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동국여지승람 동국여지승람, 新增東國輿地勝覽
    조선전기 문신 이행·윤은보 등이 『동국여지승람』을 증수하여 1530년에 편찬한 지리서. 관찬지리서.|내용 55권 25책. 조선 전기의 대표적인 관찬지리서이다. 이 책은 세 차례의 수교 과정을 거쳐 완성되었다. 원래 『동국여지승람』은 1481년(성종 12) 50권으로 편찬되었다. 내용은 1477년에 편찬한 『팔도지리지』...
    시대 :
    조선
    저작자 :
    이행, 윤은보, 신공제, 홍언필, 이사균
    창작/발표시기 :
    1530년
    성격 :
    지리서, 관찬지리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55권 25책
    분야 :
    지리/인문지리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동국여지승람 新增東國輿地勝覽
    55권 25책으로 구성되어 있는 목활자본이다. 원래의 <동국여지승람>은 1481년 50권으로 완성했다. 이 책은 1485년 김종직 등에 의해, 1499년 임사홍·성현 등에 의해 2차에 걸쳐 교정과 보충이 이루어졌고 중종대에 새로 증보하였다. 권별 수록 내용은 권1·2는 경도 상·하, 권3은 한성부, 권4·5는 개성부 상·하, 권6...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동국여지승람 (관련어 신증 동국여지승람) Sinjŭng..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은 조선 성종 때의 지리서이다. 성종 때 명(明)의 《대명일통지(大明一統志)》(1462년)가 수입되자 왕이 노사신·양성지·강희맹 등에 그것을 참고하여 세종 때의 《신찬팔도지리지》를 대본으로 지리서를 편찬케 하였다. 그 사람들은 성종 12년(1481년)에 50권을 완성하였고 성종 17년(1...
    도서 위키백과
  • 지지 (관련어 신증동국여지승람) 지리지, 地誌
    지지는 특정 지역의의 인문지리적 현상을 분류·연구 기록한 서적이다. 지리지라고도 한다. 일정한 항목과 규칙에 따라 체계적으로 서술하여 정해진 지역을 이해할 수 있게 한 책이다. 우리나라의 지지는 『삼국사기』·『삼국유사』의 백제지리지, 신라지 등에서 시작된다. 이어 『고려사』의 지리, 『세종실록지리지』...
    유형 :
    개념
    분야 :
    지리/인문지리
  • 동국여지승람〉 편찬
    조선 전역의 지리 정보를 종합하는 국가적 사업이 『동국여지승람』의 편찬으로 완성됐다. 세종 때 나온 『신찬팔도지리지』, 성종 때 편찬된 『동국여지승람』에 이은 역작이다. 이행, 홍언필이 『동국여지승람』을 늘리고 보완한 이 책은 모두 55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1~2권의 경도(京都, 서울)부터 51 ~ 55권...
    시대 :
    1530년
    국가/대륙 :
    한국
  • 동람도 東覽圖
    이 지도는 본디 지지의 보조적인 기능을 하도록 삽입된 것이며, 또 책의 규격에 맞도록 만든 간략한 지도이다. 내용은 제사와 관련된 산천만을 그려 정확성을 목적으로 하는 지도와는 그 유형이 다르다. 그러나 조선 후기에 이 지도의 형태를 본뜬 많은 지도들이 만들어져 민간에 보급되어 우리나라 전도와 도별도의 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동국여지승람 권7
    문화재 정보 동국여지승람 권7(新增東國輿地勝覽 卷七)은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청주고인쇄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1530년))의 책이다. 2020년 3월 6일 충청북도의 유형문화재 제397호로 지정되었다., 충청북도지사, 2020-03-06 동국여지승람은 1530년 기존의 『동국여지승람』의 내용을 증보하여 55권...
    도서 위키백과
  • 청평이거사 贈淸平李居士
    고려 중기에 곽여(郭輿)가 지은 한시. 작자가 이자현(李資玄)에게 준 칠언율시로, 『파한집(破閑集)』·『삼한시귀감(三韓詩龜鑑)』·『동문선』·『동국여지승람』에 전하며 서로 글자의 이동이 있다. 곽여는 예종의 초치에 오건(烏巾)과 학창(鶴氅)을 걸친 도가 행색으로 나타나 금문우객(金門羽客)이라 불린 인물...
    시대 :
    고려
    저작자 :
    곽여
    창작/발표시기 :
    고려 중기
    성격 :
    한시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한문학
  • 동국여지승람 東國輿地勝覽
    동국여지승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적
  • 제천 한산사 조혜사(照慧寺), 堤川 寒山寺
    미상이다. 다만, 제천시에 비치된 사찰대장에, 고려 명종 24년에 조혜사(照慧寺)는 소실되고 1943년 3월 13일에 재건하였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동국여지승람』에도 기록이 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보아 1943년 이전의 역사는 거의 미미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과 요사채 뿐이며, 대웅전...
    유형 :
    유적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신숭겸 능산(能山), 申崇謙
    가 평산에서 사성(賜姓)했다고 하였으며, 『고려사』 신숭겸 열전(列傳)에는 광해주(光海州: 현,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사람이라 하였다. 그런데 『동국여지승람』 춘천도호부(春川都護府) 인물조(人物條)에 그의 이름이 실려 있고 그의 묘도 춘천에 있는 점 등을 고려하면, 그는 본래 곡성 출신이었지만 뒤에...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백화산성 白華山城
    역사적 변천 『세종실록』지리지(地理志)와『동국여지승람』외에는 축성이나 활용 시기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지 않다. 곧『동국여지승람』에는 “주위가 2,042척에 높이는 10척이다”고 하였지만, 이미 폐성(廢城)되었다고 기록하였다. 다만『동국여지승람』은 물론『증보문헌비고』,『여지도서』에서...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6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