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임나일본부설 남선경영론, 任那日本府說
    임나일본부설(任那日本府說)은 일본의 야마토 정권이 4세기 후반 한반도의 남부 지역인 가야 지방에 ‘임나일본부’를 설치하여 근 200년간 한반도의 남부를 지배했다는 주장이다. 이와 같은 주장은 현재 어느 정도 수정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일본의 교과서에는 그 내용이 그대로 수록되어 있어 일본인의 한국에 ...
  • 임나일본부설 任那日本府說
    왜가 4세기 중엽에 가야지역을 군사적으로 정벌해 임나일본부라는 통치기관을 설치하고 6세기 중엽까지 한반도 남부를 경영했다는 학설.|내용 ‘남선경영론(南鮮經營論)’이라고도 한다. 이는 일제가 그들의 한국 침략과 지배를 역사적으로 정당화하기 위해 조작해 낸 식민사관 중에서, 한국사의 전개과정이 고대부터 ...
    시대 :
    고대/초기국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역사/고대사
  • 임나일본부설
    임나일본부설은 고대 일본의 야마토 정권이 4세기 후반 한반도 가야 지방에 일본부라는 통치 기관을 설치하여 지배했다는 설이다. 이는 광개토대왕 비문의 '왜가 신묘년(辛卯年, 391년) 이래 백제와 신라를 쳐서 신민으로 삼았다'라는 기록에 근거한 것이다. 일본 학자들은 또한 《일본서기》의 '진구 황후가 369년 한반...
  • 임나일본부설 任那日本府說
    임나일본부설은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고 그 지배를 정당화하기 위해 날조한 식민사관의 하나이다. 일본인들은 우리나라의 역사가 타율적으로 발전했다고 주장하면서 임나일본부설을 제기했다. 이를 체계화한 스에마쓰에 의하면, 3세기 중엽 왜인은 변진구야국, 즉 임나가야를 점유하고 있었으며, 왜왕은 그 중계지를 통...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삼국시대 , 가야
  • 임나일본부설
    4세기 후반 일본이 백제·신라·가야를 지배했다는 설. 특히 가야에는 일본부라는 기관을 두어 6세기 중엽까지 직접 지배했다고 주장한다.
  • 임나일본부설 (관련어 임나 일본부설) 任那日本府, 任那日本府
    임나일본부설(任那日本府說)은 4~6세기경에 일본의 야마토 정권이 한반도 남부의 임나 지역에 통치기구 임나일본부를 세워 지배 하였다는 학설이다. 당시 국제관계에서는 일어날 수 없는 조작의 혐의가 짙은 내용과 사료에 모순이 있다는 점에서 현대에는 한일 양국 모두 《일본서기》 속 임나일본부를 그대로 믿지 않고...
    도서 위키백과
  • 가야 제국의 쇠퇴
    5세기 중엽~6세기 전반부터 가야 제국은 동쪽의 신라와 서쪽의 백제의 침입에 휩쓸리기 시작하였다. 《삼국사기》, 〈창녕진흥왕순수비〉, 《일본서기》 등에는 당시의 사정이 비교적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가야 제국은 신라와 백제에 대항해 자국의 독립을 유지하기 위해 전쟁과 외교정책을 번갈아 구사하였고, 친(...
  • 광개토왕릉비의 연구
    신공황후(神功皇后)가 4세기 후반에 한반도 남부지역을 정벌했다는 전설적 내용을 관련지어 그를 뒷받침하는 것으로 간주했다. 이러한 연구 속에서 소위 '임나일본부설'(任那日本府說)이 정설로 정착되었다. 그뒤 일본이 한국을 병합하고 나서는 본격적인 현지조사가 이루어져, 1913년에는 세키노[關野貞]·이마니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구려
  • 임나 任那
    지배했다는 임나일본부(任那日本府)나 임나관가(任那官家)를 말할 때 쓰고, 때로는 그 세력이 미친 가야국 전체를 통칭하는 표현으로도 썼다(→ 임나일본부설). 일본인들은 임나를 미마나(mimana)로 발음했다. 여기서 임(任)은 주(主)·왕(王)의 뜻이고 나는 나·내의 한자음 표기로서 고어의 들판·평야·나라에 해당...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가야
  • 기마민족설 騎馬民族說
    眞吉]의 일선민족동조론(日鮮民族同祖論)의 현대판이라고 말한 바 있듯이, 기마민족설은 과거 일본 역사학계가 지니고 있던 식민사관에 뿌리를 두고 구체적으로는 임나일본부설을 일부 보완, 강화하고자 하는 의도를 깔고 제시된 학설이다. 실제로 이 설을 둘러싼 논쟁은 기마민족설의 정당성을 학문적으로 검토하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식민사관 植民史觀
    첫째, 에도[江戶] 시대 이래 〈고지키 古事記〉·〈니혼쇼키 日本書紀〉 등 일본고전을 연구하는 국학자들이 주장하던 신공(神功)황후의 신라정복설, 임나일본부설(任那日本府說)을 계승한 일선동조론(日鮮同祖論)이 강하게 나타난다. 1877년 간행된 〈일본사략 日本史略〉을 개정하여 1890년 도쿄제국대학의 교수로...
  • 타율성론 식민사관
    식민지에서부터 출발했으며, 남으로는 신공황후의 남선정벌을 전후로 하여 임나일본부가 설치되어 일본이 수세기 동안 남선일대를 지배했다고 한다(임나일본부설). 식민사학자들의 이러한 역사인식은 고대사뿐만 아니라, 그후의 역사에까지 확대·적용되어 한국사 전개의 일반원리로서 주장되었다. 그러나 식민사관의...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건

진구 황후의 한반도 정벌설
광개토대왕비
광개토대왕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