · 『문학』 · 『시원』 · 『조선문학...
- 시기 :
- 1939년
-
1910년대 한국문학사적 특징, 〈청춘〉과 〈학지광〉의 창간 근대 문학 발전에 기틀이 된 잡지들Charles Pierre Baudelaire)의 작품을 번역 · 소개하고, 백대진은 9호에 「20세기 초두(初頭) 구주(歐洲) 제(諸) 대문학가를 추억함」이라는 제목으로 상징주의...편집에 조언을 함으로써, 종합 잡지 성격의 동인지로 출발한 『학지광』은 점차 문예지 형태로 다듬어진다. 『학지광』과 『청춘』은 종합 잡지의 성격을...
- 시기 :
- 1914년
-
190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 최남선 애국 계몽 문학의 거장못했을까. 20세기 문명의 발신자가 아니라 언제나 그 수신자로서 살아온 우리의 비밀이 바로 이 제목 속에 숨겨져 있는 것은 아닌가. 한복이 양복이 되고 한옥이 양옥으로 바뀌는 대양(바다)의 문명 앞에서 우리는 1백 년 동안이나 소년이었다.”라고 말한다. 그러나 최남선은 여기에서 파격적인 운율과 의성어를 섞어...
- 출생 :
- 1890년
- 사망 :
- 1957년
-
1960년대 한국문학사적 특징, 민족 문학론을 이끈 〈창작과 비평〉 민족 문학의 산실처한 위기를 반영해야 하고 나아가 그 구성원 대다수의 복지를 위한 전망을 제시해야 한다.”는 목적 의식을 내세운 계간지 『창작과 비평』을 창간한다. 잡지의 제호인 『창작과 비평』은 백낙청이 제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백낙청, 「새로운 창작과 비평의 자세」, 『창작과 비평』 창간호(1966) 이상이 메마르고...
- 시기 :
- 196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