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현인 현동주, 玄仁
    현인은 건국 이후 처음으로 음반을 발표하며 가요계에 데뷔해 대한민국 가수 제1호라는 별명을 얻었고, <신라의 달밤>, <굳세어라 금순아> 등 천 여 곡이 넘는 노래들을 남겼다. 1942년 일본 우에노 음악학교에서 성악과 플루트를 배웠고, 졸업 뒤 일본의 징용을 피해 상하이로 건너가 음악활동을 시작했으나 광복 직후 ...
  • 이갑기 형림, 李甲基
    문학평론가. 1930년 11월 〈예술의 성립과 그 해체〉를 발표하여 평론활동을 시작했다. 단편소설 〈요원〉, 〈보도자〉, 〈봉녀〉, 〈기적〉, 〈집〉 등과 평론 〈천리마의 집단적 주인공〉, 〈계절과 인품〉 등을 발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필명은 이형림(李荊林)·현인. 1920년대말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동맹(...
    출생 :
    1908
    사망 :
    미상
    국적 :
    북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현인 현동주, 玄仁
    해방 이후 신라의 달밤」, 「비 내리는 고모령」, 「굳세어라 금순아」 등을 부른 가수.|개설 현인은 부산 출생으로 본관은 연주(延州). 본명은 현동주(玄東柱)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현인은 1938년 경성제2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1942까지 우에노[上野] 음악학교에서 성악을 공부하였다. 그는 194...
    시대 :
    현대
    출생 :
    1919년
    사망 :
    2002년
    경력 :
    한국연예협회 가수분과위원회 부위원장
    유형 :
    인물
    직업 :
    가수
    대표작 :
    신라의 달밤, 비 내리는 고모령, 고향만리, 전우야 잘 자라, 굳세어라 금순아, 인도의 향불, 꿈 속의 사랑, 나포리 맘보, 불국사의 밤, 서울야곡
    성별 :
    분야 :
    예술·체육/대중음악
    본관 :
    연주
  • 현인 玄仁
    부산 출신으로 1950년대 한국을 대표하는 가수.|[개설] 본명은 현동주(玄東柱). 아버지는 현명근이고, 어머니는 오봉식이다. [활동 사항] 현인(玄仁)[1919~2002]은 1919년 12월 14일 부산광역시 영도구 영선동 1가에서 태어났다. 영도에 있는 스탠더드석유회사를 다녔던 아버지 현명근과 일신여학교를 나온 신여성이었...
    분야 :
    문화·교육
    지역 :
    부산광역시 영도구
  • 현인
    음악가 정보 현인(玄仁, 1919년 12월 14일 ~ 2002년 4월 13일)은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본명은 동주(東柱)이고 창씨개명 당시의 이름은 고토 진(後藤 仁)이다.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부산부 출신으로 양산군을 거쳐 동래군에서 성장한 그는 배구 선수로 생활하다가 성악가(테너)로 전향하여 이듬해 테너에서 바리톤으로 ...
    도서 위키백과
  • 바시슈타 현인의 자세 Side Plank Pose, Vasishthasana
    효능 및 효과 • 몸의 핵심이 되는 코어를 발달시킨다. • 어깨와 손목을 강화에 효과적이다. • 심신의 균형과 평형감각을 찾아준다. • 복부 지방 감소에 효과적이고 복부 근력을 향상시켜 준다. Step 1 먼저 푸쉬업 준비 자세로 엎드려주세요. 손의 너비는 어깨너비로 벌리고 손의 위치는 어깨에서 수직으로 떨어지는...
    분류 :
    파워 다이어트 요가
  • 법구경, 내 허물을 꾸짖는 현인을 믿고 따라가라
    부처님 말씀 <법구경> 중에서 내 허물을 가려 꾸짖어 주는 현인(賢人)을 믿고 따라가라. 그는 보물이 묻혀 있는 땅으로 가난한 나를 이끌어 주는 위대한 은인이다. 해설 ‘성공을 하려면 인연을 소중히 하라.’ 국내 기업의 최고 경영자(CEO)들이 평생 교훈으로 삼았던 사자성어는 순망치한(脣亡齒寒)이다. 이것의 원...
  • 워런 버핏 한 나라의 GDP보다 큰 자산을 운용하는 남자
    비정상적이고 이기적인 방법을 가능한 피했다. 그럼에도 투자금을 수십, 수백 배로 불려 빠져나오기를 반복하는 투기꾼보다 더 큰 돈을 벌 수 있었다. 그가 '현인'으로 추앙받는 이유는 기업과 투자자가 상생하는 바람직한 투자를 실천해왔기 때문이다. 공공의 선에 위배되지 않는 돈에 대한 철학이야말로 버핏을 세계...
    출생 :
    1930년
  • 안분지족의 현인
    안분지족(安分知足)의 현인’은 이양하가 1964년 발표한 수필 ‘나무’에 등장하는 나무의 속성으로, 나무는 주어진 자신의 상황에 만족할 줄 아는 어진 사람과 같은 존재라는 뜻이다. ‘나무’는 자신이 처한 환경을 불평하거나 원망하지 않는다. 또한 자신보다 나은 처지에 있는 주변의 나무나 존재에 대해 부러워하지...
    도서 다음백과
  • 워런 버핏 Warren Buffett
    '오마하의 현인'이라고 불리는 버핏은 네브래스카 주 미국 하원의원이었던 하워드 호먼 버핏의 아들이었다. 1950년 네브래스카대학교를 졸업한 후, 1951년 컬럼비아대학교 경영대학에서 베저민 그레이엄을 연구했다. 1956년 버핏은 오마하로 돌아가서 1965년 섬유제조회사인 버크셔해서웨이사의 경영권을 갖게 되었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인
  • 전우야잘자라 戰友야잘자라
    이 노래는 그 즉시 군대와 공연 등을 통해 널리 알려지며 인기를 얻었다. 음반 취입은 언제 누가 먼저 했는지 확인되지 않고 있는데, 1960년대 음반을 살펴보면 현인이 가장 많이 불렀다. 자연적 단음계의 무뚝뚝하면서도 비장한 느낌의 악곡에, 매 절마다 전우의 죽음을 목도하며 진군하는 비장미가 넘치는 가사를...
    시대 :
    근대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대중음악
  • 현자 나탄 Nathan der Weise
    십자군 원정 때의 예루살렘을 무대로 보카치오의 〈데카메론 Decameron〉에서 따온 반지의 우화를 중심으로 그리스도교·이슬람교·유대교 중 어느 것도 단독으로는 진리를 소유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인간성과 관용의 이념을 고취시키려는 계몽주의의 의도가 담겨 있는 작품으로 독일 고전주의 이념극의 모범이 되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희곡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7건

현인
'신라의달밤' 노래비
바시슈타 현인의 자세 초보자 Tip
바시슈타 현인의 자세 2단계
바시슈타 현인의 자세 1단계
바시슈타 현인의 자세 3단계
스스로 목숨을 끊은 로마의 현인 세네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