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지평 砥平경기도 양평지역의 옛 지명. 내용 본래 고구려의 지현현(砥峴縣)이었는데, 신라 경덕왕 때 지평현으로 고쳐 삭주군(朔州郡: 지금의 春川)의 영현으로 삼았다. 1018년(현종 9) 광주(廣州)로 이관시켰고, 1391년(공양왕 3) 철장(鐵場)을 지평군 경계에 설치하고 감무를 두었다. 1413년(태종 13)에 현감을 두었고, 1895년...
- 시대 :
- 조선
- 성격 :
- 고지명
- 유형 :
- 지명
- 소재지 :
- 경기도 양평군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지평 持平고려 후기 사헌부의 정5품 관직. 내용 1308년(충렬왕 34) 감찰사(監察司)가 사헌부(司憲府)로 개편되면서 처음 설치되었다. 그 뒤 사헌부가 감찰사로 환원될 때에도 폐지되지 않다가 1356년(공민왕 5)에 감찰사가 어사대(御史臺)로 개편될 때 폐지되었다. 1362년 감찰사가 복구되면서 다시 설치되었으며, 1369년에 감...
- 시대 :
- 고려
- 성격 :
- 관직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308년(1차), 1362년(2차), 1372년(3차)
- 폐지일 :
- 1356년(1차), 1369년(2차)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지평 持平조선시대 사헌부의 정5품 관직. 내용 정원은 2인이다. 조선왕조 건국 직후에 반포된 태조신반관제에 의하면 사헌부에 정5품의 잡단(雜端) 2인이 있었는데, 이 잡단이 후에 지평으로 바뀐다. 즉, 1401년(태종 1) 7월 관제개혁 때 잡단을 지평으로 고치고 이것이 그대로 『경국대전』에 법제화되었다. 사헌부의 직무는 ...
- 시대 :
- 조선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존재의 지평을 넓힌 지도 지도, 생각의 기준을 뒤집다더 가까운 궤도로 옮겨간다. 20세기 가장 중요한 과학의 성과라고 인정받은 시공간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양자역학의 발견은 인류의 지식과 상상력에 새로운 지평을 열어 주었다. 현대물리학은 물체가 가진 질량에 따라 공간이 휘고 빛도 굴절되며 원자와 같은 극소 세계에서도 빛과 전자가 서로 만나고 헤어지며 운동...
-
신법지평일구 新法地平日晷이 해시계에 절후선을 긋지 않고 시각선에 해당되는 위치에 점을 찍어 놓거나 짧은 직선으로 나타내도 좋다. 덕수궁 정원에 있는 것이 바로 그 경우이다. 신법 지평일구는 현재 세종대왕기념관에 2기가 있는데, 전에 창덕궁에 있던 것을 옮겨놓은 것이다. 이 해시계는 검은 대리석으로 된 것으로, 가로 58.9㎝, 세로...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물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
신법 지평일구 숭정구년신법지평일구, 新法 地平日晷개설 1985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가로 120㎝, 세로 58㎝, 두께 15㎝의 흰 대리석에 시각선과 절기선을 그려 만든 이 평면 해시계에는 ‘신법지평일구(新法地平日晷)’라는 글자 이외에도 ‘숭정9년세차병자일전 흠정수독부신탕약망나아곡(崇禎九年歲次丙子日躔 欽定修督陪臣湯若望羅雅谷)’이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다...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물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
지평일구 地平日晷저녁에는 동쪽으로 보낸다. 그림자와 삼각판의 밑변이 만드는 각은 시간의 변동에 따라서 점차로 변하여 간다. 따라서, 이것으로 시각을 측정할 수 있다. 큰 지평일구에서는 수영면에 삼각판의 꼭짓점이 던지는 그림자의 궤적을 그려놓기도 한다. 이 궤적은 계절에 따라 다른데, 한 계절마다 한개의 금, 즉 등절후곡선...
- 시대 :
- 조선
- 성격 :
- 측량기구, 해시계
- 유형 :
- 유물
- 재질 :
- 대리석, 오석(烏石)
- 제작시기 :
- 1789년(정조 13)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 소장/전승 :
- 서울대학교 박물관
-
지평향교 砥平鄕校내용 1773년(영조 49)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그 밖의 자세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5칸의 대성전, 7칸의 명륜당, 내삼문(內三門) 등이 있으며, 대성전에는 5성(五聖), 송조2현(宋朝二賢), 우리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
- 분야 :
-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