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타블로이드판 tabloid size
    신문이나 잡지에서 사용되는 판형의 하나로 일반적인 신문의 절반 크기를 가진 판형.|일반적인 신문들의 판형은 '대판'(broadsheet)이라고 부른다. 타블로이드판형은 지하철역 등에서 나눠주는 무가지 신문 크기의 판형으로 대판을 반으로 접은 크기이다. 어떤 전지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4 ·6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문
  • 타블로이드 (동의어 타블로이드판) tabloid
    표준 신문의 2분의 1 크기인 신문. 대판(大版)이라고 불리는 표준 신문 사이즈는 가로 396mm, 세로 545mm이며 타블로이드는 그 2분의 1인 가로 273mm, 세로 396mm다. 전통적으로 대중지 판형이며 선정적인 기사 및 사진을 취급하는 황색 저널리즘을 지칭하는 용어로도 쓰인다. 우리나라에서는 전면 안내 광고지인 생활정...
    도서 광고사전 | 태그 광고
  • 타블로이드 tabloid
    타블로이드란 기사를 압축하고 요약하는 것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보통 신문의 1/2 정도 크기의 소형신문을 말한다. 센세이셔널한 기사, 사진 등 흥미 위주의 기사를 많이 실어 엮는 것이 특징인 타블로이드 신문은 역사적으로 신문의 보급과 대중화에 크게 공헌하였다. 제1차 세계대전 때 뉴욕에서 발행된 ‘데일리 뉴...
    도서 에듀윌 시사상식 | 태그 신문
  • 타블로이드 (관련어 타블로이드판) Tabloid (newspaper format), タブロイド
    타블로이드는 브로드시트보다 작은 크기의 신문 판형의 하나를 나타내면서,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보도를 일정 부분 버리고 사람들의 흥미를 끄는 대중지의 보도 스타일을 가리키는 용어로도 사용된다. 후자의 경우 '황색 언론'과 동일한 뜻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타블로이드 신문, 특히 본고장인 영국은 목표 시장, ...
    도서 위키백과
  • 코리아헤럴드 THE KOREA HERALD
    협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창간되었다. 처음은 서울의 무교동 한구석에서 출발하여 1953년 11월 17일 서울 중구 태평로1가 31번지로 이전하였다. 초기는 타블로이드판 4면을 발행하였으나 계속 증면하여 1961년 7월 11일 대형 스탠더드 4면으로 증면하였으며, 1964년 2월부터 주간 해외판을 타블로이드판 12면으로 발행...
    시대 :
    현대
    유형 :
    문헌
    분야 :
    언론·출판/언론·방송
  • 조지프 패터슨 패터슨, Joseph Medill Patterson
    1914~25년에 사촌인 로버트 루서포드 매코믹과 〈시카고 트리뷴 Chicago Tribune〉을 공동으로 편집·발행했다. 이어 그는 미국 최초로 성공을 거둔 타블로이드판 신문인 뉴욕의 〈뉴욕 데일리 뉴스 New York Daily News〉의 편집·발행인으로 더 잘 알려지게 되었다. 1901년부터 〈시카고 트리뷴〉의 임원이었던 패터슨...
    출생 :
    1879. 1. 6, 시카고
    사망 :
    1946. 5. 26, 뉴욕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론인
  • 코리아 타임스 The Korea Times
    김상용, 주필은 조용만, 편집국장은 이석곤이었고, 편집위원으로 피천득·주요섭·이무영 등이 참여했다. 발행소는 서울 중구 태평로1가에 있었다. 타블로이드판 2면으로 출발하여 1961년 12월 대판 2면, 1962년 10월 대판 4면, 1993년 대판 12면에 한글 해설판인 타블로이드판 4면, 2005년 대판 20면에 한글 해설판 4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문
  • 대중신문의 시대
    형태의 언론인을 두어 사시(社是)에 맞게 기사를 다시 쓰고 표제를 달았으며, 필요하다면 원래의 기사에 약간의 '양념'을 더했다. 함즈워스는 또한 타블로이드판 신문을 도입하여 20세기 대중지에 혁신을 가져왔다. 타블로이드판이란 기존의 신문크기를 절반으로 줄인 것으로, 독자들이 다루기 편할 뿐 아니라, 새로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문
  • 전우신문 戰友新聞
    1964년 11월 26일 〈전우 戰友〉로 창간되었고 1967년 1월 〈전우신문 戰友新聞〉으로 제호를 바꾸었다. 타블로이드판 2면으로 출발하여 1967년 4면으로 늘렸다. 1968년 11월 국내 일간신문으로는 처음으로 한글을 전용했다. 1969년 1월 1일 가로쓰기로 체제를 바꾸고 제호도 〈전우신문〉으로 한글화하여 지면을 쇄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문
  • 이보가 백원, 李寶嘉
    처음에는 관직에 뜻을 두었으나, 향시에 몇 번 낙방하자 상하이[上海]로 가서 1896년 신문 〈지남보 指南報〉를 발간했다. 그러나 곧 폐간한 뒤 타블로이드판 〈유희보 遊戱報〉(1897~1910)를 발간하고 풍자와 유머를 다룬 시사·잡문을 실었다. 그뒤 〈유희보〉를 매각하고 또다른 타블로이드판 신문 〈세계번화보 世界...
    출생 :
    1867
    사망 :
    1906
    국적 :
    청(淸), 중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전북매일신문 全北每日新聞
    내용 1946년 5월 1일 육복술(陸福述)이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금동에서 창간한 『군산민보(群山民報)』가 전신이다. 『군산민보』는 타블로이드판 2면제로 발간하였는데 같은 해 9월 15일 좌익출판노조계의 테러로 일시 휴간하였다. 1949년 3월 1일 익산시 호남동으로 사옥을 옮기고 『삼남일보(三南日報...
    시대 :
    현대
    유형 :
    문헌
    분야 :
    언론·출판/언론·방송
  • 독립신보 獨立新報
    내용 1946년 5월 1일 서울 을지로1가에서 타블로이드판 2면으로 창간되었다. 사장 장순각(張洵覺), 주필 고경흠(高景欽), 편집국장 서광재(徐光齋)였다. 이 신문의 논조는 시종일관 좌익계열만을 중점적으로 다루는 극좌익지의 성격을 띠었다. 1946년에는 신탁통치안을 적극 지지하였으며, 1947년 3월 18일자 사설에서는...
    시대 :
    현대
    저작자 :
    장순각, 고경흠, 서광재
    창작/발표시기 :
    1946년 5월 1일(창간)
    성격 :
    신문, 일간신문
    유형 :
    문헌
    간행/발행 :
    장순각
    분야 :
    언론·출판/언론·방송
    소장/전승 :
    국회도서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