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페루와 한국과의 관계페루와 한국의 외교·경제·문화적 관계. 페루와 한국과의 공식적인 외교관계는 1963년 4월에 시작되었다. 1971년 8월에 주 페루 대한민국 대사관이 개설되었다. 페루의 대한국 수출품은 광물, 과일, 수산가공품 등이며, 수입품은 자동차와 합성수지, 기계류 등이다. 양국은 통상협정, 경제과학기술협력협정, 투자보장협...
-
페루 페루공화국, Peru1995년 4월 단원제 의회가 탄생되었다. 대외적으로는 중도중립의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1945년 유엔에, 1973년 비동맹회의에 가입하였다. 한국과의 관계 우리나라는 1963년 4월 1일 국교를 수립하고, 1971년 8월 1일 이 나라에 상주공관을 설치하였으며, 2008년 현재도 개설되어 있다. 페루는 1980년 2월 8일 우리나라...
- 시대 :
- 현대
- 위치 :
- 남아메리카 서부 태평양 연안
- 수도 :
- 리마
- 성격 :
- 국가
- 유형 :
- 지명/국가
- 면적 :
- 128만 5216㎢
- 언어 :
- 스페인어, 케츄아어, 아이마라어
- 정부/의회형태 :
- 공화제, 대통령 중심제, 단원제
- 종교 :
- 가톨릭교
- 분야 :
- 정치·법제/외교
-
파라과이와 한국과의 관계인해 북한과는 외교관계가 없다. 경제·통상·주요 협정 2023년 기준 파라과이의 대한국 수출액은 2억 7,161만 달러, 수입액은 1억 814만 달러이다. 파라과이의...전기기기 등이다. 파라과이의 대한 투자액은 65만 달러 규모이며, 한국은 파라과이에 2017년 기준 2,026만 달러를 투자했다. 한국의 삼성전자(주), LG...
-
한국-페루 수교 50주년 기념우표(성산일출봉) 성산일출봉2013년은 한국과 페루가 외교관계를 수립한 지 50주년이 되는 해이다. 경제, 문화, 교육 등 다양한 방면에서의 교류가 최근 들어 더욱 활발해지면서 양국은 돈독한 협력관계를 유지해 오고 있다. 한국과 페루의 뜻깊은 수교 50주년을 축하하기 위해 우정사업본부와 페루우정은 유네스코세계유산인 한국의 ‘성산 일출봉...
- 발행일 :
- 2013.4.1
- 발행량 :
- 600000
- 종수 :
- 2
- 액면가격 :
- 270
- 디자인 :
- 성산일출봉
- 우표번호 :
- 2909
- 인면 :
- 40 × 30 mm
- 천공 :
- 13
- 전지구성 :
- 4 × 4
- 용지 :
- 그라비어 원지
- 인쇄 및 색수 :
- 그라비어 5도
- 우표크기 :
- 40 × 30 mm
- 디자이너 :
- 김소정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
-
한국-페루 수교 50주년 기념우표(마추픽추) 마추픽추2013년은 한국과 페루가 외교관계를 수립한 지 50주년이 되는 해이다. 경제, 문화, 교육 등 다양한 방면에서의 교류가 최근 들어 더욱 활발해지면서 양국은 돈독한 협력관계를 유지해 오고 있다. 한국과 페루의 뜻깊은 수교 50주년을 축하하기 위해 우정사업본부와 페루우정은 유네스코세계유산인 한국의 ‘성산 일출봉...
- 발행일 :
- 2013.4.1
- 발행량 :
- 600000
- 종수 :
- 2
- 액면가격 :
- 270
- 디자인 :
- 마추픽추
- 우표번호 :
- 2910
- 인면 :
- 40 × 30 mm
- 천공 :
- 13
- 전지구성 :
- 4 × 4
- 용지 :
- 그라비어 원지
- 인쇄 및 색수 :
- 그라비어 5도
- 우표크기 :
- 40 × 30 mm
- 디자이너 :
- 김소정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
-
볼리비아 볼리비아 다민족국 공화국, Bolivia약 1.500㎞, 동서 길이는 약 1,300㎞이다. 북쪽과 동쪽으로 브라질, 남동쪽으로 파라과이, 남쪽으로 아르헨티나, 남서쪽과 서쪽으로 칠레, 북서쪽으로 페루와 국경을 접하고 있다. 남아메리카 대륙의 최대 호수 마라카이보 호(湖)를 잇는 2번째 큰 호수 티티카카 호가 볼리비아와 페루에 속해 있다. 볼리비아는 태평양...
