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임원경제지 임원십육지, 林園經濟志조선후기 문신·실학자 서유구가 영농방법 및 정부의 농업 정책을 비롯한 어업·의학 등 농촌의 생활전반을 다룬 정책서. 내용 113권 52책. 필사본. 일명 ≪임원십육지 林園十六志≫ 또는 ≪임원경제십육지 林園經濟十六志≫라고도 한다. 이 책은 저자가 서문에서 밝히듯이, 전원생활을 하는 선비에게 필요한 지식과 ...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서유구(徐有榘)
- 창작/발표시기 :
- 조선 후기
- 성격 :
- 정책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13권 52책
- 분야 :
- 경제·산업/산업
- 소장/전승 :
- 서울대학교 도서관(유일본), 고려대학교 도서관(전사본(轉寫本)), 일본 오사카(大阪)의 부립도서관(가장원본(家藏原本))
-
전통 마을 (동의어 임원경제지)마을은 촌락, 부락, 취락 등과 같은 의미로 쓰이며 일반적으로 '외부로부터 은폐되고 자연 울타리인 골을 테두리로 같은 물을 사용하면서 공동체 생활을 하기 편리한 행정적 단위 공간'으로 정의한다. 그러므로 전통 마을은 선조들의 삶과 문화가 공간 속에 배어든 토속적 문화 경관의 표상이라 할 수 있다. 경관이란 보...
-
-
서유구 정계 복귀 〈임원경제지〉의 저자서유구는 홍만선(1643년~1715년)이 지은 『산림경제』를 토대로 조선과 중국의 책 900여 권을 참고하고 인용해 농업과 일상생활의 백과전서로 꼽히는 『임원경제지』를 남긴다. 참조
- 시대 :
- 1824년
- 국가/대륙 :
- 한국
-
유예지 임원16지(林園十六志), 遊藝志실내악(室內樂)을 정리하였는데, 그의 아들인 서우보(徐宇輔, 1795~1827)가 교열로 참여하였다. 서지사항 「유예지」는 당대 최고의 백과사전적 농서인 『임원경제지』의 한 부분으로 16부문으로 나누어져 있어서 『임원16지(林園十六志)』로도 불린다. 현존 「유예지」는 총 6권 3책의 필사본이며, 그중 음악을 다룬 것...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행포지 杏蒲志그 지방의 농업 기술을 조사하고 연구하게 한 후 보고하여 이것으로 전국적인 농서를 편찬하자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후 농업의 백과전서적 저술인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로 집대성할 수 있었다. 『행포지(杏蒲志)』는 『임원경제지』를 저술하기 전에 집필된 책으로 보인다. 이는 『임원경제지』에 인용이...
- 시대 :
- 조선후기
- 저작자 :
- 서유구
- 창작/발표시기 :
- 19세기
- 성격 :
- 농업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6권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소장/전승 :
- 일본 오사카 나카노지마(大阪中之島) 도서관,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 대학교 동아시아 도서관, 화봉문고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인삼주 人蔘酒것으로 보아 우리나라에서도 오래 전부터 인삼주가 만들어졌던 것으로 추정된다. 구체적인 제법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헌인 『임원경제지』 등에 기록되어 있다. 만드는 법은 『임원경제지』에서는 인삼을 가루내어 누룩과 찹쌀을 넣어 빚거나, 인삼가루를 주머니에 담아서 술에 침지하였다가 끓여 마신다고 하였다. 요즘...
- 성격 :
- 음식, 술
- 유형 :
- 물품
- 재질 :
- 인삼, 누룩, 찹쌀
- 용도 :
- 음료용, 약용
- 분야 :
- 생활/식생활
-
송화주 松花酒내용 『규곤시의방(閨壼是議方)』·『임원경제지』·『농정회요(農政會要)』 등에 기록되어 있다. 만드는 법은 『규곤시의방』에서는 물 서 말에 말린 송화 다섯 되를 넣어 달인 뒤에 찹쌀 다섯 말로 죽을 쑤어 섞고, 누룩가루 일곱 되를 섞어 넣는다. 5일 후에 쌀 열 말을 쪄서 송화 한 말을 달인 물에 누룩 석 되를...
- 성격 :
- 음식, 술
- 유형 :
- 물품
- 재질 :
- 송화, 쌀, 누룩
- 용도 :
- 음료용, 약용
- 분야 :
- 생활/식생활
-
서유구 준평(準平), 徐有榘이 제안이 실현되지는 않았지만, 정조의 윤음으로 가학이기도 한 농학을 체계화시킬 필요성을 느끼게 한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서유구의 농학은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로 집대성되지만, 그 이전에도 기초적 연구로서 농업 기술과 농지 경영을 주로 다룬 『행포지(杏浦志)』, 농업 경영과 유통 경제의 관련에 초점...
- 시대 :
- 조선
- 출생 :
- 1764년(영조 40)
- 사망 :
- 1845년(헌종 11)
- 경력 :
- 이조판서, 우참찬, 대제학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대표작 :
- 임원경제지, 난호어목지, 누판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대구(大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