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표음문자 表音文字글자 하나하나가 어떠한 음의 단위를 대표하는 문자. 내용 표음문자는 음소문자와 음절문자를 묶어 부르는 용어이기도 하다. 표의문자가 의미 단위인 형태소 및 단어를 각 글자의 단위로 하는 문자체계인 것과 구별하여, 음소를 각 글자의 단위로 하는 음소문자와 음절을 그 단위로 하는 음절문자를 묶어 표음문자라 ...
- 유형 :
- 개념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Phonogram 표음 문자, Phonogram (linguistics)A phonogram is a grapheme (written character) which represents a phoneme (speech sound) or combination of phonemes, such as the letters of the Latin alphabet or the Japanese kana. For example, "igh" is an English-language phonogram that represents the hard "I" sound in "high". Whereas the word ph...출처 영어 위키백과
-
표의문자 表意文字내용 글자 하나하나가 어떠한 음(音)의 단위를 대표하는 표음문자(表音文字)와는 달리 글자 하나가 의미의 단위인 형태소 하나씩을, 더 정확히 말하면 그 형태소(및 단어)의 의미를 대표하는 문자체계를 일컫는다. 가장 대표적인 표의문자로는 한자를 들 수 있다. ‘衣, 木, 東, 學, 不’ 등은 각각 어떠한 의미를 대표...
- 유형 :
- 개념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문자 文字표의문자라고 불리는 것이다. 이에 반하여 음절문자나 음소문자는 각 글자가 대표하는 단위가 의미 단위가 아니고 소리 단위인 음절이나 음소이기 때문에 표음문자(表音文字, phonographic writing)라고 불린다. [1. 단어문자] 글자 한 자가 대표하는 단위가 단어인 문자체계. 문자의 발달사로 보면 단어문자는 인류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한글사설 기관으로 두었는데, 이들도 훈민정음의 편찬 및 그에 이은 번역 사업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훈민정음 기원설(訓民正音起源說) 표음 문자인 훈민정음이 어느 문자의 계통을 이어받아 창제되었는지를 밝히고자 하는 설명이나 학설을 훈민정음 기원설이라고 한다. 1940년에 『훈민정음(訓民正音)』의 원본이...
- 유형 :
- 개념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새로운 문자와 새로운 이야기 인간의 가장 원초적인 소망, 이야기얽매여 살아왔다. 아니, 정확히는 우리가 생각하고 있는 이미지의 문자가 가지고 있는 틀에 얽매이고 있는지도 모른다. 우리가 아는 문자는 소리를 특정한 기호로 표기하는 표음문자와 각각의 의미를 하나의 기호로 표기하는 표의문자로 나뉜다. 그러나 정말 문자는 이 두 가지 형태로만 기능한 것일까? 다른 형태의...
-
한자 漢字뜻의 한 단위를 적어내게 할 수도 있고, 뜻을 단위로 먼저 글자를 만들어 놓고 그 뜻에 맞는 소리대로 읽을 수 있다. 소리를 단위로 만들어진 글자를 표음문자(表音文字)라 하고, 뜻을 단위로 만들어진 글자를 표의문자(表意文字)라 한다. 표음문자는 한 글자가 곧 한 단위의 소리에 해당할 뿐이며, 그것만으로 뜻을...
- 유형 :
- 개념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자질문자 資質文字기존의 논의와 달리, 샘슨(1985)은 ‘한글’을 음소문자와 구분되는 자질체계(featural system)를 갖는 문자 유형으로 분류하여, ‘(그림문자) → 표의문자: 단어문자 → 표음문자: 음절문자 → 표음문자: 음소문자’로 전개되어 온 세계 문자사에서 음소문자보다 더 발달한 단계의 문자 유형으로 ‘자질문자’를 설정...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파스파 문자 팔사파문자, 八思巴 文字자신의 모어를 나타내는 티베트 문자를 바탕으로 정방형, 즉 네모꼴로 만들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위에서 아래로 쓰게 만든 표음문자이다. 중국에서는 명나라 태조 때부터 이 문자를 철저하게 폐절시켜서 청대에 이르기까지 파스파자나 몽골신자 등의 명칭 사용이 제한되었고, 조선에서도 이에 따라 몽골어로 사각문자...
- 시대 :
- 고려 후기
- 유형 :
- 개념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