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선소설사 朝鮮小說史국문학자 김태준이 우리나라 소설사에 관해 서술하여 1933년에 간행한 학술서. 개설 1책. B6판. 206면. 1933년 청진서관(淸進書館)에서 간행하였다. 한국소설사로는 최초의 저술이다. 내용 제1편 「서론」에서는 소설의 정의에서 비롯하여 소설사의 윤곽을 밝히고, 제2편 「설화시대의 소설」에서는 소설의 기원, 삼국...
- 시대 :
- 근대
- 유형 :
- 문헌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조선소설사 朝鮮小說史천태산인(天台山人) 김태준(金台俊)은 국문학자이자 사상가이다. 대학 시절 《신흥(新興)》지에 참여하였으며, 1930년 국내 최초의 비교문학적 국문학 연구인 「조선소설사」를 《동아일보》에 연재하였다. 1931년에는 이희승 ・ 조윤제 등과 조선어문학회를 결성하였고, 그 해에 『조선한문학사』를 발간하여 한문학과 ...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김태준(1905~1950)
- 크기 :
- 12.5×19(cm)
- 간행/발행 :
- 청진서관, 1933.
- 면수/쪽수 :
- 206면
-
고소설을 최초로 정리한, 김태준 金台俊현재 모든 고소설 연구는 《조선소설사(朝鮮小說史)》의 각주에 불과하다! 각주(脚註)란, ‘논문 따위의 글을 쓸 때, 본문 한 부분의 뜻을 보충하거나 풀이한 글’ 정도의 의미다. 《조선소설사》를 이렇게 잔뜩 추켜세우는 데는 그럴 만한 이유가 충분하다. 《조선소설사》 이 다섯 글자를 우리가 처음 본 것은 엄혹한...
-
조선한문학사 朝鮮漢文學史영향, 문장가·학제·문풍 등을 중심으로 서술하였으며, 시 등을 예문으로 넣었다. 시·문 등 정통적인 한문학을 중심으로 다루었으며 한문소설은 그의 『조선소설사(朝鮮小說史)』를 중심으로 다루었으므로, 『조선소설사』와 상보적 관계에 있다. 그는 유학과 문학을 엄연히 구별하여 한문학의 범주를 확정지었다. 또...
- 시대 :
- 일제강점기
- 저작자 :
- 김태준(金台俊)
- 창작/발표시기 :
- 1931년
- 성격 :
- 학술서
- 유형 :
- 문헌
- 간행/발행 :
- 조선어문학회
- 분야 :
- 문학/한문학
-
조선문고 朝鮮文庫金南天)의 단편집 ≪소년행 少年行≫, 이효석(李孝石)의 단편집 ≪해바라기≫, 임화 편선(編選)의 ≪조선민요편선≫, 김재철(金在喆)의 ≪조선연극사≫, 김태준의 ≪증보조선소설사≫, 채만식(蔡萬植)의 ≪채만식단편집≫, 유진오(兪鎭午)의 ≪유진오단편집≫, 이기영(李箕永)의 ≪이기영단편집≫, 김기림(金起林)의...
- 시대 :
- 근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언론·출판/출판
-
조선가요집성 朝鮮歌謠集成고대 삼국·고려·조선의 시대별 가요(歌謠)를 취사하여 편집한 고전시가 자료 선집(選集)이다. 편찬/발간 경위 국문학연구자였던 편자가 『조선한문학사』(1931),『조선소설사』(1932)에 이어, 1934년에 출간한 점에서, 편자 스스로 한문학·서사문학·시가문학의 연구를 통해 전체 한국문학의 구도를 정립하려는 견지...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김태준, 金台俊
- 창작/발표시기 :
- 1934
- 성격 :
- 시선집, 고전시가자료선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간행/발행 :
- 한성도서주식회사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
김태준 천태산인, 金台俊1944년 옌안[延安]으로 갔다. 광복 후 장안파 공산당에 대항한 조선공산당 재건준비위원회의 주요 멤버로 활동하였다. 남로당 문교부장으로 있으면서 『조선소설사』를 증보하려고 손을 대었다가 이루지 못하고, 1949년 11월 이주하(李舟河)·김삼룡·박우룡(朴雨龍) 등과 함께 대한민국 측에 의해서 수색(水色)에서...
- 시대 :
- 근대
- 출생 :
- 1905년
- 사망 :
- 1949년 11월
- 경력 :
- 명륜학원 강사, 명륜전문학교 강사, 경성제국대학 강사, 인민전선부장, 조선공산당 재건준비위원회, 남로당 문교부장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경성콤그룹 독서회사건
- 직업 :
- 학자, 사상가
- 대표작 :
- 조선한문학사, 조선소설사, 증보조선소설사, 춘향전, 고려가사, 춘향전의 현대 해석, 별곡의 연구, 연안기행
- 성별 :
- 남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패관문학 稗官文學내용 패관문학이라는 말이 국문학사와 소설사에서 쓰이기 시작한 것은 김태준(金台俊)의 『조선소설사(朝鮮小說史)』가 처음이다. 그러나 역사적으로는 패관문학보다 패관소설(稗官小說)·패사(稗史)·패사소설(稗史小說)·패관기서(稗官奇書) 등이 거의 같은 개념으로 널리 쓰였다. 김태준은 『조선소설사』에서 고려...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문학/한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