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청자 참외모양

다른 표기 언어 靑磁 瓜形 甁
요약 테이블
문화재 지정 국보(1962.12.20 지정)

요약 고려시대 12세기 전반에 만들어진 청자병. 나팔처럼 위로 벌어진 목과 참외형의 몸체, 주름치마 모양의 굽으로 이루어졌다. 매우 정련된 태토에 유약이 잘 어우러져 녹색이 감도는 비취색이 아름다우며, 음각된 부분이나 골이 팬 부분에도 유약이 고여 깊은 녹색을 띠고 있다. 이 병과 거의 양식적으로 유사하며 같은 시기에 제작된 것으로는 일본 오사카 시립 동양도자미술관 소장의 청자과형병이 있고, 시기적으로 차이는 있으나 형태와 구성이 유사한 것으로 청자상감모란국화문과형병이 있다.

국보(1962.12.20 지정). 높이 22.8㎝, 입지름 8.8㎝, 밑지름 8.8㎝.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나팔처럼 위로 벌어진 목과 참외형의 몸체, 주름치마 모양의 굽으로 이루어졌다. 전체의 비례와 구성이 매우 안정감을 주며 단정하다. 기면 전체에 음각 또는 양각의 조각을 제외하고는 어떤 문양도, 다른 색조도 첨가하지 않아 기형상의 아름다움이 돋보인다.

매우 정련된 태토에 유약이 잘 어우러져 녹색이 감도는 비취색이 아름다우며, 음각된 부분이나 골이 팬 부분에도 유약이 고여 깊은 녹색을 띠고 있다. 굽의 안바닥까지 유약이 입혀졌고 유약을 닦아낸 접지면에는 내화토를 빚어 받친 7개의 자국이 있다. 이것은 발견 당시 경기도 장단군 장도면에 위치한 고려 인종(1122~46 재위)의 장릉에서 인종의 시책과 함께 출토되었다. 따라서 고려청자의 전성기인 12세기 전반에 왕실용으로 제작된 상품 자기임을 알 수 있다.

이 병과 거의 양식적으로 유사하며 같은 시기에 제작된 것으로는 일본 오사카[大阪] 시립 동양도자미술관 소장의 청자과형병이 있고, 시기적으로 차이는 있으나 형태와 구성이 유사한 것으로 청자상감모란국화문과형병(국보, 1962.12.20 지정)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공예

공예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청자 참외모양 병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