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천연기념물 天然記念物, natural monument
    법률에 따라 지정하여 보존·관리하는, 학술상 가치가 높은 동물(서식지·번식지·도래지 포함)·식물(자생지 포함)·광물·지질과 그밖의 천연물. 지정된 천연기념물은 원칙적으로는 현상 변경이 허락되지 않는다. 산업혁명이 진전되어 자연파괴가 누적되기 시작한 19세기 후반부터 의미를 가지게 되었고 일본에 1906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천연기념물
  • 천연기념물 天然記念物
    천연기념물은 학술 및 관상적 가치가 높아 「문화재보호법」에 의해 지정된 동물, 식물, 지질·광물 및 천연보호구역 등의 국가지정문화유산이다. 일제강점기에 조선총독부가 1916년 7월에 「고적및유물보존규칙」을 제정한 이후 1962년 법률 제961호로 「문화재보호법」이 제정되어 20차의 개정으로 현재에 이른다. 202...
    유형 :
    개념
    분야 :
    과학/식물
  • 천연기념물 天然記念物, natural monument
    학술적 가치가 높은 동식물 및 그 서식장소 또는 지질광물을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지정한 것. 천연기념물 지정대상에는 멸종위기종 혹은 그 나라를 대표할 만한 식생, 거목 등이 포함된다.
  • 천연기념물 (관련어 천연 기념물) Natural monument, 天然..
    천연기념물(天然記念物) 법률로서 보호가 지정된 자연유산이다. '천연기념물'이라는 말을 처음으로 사용하고 법으로 정한 나라는 독일이다. 미국은 1832년부터 넓은 지역을 국립공원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일제강점기 시대였던 1933년에 시행되었다. 일본에서 천연기념물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국가...
    도서 위키백과
  • 독도 독섬, 獨島
    개설 경상북도 울릉군에 속한 독도는 대한민국 정부 소유(독도 행정 관리: 해양수산부)의 국유지로서 1982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주소는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1~96(분번 포함 101필지)이다. 동도와 서도 외에 89개의 부속도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면적은 187,554㎡(동도 73,297㎡, 서도 88,740㎡)이다...
    유형 :
    지명/지명
    면적 :
    면적: 총면적 187,554㎡, 동도 73,297㎡, 서도 88,740㎡, 부속도서 25,517㎡, 높이: 동도 98.6m, 서도 168.5m, 둘레: 총둘레 5.4㎞, 동도 2.8㎞, 서도 2.6㎞
    분야 :
    지리/자연지리
    높이 :
    동도 98.6m, 서도 168.5m
  • 독도 삼봉도, 獨島
    개설 한반도 동쪽 동해상에 있는 대한민국 영토 최동단에 있는 섬. 행정구역상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1∼96번지에 걸쳐있다. 동경 131°51'~131°53', 북위 37°14'00"~37°14'45"에 위치한다. 옛날부터 삼봉도·우산도·가지도·요도 등으로 불려왔으며, 1881년(고종 18)부터 독도라 부르게 되었다.
    위치 :
    한반도 동쪽 동해상
    인구 :
    40 (2017)
    면적 :
    동도 73,297㎡, 서도 88,740㎡
    행정구역 :
    경상북도 울릉군
    국가 :
    대한민국
    문화재 :
    천연기념물 제336호
  • 따오기 천연기념물 제198호, Asian crested ibis
    갯가와 판문점 부근 비무장지대 논에서 각기 1마리씩 2번 발견되었고, 1979년 1월 경기도 문산 판문점 근처에서 마지막으로 관찰된 뒤 사라졌다. 1968년 천연기념물 제198호로 지정되었다. 일본은 1969년 이래 세계 야생동물기금(재단)의 지원을 받아 니가타(新潟)의 사도 섬(佐渡島)에서 복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분류 :
    척삭동물문 > 조강 > 사다새목 > 저어새과 > 따오기속
    원산지 :
    아시아 (중국,대한민국,일본)
    서식지 :
    논, 소택지, 개울가
    먹이 :
    미꾸라지, 올챙이, 집게, 개구리, 지렁이, 수서곤충 등
    크기 :
    약 70cm ~ 80cm
    무게 :
    약 1.7kg ~ 1.8kg
    학명 :
    Nipponia nippon
    식성 :
    육식
    임신기간 :
    약 30일
    멸종위기등급 :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 국가적색목록 지역절멸(RE)
  • 하늘소 천연기념물 제218호, long-horned beetle
    하늘소과에 속하는 절지동물. 학명은 Callipogon relictus Semenow이다. 한국에 분포하는 장수하늘소는 그 희귀성 때문에 1968년 곤충으로서는 처음으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고, 멸종위기종이다. 장수하늘소와 근연종인 중남미 장수하늘소는 같은 조상임이 연구자들에 의해 증명되었고, 이는 유라시아 대륙과 아메리카...
