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국지성 호우

다른 표기 언어 局地性 豪雨

요약 한정된 지역에 집중적으로 내리는 비

국지성 호우(局地性 豪雨)란 특정 지역에 집중적으로 많은 양의 비가 내리는 것을 말한다. 이때 국지(局地)는 일정하게 한정된 지역이란 뜻을 가지고 있다. 좁은 지역에 돌발적으로 발생해 많은 비를 뿌리는 것으로, 게릴라성 호우라고도 부른다. 5km 이내의 좁은 지역에 시간당 최고 80mm 이상의 비가 내리는 것은 국지성 집중호우라 부른다.

국지성 호우

ⓒ sandid | Public Domain

국지성 호우는 대개 지형적인 특징이나 불안정한 기상 상황, 기상 이변 등으로 인해 나타나며 태풍과 함께 나타날 때가 많다. 돌발적으로 일어나 예측이 매우 어려운 것도 특징이다. 국지성 집중호우가 홍수나 산사태 등의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한국의 경우 무더위로 인해 지표면이 덥혀진 여름에 국지성 호우가 주로 발생한다. 서해 쪽에서 밀려온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지표면의 열기를 만나면 온도차로 인해 뒤섞이며 순환하는 대류현상이 일어나는데, 이 공기층이 북쪽에서 온 차가운 공기와 섞여 비구름을 형성한다. 순식간에 형성된 비구름은 좁은 지역에 국지성 호우를 발생시킨다. 지리산의 경우 험준한 산악지형으로 구름대가 막혀 국지성 호우가 자주 발생하는 대표적인 지역이다.

비를 뿌리는 대형 비구름대 안에 있는 호우세포(豪雨細胞) 역시 국지성 호우를 일으키는 원인 중 하나다. 호우세포는 작은 비구름으로 주로 더운 공기층과 찬 공기층의 충돌로 형성된다. 호우세포는 2~3시간이 지나면 사라지지만, 대형 비구름대 속에서 습기를 흡수해 단발적으로 비를 뿌려 국지성 호우를 일으킨다. 초가을에 발생하는 가을장마의 경우 호우세포의 발생으로 국지성 호우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국지성 호우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