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임진강 이진매, 臨津江임진강은 북한 지역 강원도 법동군 마식령 산맥에서 발원하여 북한 개성시와 경기도 파주시 사이에서 한강으로 유입되어 황해로 흘러드는 강이다. 한강의 제1지류이며, 연천군에서 대표적인 지류인 한탄강이 합류된다. 유역면적은 북한 지역이 약 63%, 남한 지역이 37%를 차지하고 있으며, 북한 지역이 상류~중류 구간, ...
- 유형 :
- 지명/자연지명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
-
임진강전투 臨津江戰鬪내용 북침을 막으려다 패한 싸움이다. 1592년(선조 25) 한강 수비를 맡은 도원수 김명원은 임진강으로 퇴거하여 장계(狀啓)를 올려 적의 상황을 보고하였다. 이에 선조는 김명원의 한강 방어 실패의 책임을 묻지 않고 다시 경기·해서 군사를 징발해 임진강을 지킬 것을 명하였다. 그리고 남병사 신할(申硈)이 체직(遞職...
- 시대 :
- 조선
- 발생 :
- 1592년 5월
- 성격 :
- 전투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관련 인물/단체 :
- 김명원
- 관련 장소 :
- 임진강
-
휘엉청 보름달 뜬 임진강에 배 띄운 그림 우화등선날, 경기도 관찰사 홍경보는 당시 최고의 화가인 겸재 정선, 문장가인 연천현감 신유한과 함께 뱃놀이를 합니다. 이 세 사람은 북송 시인 소동파처럼 연강(漣江, 임진강)에 배를 띄운 것입니다. 이날의 뱃놀이를 정선이 그림을 그리고, 홍경보와 신유한이 글을 써서 화첩 세 벌로 남겨 한 벌씩 나눴지요. 이 화첩이...
-
-
-
임진강 주상절리 (한탄강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임진강과 한탄강이 만나는 합수머리(도감포)에서부터 북쪽으로 임진강을 거슬러 마치 병풍을 쳐 놓은 것 같은 아름다운 수직의 주상절리가 수 킬로미터에 걸쳐 발달해 있는 국내에서도 유일한 곳이다. 북한 평강군 오리산과 680m 고지에서 분출한 용암은 옛 한탄강의 낮은 대지를 메우며 철원-포천-연천 일대에 넓은...
- 위치 :
- 경기도 연천군 미산면 동이리
도서 대한민국 구석구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