    분류 :
    절지동물 > 곤충강 > 딱정벌레목 > 하늘소과
    원산지 :
    아시아 (대한민국,중국)
    서식지 :
    나무
    크기 :
    약 6cm ~ 10cm
    학명 :
    Callipogon relictus Semenow
  • 두루미 학, Grus japonensis
    의 1,100여 개체, 일본 홋카이도 동북부 구시로의 습지·기타 지역의 400여 개체(1988. 1. 현재) 등 모두 3,00여 개체만이 지구상에 생존하고 있을 뿐이다. 한국은 1968년 5월 30일 천연기념물 제202호,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동물 Ⅰ급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국가적색목록에는 위기(EN) 등급으로 등재되어...
    분류 :
    척추동물 > 조강 > 두루미목 > 두루미과 > 두루미속
    원산지 :
    아시아 (일본,대한민국,중국)
    먹이 :
    벼, 옥수수, 게, 올챙이
    크기 :
    약 1.36m ~ 1.4m
    무게 :
    약 8kg ~ 10kg
    학명 :
    Grus japonensis
    식성 :
    잡식
    임신기간 :
    약 32~33일
    멸종위기등급 :
    멸종위기 야생생물Ⅰ급, 국가적색목록 위기(EN)
  • 재동 백송 600년 굵은 두 팔로 떠받드는 하늘과 역사
    늘 정갈하며 기품이 넘친다. 재판관들은 그렇게 백송을 우러르며 결단의 순간들과 만났다. 서로 터놓지 못한 속내는 웅숭깊은 나무에게 속삭였을 법도 하다. 천연기념물 제8호 재동 백송은 조선 왕조 창업 즈음에 누군가가 중국에서 가져와 심은 것으로 추정된다. 경복궁이 머지않은 북촌(北村) 사대부가의 뜰에서...
    문화재 지정 :
    천연기념물 제8호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재동 35번지 헌법재판소 내
  • 고니 천연기념물 제201-1호, Tundra swan
    강에서 광둥까지)에서 겨울을 난다. 이동할 때는 그 밖의 여러 지역에서도 발견된다. 현황 서식지의 개발과 오염으로 생존을 위협받아 월동하는 무리가 해마다 감소하고 있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이며, 국가적색목록에 취약(VU) 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68년에 천연기념물 제201호 지정되었다
    분류 :
    척추동물 > 조강 > 기러기목 > 오리과 > 고니속
    원산지 :
    북아메리카, 아시아, 유럽
    먹이 :
    물풀 잎, 줄기, 뿌리
    크기 :
    약 1.2m ~ 1.4m
    무게 :
    약 3.4kg ~ 7.8kg
    학명 :
    Cygnus columbianus
    식성 :
    잡식
    임신기간 :
    약 29~30일
    멸종위기등급 :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 국가적색목록 취약(VU)
  • 황조롱이 천연기념물 제323-8호, Common Kestrel
    나그네새다. 수컷은 아종 interstinctus 또는 perpallidus와 구별되지만, 암컷은 구별이 어렵다. 수컷은 몸 색깔이 황조롱이보다 현저히 엷다. 몸윗면의 검은 무늬는 황조롱이보다 수가 적고, 크기가 작으며 삼각형이다. 경부깃은 검은 반점이 적다(황조롱이는 검은색 점이 크며, 조밀하다). 실태 천연기념물 323-8호다...
    분류 :
    매과(Falconidae)
    문화재 지정 :
    천연기념물 323-8호
    서식지 :
    극지방을 제외하고 유라시아에서 아프리카, 아시아에 분포한다.
    크기 :
    수컷 33cm, 암컷 36cm
    학명 :
    Falco tinnunculus Common Kestrel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50건

천연기념물
크낙새. 천연 기념물 제197호
제주 토끼섬 문주란 자생지
대구 도동 측백나무 숲
제주 무태장어 서식지
밀양 남명리 얼음골
한강의 황쏘가리
진도의 진도개
울진 성류굴
장수하늘소
팔색조
천연기념물 표지판
천연기념물 표지판
천연기념물 표지판
천연기념물 지형
천연기념물센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