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종교협약

다른 표기 언어 concordat , 宗敎協約

요약 교회와 세속의 정치권력이 상호관심사에 관하여 체결한 국제법상의 효력을 갖는 협정(→ 교회와 국가).

특히 로마 가톨릭 교회의 수장으로서의 교황과 국가의 세속주권자가 후자의 영토 내에서의 종교적 문제를 규제하기 위해 체결하는 협정을 말한다. 종교협약에서는 주로 교회의 권리와 자유, 주교구와 교회구의 창설과 폐지, 주교·주임사제·군목의 임명(때로는 그들에 대한 재정적 원조에 관한 규정을 포함하기도 함), 종교적 면책(예를 들면 군복무 면제), 교회 재산, 혼인에 관한 제 문제, 종교교육 등을 취급한다.

최초의 종교협약은 11, 12세기의 유럽 그리스도교 세계를 크게 동요시켰던 서임(敍任) 논쟁과 관련이 있었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1122년에 교황 칼리스투스 2세와 황제 하인리히 5세 간에 체결된 보름스 협약이었다(→ 보름스 협약). 19세기에도 다수의 종교협약이 체결되었는데, 그중 상당수가 여전히 유효하다.

시기와 중요성에서는 1801년의 종교협약이 단연 앞서는데, 이는 어려운 협상 끝에 나폴레옹과 교황 피우스 7세가 프랑스를 위하여 체결한 것이었다. 이 종교협약은 1905년 프랑스 정부가 정교분리(政敎分離)를 골자로 하는 법률을 채택함으로써 실효되었다. 20세기에도 다수의 새로운 종교협약이 체결되었는데, 그중 하나가 바티칸 시국(市國)에 대한 교황의 주권을 승인한 이탈리아와의 라테란 조약이다(→ 라테란 조약).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종교협약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