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지표면의 대기대순환

다른 표기 언어

개요

바람

대기 대순환의 모식도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지표면 부근의 대기대순환, 즉 일반풍의 분포는 그림과 같다. 바람은 해류와는 달리 불어오는 방향을 기준으로 명명하기 때문에 그 풍대의 이름에서 탁월풍의 방향을 알 수 있다. 여러 가지 바람과 기압의 분포대는 다음과 같다.

적도무풍대

적도 부근은 적도무풍대로 둘러싸여 있다. 이곳의 기압은 북쪽 또는 남쪽의 외곽지역보다 낮으며 바람은 일반적으로 약하고 풍향도 불규칙하여 때때로 무풍 상태가 된다. 공기에 대한 지구 자전의 영향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이기 때문에 적도상의 바람에는 보이스 발로트의 법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그 대신 공기는 등압선을 횡단하여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대기에 기압차가 있어도 곧 소멸된다. 또한 계절에 따라 최대 태양복사 에너지를 받는 위도대가 다르고, 북반구와 남반구의 지표면 특성이 다르므로 계절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1월은 북반구에서 전형적인 겨울철의 기상 조건이 나타나는 달이며, 최고기온을 보이는 지역은 적도 또는 다소 그 남쪽에 있다. 대륙에서는 이 지역이 해상보다 훨씬 남쪽으로 치우쳐 있다. 따라서 1월중의 무풍대는 해상에서는 늘 적도 부근에 있으며 남아메리카, 동인도의 온난한 육상에서는 남반구의 남위 15°부근에 위치한다. 북반구에서 여름에 최고기온을 나타내는 지역이 북쪽으로 이동하는 정도는 남반구에서 최고기온 지역이 이동하는 정도보다 매우 크다. 이것은 북반구의 대륙이 여름에 상당히 더워지기 때문이며 따라서 적도무풍대 지역은 북쪽으로 옮겨가게 된다. 예를 들면 7월의 적도무풍대 지역은 특히 중앙 아메리카, 북아프리카, 아시아에서는 상당히 북쪽으로 옮겨가 있다. 그러나 아시아, 특히 인도는 계절풍이 발달하는 곳에 위치하기 때문에 적도무풍대 지역이라는 것은 그다지 적당하지 않다. 적도무풍대의 너비는 장소에 따라 크게 변하고 있다. 이 지역은 북반구의 북동무역풍과 남반구의 남동무역풍이 수렴하는 지역으로 되어 있다. 이 2개의 풍계는 종종 직접 마주치게 되므로 언제나 고요한 지역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2개의 무역풍이 마주칠 때 형성되는 경계선을 열대전선 또는 열대수렴대라 한다. 두 무역풍계의 수렴은 상승류와 동시에 단열팽창에 의한 공기의 냉각을 일으키고 강수를 형성한다. 적도무풍대의 계절적 변동 때문에 1년 내내 그 범위 내에 있는 지역은 거의 없다.

무역풍대

무역풍은 북반구에서 북동, 남반구에서 남동의 풍향을 갖고 아열대고압대와 적도무풍대 사이에서 불며 특히 해상에서 풍향과 풍속은 일정한 특징이 있다. 물론 약간의 변동은 일어나지만 다른 풍계의 변동보다는 훨씬 적다. 대서양의 무역풍이 가장 뚜렷하며, 북동무역풍의 평균풍속은 약 17㎞/h이고 남동무역풍은 약 25㎞/h이다. 풍향과 풍속에는 일반적으로 연주기가 있어 전체적인 무역풍대를 고려할 때 그 풍향은 고르지 않다. 적도무풍대가 다른 반구로 이동함에 따라 어떤 영역에서 무역풍은 적도를 횡단하기도 한다. 그 경우 2개의 반구상에서는 각각의 기류에 대한 지구자전에 의한 편향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무역풍 방향이 변한다.

