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팔조법금 팔조금법, 八條法禁
    고조선시대의 법률.|개설 ‘팔조금법’·‘금법팔조’라고도 한다. 『삼국지』 위서(魏書) 동이전과 『후한서』 동이전에는 기자(箕子)가 조선에 와서 8조의 교법(敎法)을 만들어 인민을 교화시켰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른바 낙랑조선(樂浪朝鮮)의 범금8조(犯禁八條)라는 것은 조선 본래의 법금이었다는 설이 ...
    시대 :
    고대/초기국가
    성격 :
    법제, 법률
    유형 :
    제도
    시행일 :
    고조선 시대
    분야 :
    역사/고대사
  • 팔조법금 팔조지교(八條之敎), 八條法禁
    팔조법금은 고조선이 사회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만든 8개 조항의 법률이다. 현재는 반고가 《한서 지리지》에 남긴 3개 조항만 전해진다. 3개 조항은 다음과 같다. • 사람을 죽인 자는 즉시 사형에 처한다. • 남을 다치게 한 자는 곡물로써 배상한다. • 도둑질을 한 사람은 노비로 삼는다. 용서를 받으려면 50만 전...
  • 8조법 팔조법금, 八條法
    여덟 가지의 금지 조항을 담고 있는 고조선의 법률.|8조법은 여덟 가지의 금지(禁止) 조항을 담고 있는 고조선(古朝鮮)의 법률이다. 여덟 조항 중 세 조항만이 〈한서지리지(漢書地理志)〉를 통해 전해지고 있다. 살인자는 즉시 사형에 처하고, 다른 사람에게 상해를 입힌 자는 곡물로 보상하고, 물건을 훔친 자는 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고조선
  • 팔조지교 (관련어 팔조법금) Eight Prohibitions, 犯禁八条
    팔조지교(八條之敎)는 고조선 사회의 법률이다. 팔조법금(八條法禁)이라고도 하며, 고조선 사회가 가부장(家父長) 중심의 계급 사회로서, 사유 재산을 중히 여겼으며, 응보주의(應報主義)에 따른 형법을 지녔던 당시의 사회상을 반영하고 있다. 고조선에는 일찍부터 사회의 안녕 질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일종의 불문율인...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전한서 / 팔조법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