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1801년종교협약 Concordat of 1801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와 교황 및 성직자 대표들이 로마와 파리에서 합의를 본 조약(1801. 7. 15).|프랑스에서 로마 가톨릭 교회의 지위를 명시하고 프랑스 혁명기간에 실시된 교회 개혁조처 및 재산몰수로 빚어진 불화에 종지부를 찍었다. 1802년 부활절에 공식적으로 공포되었다. 이 협약은 제1통령 나폴레옹에게 주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종교협약 宗敎協約, concordat
    간에 체결된 보름스 협약이었다(→ 보름스 협약). 19세기에도 다수의 종교협약이 체결되었는데, 그중 상당수가 여전히 유효하다. 시기와 중요성에서는 1801년종교협약이 단연 앞서는데, 이는 어려운 협상 끝에 나폴레옹과 교황 피우스 7세가 프랑스를 위하여 체결한 것이었다. 이 종교협약은 1905년 프랑스 정부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그레구아르 Henri Grégoire
    1801년 그가 상원의원으로 뽑힌 것은 나폴레옹의 집정관 체제에 대한 항거로 보이며 또 국가교회의 종식을 의미하는 로마 교회와의 화해 즉, 1801년종교협약을 반대하는 것으로도 여겨진다. 1804년 그는 제국 선포에 반대표를 던졌으며 1814년에는 나폴레옹의 폐위를 제의했다. 1815년 제2차 왕정복고 뒤에도 시민...
    출생 :
    1750. 12. 4, 프랑스 로렌 베오
    사망 :
    1831. 5. 20, 파리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콩고르다툼 Concordat, コンコルダート
    장기간 걸쳐서 투쟁한 문제(서임권 투쟁)를 해결한 것으로 세속적인 지위와 종교적 측면을 엄격히 구분하여, 주교·대수도원장직은 성직자가 뽑도록 하나, 후보...혁명 이래 극심한 갈등을 빚고 있던 바티칸과 화해를 하기 위해 정교협약을 맺었다. 프랑스 대혁명 당시 가톨릭교회는 당시 프랑스 전체 토지의 10~15%를...
    도서 위키백과
  • 조선 朝鮮
    필두로, 1801년(순조 1)에는 신유박해가 일어났다. 신유박해는 대왕대비 김씨와 연결된 노론의 벽파가 시파를 타도하기 위해 천주교 탄압을 행한 것인데, 이때 황사영 백서사건이 일어나 천주교에 대한 탄압은 더욱 심해졌다. 그런 탄압 속에서도 1831년(순조 31)에 조선교구가 독립하였고, 서양인 신부가 들어와 선교에...
    시대 :
    조선
    유형 :
    지명/고지명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보름스 Worms
    1156년에는 신성 로마 제국의 자유제국도시가 되었는데 이러한 상태는 1801년까지 지속되었다. 100회 이상의 의회가 이곳에서 소집되었다. 1122년의 보름스 협약...연설을 했다. 보름스는 1525년 신교도지역이 되었으며, 1540~57년에 종교회의가 열렸다. 30년전쟁중에 막심한 피해를 입었으며, 1689년 프랑스인들에게...
    위치 :
    독일 남서부 라인란트팔츠 주 동부, 라인 강 왼쪽 연안
    인구 :
    81,736명 (2023년 추계)
    면적 :
    108.73㎢
    언어 :
    독일어
    대륙 :
    유럽
    국가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프랑스의 반성직주의
    혁명을 마무리짓고 교황청과 종교협약을 맺었으며, 프랑스 국가로부터 지원받고 국가에 복종하는 일종의 종교청으로 교회를 '국교화'했다(→ 1801년종교협약). 이 제도는 몇 번 수정을 거치면서 절대왕정, 공화정, 보나파르트 왕정으로 이어지는 1세기 동안 지속되었다. 그러나 1871년 제3공화국이 수립되면서 오랫동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성직자 공민헌장 聖職者公民憲章, Civil Constitution of the Clergy
    정죄했을 때 이들의 대립은 피할 수 없는 것이었다. 서약을 거부한 성직자들은 특히 프랑스 서부에서는 민중의 지지를 받았으나 1790년대초 여러 혁명정부는 그들을 반국가사범으로 몰아서 가혹한 조처를 취했다. 이 분열은 나폴레옹의 통치하인1801년 종교협약(Concordat:로마 교황과 정부 간의 협정)을 맺으면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나폴레옹의 국내 정책
    출세를 보장하였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가부장 중심의 가족제도를 강조하고 이혼의 자유를 폐기하여 여성의 지위를 크게 제한하였다. 종교 정책에 있어 나폴레옹은 1801년 7월 15일 정교협약을 맺어 혁명 이래 지속된 교황과의 불편한 관계를 개선하였다. 정교협약에 의해 가톨릭은 프랑스인의 종교로 재건되었고 가톨릭...
  • 비기독교화 운동
    아기에게 종교적 이름을 붙이기를 꺼렸다. 비기독교화 운동의 가장 획기적인 조치는 1793년 9월 가톨릭력을 폐지하고 새로운 공화력을 선포한 것이었다. 가톨릭력이 1주일을 7일로 나눈 것에 비해 공화력은 1주를 10일로 나누었다. 그리고 각 달(月)의 이름도 바뀌었다. 가톨릭력이 폐지됨으로써 가톨릭 예배가 시민적...
  • 통령정부시대의 나폴레옹 1세
    종교협약은 신앙의 자유와 국가의 세속적 성격을 인정한 것이었다. 민법을 집대성하는 일은 1790년에 시작해 통령정부 시대에 끝냈다. 1804년 3월 21일 공포한 나폴레옹 법전은 혁명이 거둔 수확들, 즉 개인의 자유, 노동의 자유, 양심의 자유, 국가의 세속적 성격, 법 앞에서의 평등 등을 뚜렷이 규정했으나 토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교황청 바티칸시국, 敎皇廳
    체결되었다. 신협약으로 가톨릭은 이탈리아 국교로서 지위를 잃게 되었고, 공립학교에서의 종교교육제도가 폐지되는 등 이탈리아 내에서의 가톨릭 특전이 크게 축소되었다. 교황은 바티칸의 통치자일 뿐 아니라 전 세계 가톨릭교회의 수장으로 전 세계 교회에 대하여 직접적 통치권을 지닌다. 교황은 종신제이며, 현재의...
    시대 :
    현대
    위치 :
    유럽 이탈리아 로마시
    수도 :
    바티칸
    성격 :
    국가
    유형 :
    지명/국가
    면적 :
    0.44㎢
    언어 :
    라틴어,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영어
    정부/의회형태 :
    교황제, 국무장관
    종교 :
    가톨릭교
    분야 :
    정치·법제/외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1801년종교협약(Concordat of 1801)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