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피리 부는 소년 The Fifer
    프랑스의 화가 마네(1832~83)의 작품(1866).|매우 평면적인 이 그림은 마네의 다른 그림에 비해 공간의 깊이가 거의 없고 인물의 윤곽과 색채에 주로 관심을 두고 있다. 약간의 음영을 제외하면 소년은 배경과 단단히 밀착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므로 회화적 배경을 버리고 대담하게 평면화를 시도한 혁신적인 작품이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품 , 명화 , 미술
  • 에두아르 마네, 〈피리 부는 소년 Le Fifre
    피리 부는 소년〉은 마네가 1866년의 살롱전에 응모했다가 낙선한 작품이다. 1863년 이후에는 낙선전이 개최되지 않아서 당시 대중은 이 그림을 볼 기회가 거의 없었다. 이 작품에서 심사위원들이 문제 삼은 것은 〈풀밭 위의 점심식사〉와 마찬가지로 입체감, 즉 양감 표현이 없다는 점이었다. 검은 상의는 말할 것도...
    저작자 :
    에두아르 마네(Édouard Manet, 1832~1883)
    제작시기 :
    1866년
  • 피리 부는 소년 (관련어 피리부는 소년) The Fifer..
    미술품 정보 《피리 부는 소년》은 프랑스의 화가 에두아르 마네의 1866년 작품이다. 프랑스 파리 오르세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1865년 스페인 여행을 떠난 에두아르 마네는 프라도 박물관을 방문했다가 그곳에서 디에고 벨라스케스의 작품과 처음 마주하며 영감을 얻었다. 1866년 파리로 돌아온 마네는 새 작품의 작...
    도서 위키백과
  • 피리 부는 소년 피리 부는 少年
    예술원상과 대한민국 문화 훈장, 대한민국 문학상 및 부산시 문학상을 받았으며, 대표작으로 「메아리」, 「못나도 울 엄마」, 「못난 돼지」, 「피리 부는 소년」 등이 있다. 이주홍은 풍자와 해학, 재치와 상상력이 가득한 옛이야기를 비롯하여 우리들 삶의 진실이 담긴 글을 많이 남겨 아동 문학에 금자탑을 이룩...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
    지역 :
    부산광역시
  • 피리 부는 목동 The Cowboy's Flute
    Infobox film 피리 부는 목동는 마스터 애니메이터 터웨이가 쓰고 상하이 애니메이션 영화 스튜디오에서 제작한 중국 애니메이션 단편 영화이다. 이 애니메이션...선율을 강조한다. 비범한 피리 연주 능력을 지닌 어린 소몰이 소년이 자신의 충실한 물소와 동행하는 이야기이다. 소년은 나무에 기대어 잠이 들었고, 곧...
    도서 위키백과
  • 마네, 〈폴리베르제르의 술집〉 내면을 표현하는 거울효과
    존경하였다. 특히 벨라스케스를 화가 중의 화가라고 생각하며 그의 그림을 수없이 모사하며 연구하였다. 그의 초기 인물화 중 가장 걸작에 속하는 〈피리 부는 소년〉은 벨라스케스의 영향이 많이 나타난 그림이다. 벨라스케스의 〈메니프〉나 〈바야돌리드의 파블리오스〉에서 배경을 약화시키거나 거의 없애면 중심...
  • 이주홍 향파, 李周洪
    장편 창작집 『탈선 춘향전』(1952), 수필집 『예술과 인생』(1957)·『조개껍질과의 대화』 (1962)·『뒷골목의 낙서』(1966), 장편 소년소설 「이순신장군」(1955)·「피리부는 소년」(1957) 등 다수의 저작이 있다. 상훈과 추모 1957년 부산시문학상을 받았으며, 1979년 경상남도문학상과 대한민국예술원상, 1983...
