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한탄강 대교천 현무암 협곡 漢灘江大橋川..경기도 포천시 관인면 냉정리와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에 걸쳐 있는 협곡. 개설 강원도 철원군과 경기도 북부를 관류하여 임진강으로 유입되는 한탄강의 연안에는 현무암 평원이 발달하였다. 현무암 평원을 개석하며 흐르는 한탄강을 따라서 현무암 협곡이 형성되어 있는데, 그중에서도 포천과 철원 접경의 대교...
- 문화재 지정 :
- 천연기념물 제436호
- 성격 :
- 천연기념물
- 유형 :
- 지명
- 면적 :
- 지정구역 207,546.2㎡
- 소재지 :
-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한탄강 대교천 현무암 협곡 (관련어 한탄..)한탄강 대교천 현무암 협곡(漢灘江 大橋川 玄武岩 峽谷)은 대한민국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과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동송읍에 걸쳐있는 계곡이다. 2004년 2월 23일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436호로 지정되었다.문화재청고시제2004-9호,《국가지정문화재(천연기념물) 지정》, 문화재청장, 2004-02-23 한탄강 연안에는 현...도서 위키백과
-
대교천 현무암 협곡 (한탄강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따라 발달하였으며, 철원평야의 남쪽 부분에서 평야를 동서로 가로질러 고석정 부근에서 한탄강 본류와 만나게 된다. 이 대교천에는 절벽의 양안이 현무암으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며, 약 1.5km에 걸쳐 25m 정도 두께의 현무암 절벽이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대교천 현무암 협곡은 한탄강에서도 대표적인 현무암...
- 위치 :
-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
도서 대한민국 구석구석 -
포천 한탄강 현무암 협곡과 비둘기낭 폭포 抱川 漢灘..수평방향의 절리, 여러 차례 분출한 용암류 등 자연지형들이 잘 나타난다. 변천 및 현황 포천 한탄강 8경은 상류에서 하류 쪽으로 가면서 제1경 한탄강 대교천 현무암 협곡(천연기념물), 제2경 샘소, 제3경 포천 화적연(명승), 제4경 포천 한탄강 멍우리 협곡(명승), 제5경 교동 가마소, 제6경 비둘기낭폭포(천연기념물...
- 유형 :
- 지명/자연지명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포천 한탄강 멍우리 협곡 抱川漢灘江─峽谷관람할 수 있다. 협곡은 화산활동과 관련한 지형 및 고토양층의 발달 과정 등을 관찰할 수 있어 지질학적·지형학적으로 가치가 큰 곳이다. 주변에 자리한 명승으로는 한탄강 대교천 현무암 협곡(천연기념물, 2004년 지정)과 비둘기낭 폭포(천연기념물, 2012년 지정) 등이 있어 생태관광 지역으로 주목받고 있다. 참고문헌
- 시대 :
- 현대
- 문화재 지정 :
- 명승 제94호
- 성격 :
- 명승
- 유형 :
- 지명
- 면적 :
- 면적 744,559㎡
- 소재지 :
-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 중리 574-1번지 일원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