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조선과 한나라 전쟁 최초의 강력한 고대 국가
    기원전 109년 가을, 중국 한나라의 육군 5만 명이 압록강을 건너 한반도로 진격했고, 해군 7,000명은 대동강 하구로 상륙했다. 수륙 양공의 목표는 현재 북한의 평양 지역으로 추정되는 위만조선의 수도 왕검성이었다. 한 무제가 동북아시아의 강대국으로 떠오르는 위만조선과 전면전을 감행한 것이다. 강력한 정복 왕조...
    시대 :
    BC 108
  • 고조선-한 전쟁 (관련어 고조선과 한나라 전쟁) Han conquest..
    고조선-한 전쟁(古朝鮮-漢 戰爭)은 기원전 109년부터 기원전 108년까지 고조선과 한나라 사이에 벌어진 전쟁이다. 전쟁한나라가 승리해서 고조선에 종말을 고했다. 당시 한반도 남부에 있던 진국의 한나라에 대한 왕래와 조공을 우거왕이 방해하고 있다는 명분으로 한나라전쟁을 일으켰다. 한 무제가 기원전 108년...
    도서 위키백과
  • 고조선과 한의 전쟁
    고조선의 마지막 단계는 위만조선이다. 위만조선은 BC 2세기초 무렵 중국 연나라에서 망명해온 유망민들을 규합해 당시 고조선의 왕이었던 준왕을 내몰고 왕위에 오른 위만에 의해 세워진 국가이다. 한편 한은 오래전부터 자신들의 안위를 위협하던 흉노에 대한 정벌이 일단락되자 위만조선에 대한 공격을 감행했다. BC...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조선
  • 위만의 왕위 찬탈과 한제국과의 전쟁
    다져진 경제력 또한 상당하였으며 주변의 진번, 임둔 등 소국들에 대해 강력한 구속력을 발휘하고 있었다. 고조선의 강한 군사력에 놀란 한나라는 먼저 평화를 제의했고, 고조선 역시 국력이 월등한 한나라전쟁을 피하고자 태자를 보내 화친하기로 했다. 하지만 양국간에 오해가 생겨 다시 전쟁은 시작되었다. 고조선...
    시대 :
    기원전 194년~기원전 108년
  • 고조선 멸망
    임명해 고조선을 자극했고, 우거왕은 자객을 보내 섭하를 죽였다. 마침내 한 무제는 육군과 수군 5만 7000명을 파견해 고조선을 공격했다. 한나라 군대가 왕검성을 포위한 가운데 전쟁이 길어지자 고조선 지배층은 분열하기 시작했다. 조선상 역계경은 강화를 맺자고 건의했다가 받아들여지지 않자 2000여 호를 이끌고...
    시대 :
    서기전 108년
    국가/대륙 :
    한국
  • 고조선의 형성과 정치적 발전
    중국은 고조선을 흉노의 ‘왼쪽 팔(左臂)’로 인식하였다. 위만조선의 팽창은 중국뿐만 아니라 기존 토착 사회의 여타 정치 세력에게도 동일한 위협으로 작용...경쟁 세력인 예군남려(濊君南閭)가 28만여 명의 대규모 집단을 이끌고 한나라에 항복한 사건이다. 한 무제는 이 지역에 기원전 128년 창해군(蒼海郡)을 설치...
  • 흉노족 북아시아 초원의 맹주
    때문에 고조선한나라의 공격을 받은 것일 수도 있다. 한반도의 삼국시대에 활동한 신라와 흉노족의 연관 관계도 상당히 흥미롭다. 신라의 문무왕릉비문에는 신라인의 선조가 투후라고 언급되어 있는데, 1954년 중국에서 출토된 대당고김씨부인묘명에는 그 투후가 한무제 시절 한나라에 항복한 흉노족 왕자인 김일제...
  • 고조선의 소금 우리나라 소금의 역사
    때문에 전쟁이 벌어지기도 했다. 또 소금은 돈으로도 쓰였다. 중국에서는 소금을 틀에 넣어 굳혀 동전처럼 만든 후 황제의 문양을 새겨 화폐(염화)로 이용하기도...소금은 이런 경제적 용도 이외에 정치적으로도 막강한 무기로 쓰였다. 고조선을 맹주로 하는 연맹체제와 제후국 관계는 고조선이 소금과 철의 유통을 통제...
  • 전쟁 戰爭
    기지 및 자원의 협력 등 다른 국가의 지지 없이는 효과적인 군사행동을 수행하기가 어렵다. 우리나라의 역대 주요 대외전쟁] (1) 통일신라 이전의 전쟁고조선과 한나라전쟁: 서기전 194년 고조선의 준왕(準王)을 축출하고 왕검성에 도읍한 위만(衛滿)은 주위의 여러 부족을 통합하여 강력한 세력을 형성하였다...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정치·법제/국방
  • 한사군 漢四郡
    약 1년에 걸친 전쟁 끝에 고조선을 멸망시킨 한나라는 BC 108년 고조선의 옛 땅에 낙랑(樂浪)·진번(眞蕃)·임둔(臨屯)의 3군(郡)을 설치했고, 이어 BC 107년에는 20여 년 전 창해군(滄海郡)을 설치했던 예맥의 땅에 현도군(玄菟郡)을 설치했다. 그리하여 4군을 유주(幽州) 관할 아래 둠으로써 오랜 야욕이던 동방경략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조선
  • 고조선 古朝鮮, Gojoseon
    때로는 한나라와 교류하고 때로는 갈등을 겪으면서 기마유목 세력인 흉노(匈奴)와도 접촉했을 것으로 파악된다. 이같이 고조선은 주변 민족들과 정치, 군사, 경제적으로 교류하면서 다양한 경험을 축적하였고, 이런 정치적인 성쇠 과정에서 고조선의 중심지와 국가적인 영역도 자주 변했다. 논란이 많고 쟁점으로 부각된...
  • 고구려의 건국과 발전
    주민들은 고조선 주민이나 부여를 이룬 송화강 유역의 주민과 활발히 교류한 것으로 보인다. 그 후 기원전 4~3세기경 중국의 전국 시대 이후 요동 지역의 정세가 급변하면서 여러 주민 집단들이 유입되어 주변 지역과 구별되는 독자적인 문화를 형성하였다. 고구려 사람들이 남긴 문화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압록강...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