    시대 :
    근대
    출생 :
    1906년
    사망 :
    1987년
    경력 :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 중앙집행위원, 동래중고등학교 교사, 부산수산대학 교수, 부산수산대학 명예교수, 대한민국예술원상 수상
    유형 :
    인물
    직업 :
    소설가, 아동문학가
    대표작 :
    뱀새끼의 무도, 가난과 결혼, 눈물의 치맛감, 천당, 군밤, 유기품, 아름다운 고향, 승자의 미소, 지저깨비들, 낙엽기, 음강, 풍마, 조춘, 해변, 탈선 춘향전, 예술과 인생, 조개껍질과의 대화, 뒷골목의 낙서, 이순신장군, 피리부는 소년
    성별 :
    분야 :
    문학/현대문학
  • 아동문학 兒童文學, children’s literature
    소년소설이 등장했는데 방기환의 <누나를 찾아서>(1848)가 대표적이며, 한국전쟁 이후에는 본격적으로 자리를 잡아 염상섭의 <채석장의 소년>(1952), 이주홍의 <피리 부는 소년>(1954) 등이 출간되었다. 동극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극으로서 음악, 미술, 문학이 합쳐진 종합예술이다. 동화극, 동가극(오페라 형식의 동극...
    분류 :
    인문학 > 문학 > 아동문학
    도서 학문명 백과 | 태그 학문
  • 디에고 벨라스케스, 〈이솝〉 외
    발을 붙이고 서 있다는 느낌이 든다. 이 기막힌 배경 처리는 고야나 벨라스케스 등 스페인 회화에 깊은 감동을 받은 프랑스의 19세기 화가 마네가 〈피리 부는 소년〉을 그리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 〈바닥에 앉아 있는 난쟁이〉는 돈 세바스티안 데 모라(Don Sebastian de Morra)로 추정되는 인물이다. 거의 움직이는...
    저작자 :
    디에고 벨라스케스(Diego Rodriguez de Silva y Velazquez, 1599~1660)
    제작시기 :
    〈이솝〉 1639~1641년 제작〈광대 파블로 데 바야돌리드〉 1636~1637년 제작〈바닥에 앉아 있는 난쟁이〉 1645년경 제작
  • 레이스테르 Judith Leyster
    35년에 그려졌다. 1636년에 풍속화가 얀 메인스 몰레나르와 결혼하여 함께 암스테르담으로 이사했다. 과거에는 대부분의 레이스테르 작품들이 당대의 다른 남자 화가들의 작품으로 알려졌다. 가장 잘 알려진 작품으로는 〈음탕한 수작 The Proposition〉(1631)·〈피리 부는 소년 Boy Playing the Flute〉(1635경)이...
    출생 :
    1609. 7. 28, 네덜란드 하를렘
    사망 :
    1660. 2. 10, 암스테르담 근교 헴스테데
    국적 :
    네덜란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 선소운 仙簫韻, Woman
    신선의 퉁소 소리)의 이미지를 잘 반영하고 있다. 이 작품의 화면에서 드러나지 않은 소재인 ‘퉁소’는 이후 나타나는 「월향」(1956), 「소년」(1974) 등 피리 부는 여인이나 소년의 이미지에서 직접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박노수는 1945년 청전 이상범에게 그림을 배우기 시작한 후 1946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제1회...
    시대 :
    현대
    저작자 :
    박노수
    창작/발표시기 :
    1955년
    성격 :
    한국화, 인물화
    유형 :
    작품
    크기 :
    세로 187㎝, 가로 158㎝
    권수/책수 :
    1점
    재질 :
    화선지에 채색
    분야 :
    예술·체육/회화
    소장/전승 :
    국립현대미술관
  • 복주머니란류
    양치기 소년 안키세스는 우연히 들꽃을 따는 공주 일행을 보게 되었는데 그 광경이 너무 평화롭고 아름다워, 그만 오트세우스 공주에게 한눈에 반해버렸다. 공주는 그가 한 번도 본 적 없는 아름다운 여인이었다. 안키세스는 공주 일행의 주위를 서성이며 공주가 자기를 바라봐주고 말을 건네주기를 간절히 빌었다...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7건

〈피리 부는 소년〉
피리 부는 소년
피리 부는 소년 (The Fifer)
에두아르 마네 〈피리 부는 소년〉
에두아르 마네 〈피리 부는 소년〉
〈피리 부는 소년〉, 캔버스에 유채, 1867, 160×98cm, 프랑스 파리 오르세 미술관
마네, 〈피리 부는 소년〉, 1867년, 캔버스에 유채, 160×98cm, 프랑스 파리 오르세 미술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