태평양 대서양
3월 북동무역풍 25˚ ~ 5˚N 26˚ ~ 3˚N
적도무풍대 5˚ ~ 3˚N 3˚N ~ 0˚
남동무역풍 3˚N ~ 28˚S 0。 ~ 25。S
9월 북동무역풍 30˚ ~ 10˚N 35˚ ~ 11˚N
적도무풍대 10˚ ~ 7˚N 11˚ ~ 3˚N
남동무역풍 7˚N ~ 20˚S 3˚N ~ 25˚S
자료 : Hann-Süring
무역풍과 적도무풍대의 평균 범위

아열대고압대

적도의 열대수렴대에서 상승한 공기는 아열대고압대에서 하강한다. 그리하여 이 지역은 날씨가 맑으며 바람이 불지 않는 특징이 있다. 바람이 없기 때문에 말을 실은 범선이 움직일 수 없고 또 물도 모자라 말을 버리지 않으면 안되게 된 데서 말위도(horse latitude)라 부르기도 했다. 북반구에서 여름철의 고압대는 연속되지 않고 아프리카-아시아와 북아메리카의 저기압에 의해 분단되어 나타난다. 한편 남반구에서는 이때가 겨울철이어서 대륙은 차고 고압대는 분단되지 않은 채 지구를 둘러싸게 된다. 북반구에서 겨울철에는 이 상황이 반대가 된다. 남반구에서는 이때가 여름이며 기압은 대륙이 더 낮다.

편서풍대

아열대고압대의 위쪽 위도 약 40°부터 극권까지의 범위가 편서풍대이다. 편서풍의 주된 풍향은 서 또는 남서이나 주로 전선과 저기압이 활동하고 있으므로 무역풍의 풍향만큼 안정되어 있지 않다. 이 풍대 내에서는 저기압이 잇따라 이동하므로 풍향이 자주 변화한다. 북아메리카와 아시아의 큰 대륙성 기단에 의해 생기는 요란 때문에 편서풍대 내의 상태는 대륙 면적이 작은 남반구보다 북반구에서 더 복잡하다. 그곳의 편서풍대인 소위 '으르렁거리는 40°'는 1년 내내 일기가 가장 나쁜 지역의 하나이다. 겨울의 북반구에서 고기압 중심은 북아메리카와 아시아에, 저기압 중심은 아이슬란드와 알류샨 열도 부근에 나타난다. 아시아의 고기압은 매우 강하므로 편서풍과 저기압의 통로는 대륙의 북쪽 변두리를 따라 지난다. 이 저기압은 때때로 아시아 고기압의 영향이 미치는 영역으로 침입해오기도 한다. 그러나 그 빈도는 서부 유럽보다 작으며 특히 겨울에 때때로 질풍이 부는 북대서양보다는 훨씬 적다. 북아메리카에서는 고기압 중심의 영속성이 아시아 고기압보다 훨씬 적으므로 일련의 저기압을 수반한 편서풍은 극지에 가까운 대륙의 찬 공기로부터 생긴 이동성 고기압과 교대하여 서쪽의 산맥이나 대륙을 횡단한다. 편서풍의 세기나 저기압의 빈도는 북반구의 따뜻한 계절에는 상당히 감소한다. 아열대고기압은 편서풍대의 적도 쪽 경계이지만 계절과 더불어 이동하므로 편서풍대의 적도 쪽에는 주변역이 있다. 주변역은 겨울철에는 편서풍대의 범위 내에 있으나 여름철에는 아열대고기압에 의해 지배된다. 이 영역은 겨울철에는 저기압의 활동, 흐린 하늘, 강수의 영향을 받지만 여름철에는 건조하여 하늘에 구름이 없다. 이러한 유형에 속하는 기후의 현저한 예는 캘리포니아, 지중해 연안, 남아프리카에서 볼 수 있다.

극편동풍대

극편동풍대는 편서풍대보다 극 쪽에 위치하고 있다. 남반구의 극지방은 찬 남극 대륙에 의해 대부분 덮여 있어 기압이 높다. 따라서 풍향은 동 또는 남동이지만 흔히 국지적 지세에 의한 풍향 변화가 일어난다. 남극 대륙 상공의 바람은 해면의 등압선 보다도 상층의 기압형에 따르고 있다. 북반구의 극지방에서는 최대의 빙하 대륙인 그린란드가 극의 중심에 위치하지 않으며 겨울에는 북시베리아와 북캐나다가 북극해보다 저온이어서 상당히 복잡하다. 이로 인해 캐나다 군도로 부는 바람은 북서풍이 두드러진다. 그러나 스발바르 제도와 프랑스 요셉 제도에서는 풍향 변화가 잘 일어나지만 동쪽 방향의 바람이 가장 많다. 여름철에는 북극지방의 기압경도가 약하므로 바람은 약간 있으나 변동이 자주 일어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지표면의 대기대순환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