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지표면의 특징
    지형적인 특성들 지구의 표면은 상당히 불규칙한 구조를 보여준다. 그러나 대부분의 지표면은 대체로 두 기준면 주변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여준다. 첫번째 기준면은 해수면으로 대부분의 대륙과 대륙붕은 이 해수면 주변에 놓여 있다. 다른 기준면은 해수면으로부터 평균수심 약 5km에 존재하는 해저면으로서, 나머지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우주
  • 지표면의 대기대순환
    남반구의 지표면 특성이 다르므로 계절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1월은 북반구에서 전형적인 겨울철의 기상 조건이 나타나는 달이며, 최고기온을 보이는 지역은 적도 또는 다소 그 남쪽에 있다. 대륙에서는 이 지역이 해상보다 훨씬 남쪽으로 치우쳐 있다. 따라서 1월중의 무풍대는 해상에서는 늘 적도 부근에 있으며 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지구 地球, Earth
    지구는 우리가 살고 있는 천체이므로 쉽게 연구할 수 있어 그 구조와 조성에 대해 많은 사실이 밝혀져 있다. 지구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 가운데 하나는 물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지표면의 약 2/3는 바다로 덮여 있으며, 해수는 전체 수권 총질량의 98%를 차지한다. 지구는 해수와 지각으로 생물체를 보호해 주는 태양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우주
  • 하지 장지, 夏至
    대개 6월 21~22일이다. 태양이 가장 북쪽인 하지점(夏至點)에 위치하게 되며, 북반구에서는 낮의 길이가 가장 길고, 남반구에서는 가장 짧은 날이다. 이 날 지표면에 닿는 태양빛이 가장 많기 때문에 이날부터 점점 기온이 올라가, 삼복(三伏) 때에 이르러 절정을 이루게게 된다. → 절기 유래 '하지'라는 말은 여름의...
    분류 :
    24절기
    날짜 :
    양력 6월 21~22일 무렵
    특징 :
    낮시간이 1년중 가장 길다.
  • 빙하시대 氷河時代, ice age
    이러한 대규모의 빙하작용이 일어났던 기간은 수백만 년 동안 지속되었으며, 전 대륙 지표면의 특징을 완전히 바꾸어놓았다. 이러한 주요빙하시대는 지질시대를 통해 여러 차례 있었다. 가장 오래된 빙하시대는 5억 7,000만 년 이전의 선캄브리아시대에 일어났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광범위한 빙하작용이 있었던 가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남아메리카의 토양
    두드러진 특징은 자연적인 비옥도가 낮은 것이다. 대륙 토양의 약 50% 이상이 하천유역에 분포하고 층을 이루지 않으며, 자양이 빈약한 침전물로서 라토졸(가용물이 삼출한 적황색의 열대성 토양), 적황의 포드졸(불모의 토양) 또는 리고졸(퇴적토)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약 20%는 다양한 형태의 사막성 토양으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남아메리카
  • 카르스트 karst
    확장되고 깊어져 동굴계나 수직방향의 좁은 수갱으로 연결되는 지하하천의 수로를 형성한다. 세계 주요동굴지역의 대부분은 카르스트 지역이다. 카르스트의 특징적 지형에는 라피에, 천연다리, 페피노 힐 등이 있다. 동굴이 충분히 커져서 동굴 천장이 지표면 가까이까지 확장되면, 천장이 붕괴한다. 돌리네라고 하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항공사진 공중사진(空中寫眞), 航空寫眞
    지표면을 지도로 나타내기 위한 항공사진은 체계적인 비행경로를 따라 일정 고도를 비행하면서 한 장면 다음 장면과 겹치는 방식으로 찍히는데, 각 사진에는 지상측량으로 위치를 정해놓은 몇 개의 기준점을 포함한 지역이 나타나 있다. 여러 장의 사진을 겹쳐놓고 동시에 영사하는 사진측량법은 등고선 지도와 입체적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취미
  • 용암 熔岩, lava
    용암은 용융상태의 암석인 마그마가 화산 분출 과정에서 흘러나온 것을 말한다. 분출된 용융상태의 마그마가 지표면에서 식으면서 굳어져 형성된 암석을 용암이라 부르기도 한다. 화산 분화구를 통한 분출시 용암의 온도는 700 ~ 1,200oC 정도이다. 용암은 화산암 성분이 부분 또는 완전 용융되어 있는 상태이며, 마그마...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지구 , 환경
  • 국지성 호우 局地性 豪雨
    비가 내리는 것은 국지성 집중호우라 부른다. 국지성 호우는 대개 지형적인 특징이나 불안정한 기상 상황, 기상 이변 등으로 인해 나타나며 태풍과 함께 나타날...홍수나 산사태 등의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한국의 경우 무더위로 인해 지표면이 덥혀진 여름에 국지성 호우가 주로 발생한다. 서해 쪽에서 밀려온 따뜻...
  • 자이로스코프 회전의, gyroscope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응용장치를 만들 수 있는데, 선박 및 항공기용 나침반과 자동조종장치, 어뢰조종장치, 대형 선박의 횡동요방지장치, 관성유도장치 등에 이용된다. 19세기 프랑스의 과학자 J.-B.-L. 푸코는 모든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고리(그림1­1)인 짐벌 링(gimbal ring)에 설치된 바퀴 또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계 , 과학 일반
  • 사막의 기후조건 및 분포
    운반하고 지표면을 따라 많은 양의 모래를 이동시키며, 모든 입자들은 암석을 마모시켜 면을 만들고 연마하는 도구처럼 작용한다. 계속되는 세립질 물질의 제거로 사막은 자갈과 표력만이 남아 있는 분지로 되어버린다. 드물지만 짧은 시간 동안 거세게 내리는 비는 돌발홍수를 일으킨다. 빗물은 고지대에서 넓게 퍼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환경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