- 위치 :
- 남아메리카 중앙부
- 인구 :
- 12,480,477명 (2024년 추계)
- 수도 :
- 라파스(행정수도), 수크레(사법수도)
- 면적 :
- 1,098,581.0㎢ 세계면적순위
- 공식명칭 :
- 볼리비아 다민족국 공화국 (Plurinational State of Bolivia)
- 기후 :
- 아열대기후, 열대성기후, 온대성기후
- 민족 구성 :
- 케추아족(30%), 메스티소(30%), 아이마라족
- 언어 :
- 아이마라어,에스파냐어,케추아어
- 정부/의회형태 :
- 중앙집권공화제 / 다당제&양원제
- 국가원수/정부수반 :
- 대통령 / 대통령
- 종교 :
- 로마가톨릭(95%), 개신교(5%)
- 화폐 :
- 볼리비아노 (Bs.)
- 국화 :
- 꽃고비
- 대륙 :
- 남아메리카
- 국가번호 :
- 591
- GDP :
- USD 40,737,000,000
- 인구밀도 :
- 12명/㎢
- 전압 :
- 220V·120V / 50Hz
- 도메인 :
- .bo
-
볼리비아 Bolivia볼리비아는 친미·친서방 노선의 외교를 지속하여 왔으나 대외적으로는 중도좌파를 표방하면서 1945년 유엔에, 1979년에는 비동맹회의에 가입하였다. 한국과의 관계 우리나라는 볼리비아와 1965년 4월 25일 국교를 수립하였다. 이후 볼리비아에 상주공관을 설치한 것은 1976년 7월이며, 2008년 현재 주 페루 대사가 그...
- 시대 :
- 현대
- 위치 :
- 남아메리카 중서부
- 수도 :
- 라파스(La Paz, 행정수도), 수크레(Sucre, 사법수도)
- 성격 :
- 국가
- 유형 :
- 지명/국가
- 면적 :
- 109만 8581㎢
- 언어 :
- 스페인어, 케추아어, 아이마라어
- 정부/의회형태 :
- 공화제, 대통령 중심제, 양원제
- 종교 :
- 가톨릭교
- 분야 :
- 정치·법제/외교
-
대한민국-페루 관계 Peru–South Korea relations상주 대사관이 설치되었다. 2011년에는 한국과 페루가 자유무역 협정을 체결하였다. 2015년 박근혜 대통령이 페루를 방문한 적이 있으며, 페루에서는 알베르토 후지모리 대통령이 한국을 방문한 적이 있다. 두 나라는 관계를 우호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2019년, 대한민국은 컨소시엄을 꾸려 페루 정부를 대신하여 친체로...도서 위키백과
-
북한 North Korea, 北韓아시아 · 아프리카 등지에 있는 제3세계 국가들과의 유대를 확대 · 강화할 수 있었다. 이 시기 스웨덴 · 핀란드 · 노르웨이 등 북유럽 국가들과 외교관계를 맺고 경제협력도 발전시켰다. 또한 중립국외교를 적극 전개하여 1975년페루의 수도 리마에서 개최된 비동맹회의에서 회원국으로 가입했고, 그 결과 제30...
- 시대 :
- 현대
- 위치 :
- 한반도 북부
- 유형 :
- 지명
- 면적 :
- 12만 3138㎢
- 분야 :
- 역사/현대사
-
칠레 Chile말까지 페루 부왕령(副王領)의 일부로 스페인 통치를 받았다. 1810년 9월 18일 자치정부와 의회를 수립하여 독립을 선언하고, 1818년 2월 오하인스(O'Higgins, B.) 장군에 의하여 완전히 독립하였다. 초대 대통령은 오하인스이다. 1970년 9월 선거에서 공산당의 아옌데(Allende, S. G.)가 대통령에 당선되어 세계최초의...
- 시대 :
- 현대
- 위치 :
- 남아메리카 서남부
- 수도 :
- 산티아고
- 성격 :
- 국가
- 유형 :
- 지명/국가
- 면적 :
- 75만 6102㎢
- 언어 :
- 스페인어
- 정부/의회형태 :
- 공화제, 대통령 중심제, 양원제
- 종교 :
- 가톨릭교, 개신교
- 분야 :
- 정치·법제/외교
-
국제연합 유엔, 國際聯合5대는 페루의 케야르(Cuellar,T.P.), 6대 사무총장은 부트로스 갈리(Boutros Ghali), 7대 사무총장은 가나의 코피 아난(Cofi Annan)이었으며, 8대 총장은 대한민국 출신의 반기문(潘基文)이었다. 현재는 포르투칼 출신의 안토니오 구테헤스(Antonio Guterres)가 9대 사무총장을 맡고 있다. 1997년 1월부터 2001년 12...
- 시대 :
- 현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정치·법제/외교
-
대한민국의 대외 관계 Foreign relations of South Kor..콜롬비아 한국전 참전기념비’가 2008년 11월 1일 준공되었다. 파라과이와 1962년 6월 12일 수교한 이래 문화협정(1973), 과학·기술협력협정(1975), 무역협정...위해 대한민국의 경제발전 모델을 도입하려 하고 있다. 특히, 대한민국 기업의 투자진출 및 경제, 기술, 교육 등의 분야에서 대한민국과의 실질적인 협력관계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