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기마민족설

다른 표기 언어 騎馬民族說

요약 일본민족의 기원 및 고대국가 형성에 관한 학설의 하나.

'기마민족정복설'이라고도 한다.

이 학설은 1948년 일본의 〈민족학연구 民族學硏究〉라는 학술지에서 개최한 '일본문화의 원류와 일본국가의 형성'이라는 주제의 학술좌담회 자리에서 역사고고학자인 에가미 나미오[江上波夫]에 의해 제기되어 사회일반과 관련학계의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을 뿐만 아니라 오늘날에도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에가미는 제2차 세계대전 이전까지 북중국과 내몽골 일대에서 행해진 고고학·민족학 연구에 참여하면서 중국 역사에 끼친 기마민족문화의 영향에 주목해, 그것이 일본 고대국가 형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고 다음과 같은 가설을 제시했다.

야요이 문화[彌生文化]에 이어 전개되는 일본의 고분문화는 성격상 전기와 후기로 나뉘며, 양자 사이에는 문화적 특성상 여러 가지 면에서 현격한 차이가 있다. 전기 고분문화가 농경문화적 요소인 주술적·상징적·평민적·동남아시아적 내용을 지니고 있는 데 비해, 4세기말~5세기초에 걸쳐 전개된 후기 고분문화는 현실적·전투적·왕후귀족적·북방아시아적인 내용을 가진 기마민족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전·후기 고분문화에 나타나는 이러한 비연속적·이질적인 요소는 기마민족의 일본열도 정복 때문이다.

4세기 전후에 고구려와 가까운 퉁구스계 북방 기마민족의 일파가 한반도로 남하해 남해안의 김해지방에 있던 금관가야(金官加耶)를 정복하고 변한 일대를 지배하다가 바다를 건너 일본열도를 정복하여 통일왕국인 야마토[大和] 국(國)을 세웠으며, 그 주체세력이 덴노[天皇]가(家)이다.

〈니혼쇼키 日本書記〉와 〈고지키 古事記〉에 보이는 건국신화상의 북방적 요소는 이러한 역사적 현실의 반영이다.

에가미의 발언내용을 포함한 좌담회의 기사는 1949년 〈민족학연구〉 13-2호에 실려 일반의 이목을 끌었다. 1958년 출간된 〈일본민족의 기원〉은 그 증보판이다. 이러한 학설은 일본 덴노가가 진무 덴노[神武天皇] 이래 만세일계(萬世一系)라고 주장해온 기존의 고고쿠[皇國]사관(史觀)을 부정하는 새로운 견해였으므로 이를 둘러싼 큰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일본 학계의 비판은 일본민족과 문화의 내재적 자기발전설에 입각한 주체적 문화수용론을 바탕으로 실증적으로 전개되었다.

한반도에서 건너온 이주민이 일본사회에 여러 가지 영향을 미친 것은 4~5세기가 아닌 기원전후이며, 3~4세기 삼국관계 사료에서 기마민족의 일본정복을 시사하는 내용을 찾을 수 없고, 후기 고분문화의 특징들은 일본의 임나출병(任那出兵)에 따른 선진문물과의 접촉 및 이의 적극적이고 주체적인 수용의 결과라는 견해가 제시되었다.

학계의 비판이 잇따라 나오자 에가미는 자신의 설을 일부 수정·보완해 1964년〈일본에 있어서 민족의 형성과 국가의 기원〉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동양문화연구소기요 東洋文化硏究所紀要〉에 발표했다. 여기서 그는 자신의 학설을 다음과 같이 구체화하여 제시했다.

한반도로 내려온 북방 기마민족이 남한에 세운 첫번째 나라는 진국(辰國)이다.

진국은 중국 위(魏)의 세력강화와 동방정책에 의해 쇠퇴하여 4세기 전반에 마한에는 백제가, 진한에는 신라가 세워졌다. 변한 일대로 밀려나 세력을 유지하던 진왕(辰王)의 세력은 바다 건너 일본의 기타큐슈[北九州]로 진출하여, 왜한연합왕국(倭韓聯合王國/任那築紫聯合王國)을 세웠으며, 수도는 쓰쿠시[築紫]였다. 이것이 제1차 일본 건국이며, 이를 주도한 인물이 수진 덴노[崇神天皇]이다. 천손(天孫)인 니니기노미코토[瓊瓊杵尊]의 강림신화(降臨神話)는 그 반영이다.

4세기말에서 5세기초에는 오진 덴노[應神天皇]가 임나를 중심으로 고구려의 남하정책에 대항하면서 일본의 기나이[畿內] 지방을 정복해 야마토[大和] 왕국을 세웠다. 이것이 제2차 일본건국이라는 것이다.

에가미는 1974년의 한 좌담회에서, 진국이 쇠퇴하면서 주류는 변한으로 가고 지파는 마한에서 백제를 세워, 야마토 조정이 백제에 대해 임나지배의 정통성을 주장하는 근거는 이같은 역사적 사실에 기인한다고 하여 자신의 기존설을 보완했다.

그의 기마민족설은, 일본국가와 민족의 기원을 동북아시아의 역사 특히 한국사와 관련하여 검토했다는 점에서 일정한 의의를 가지고 있지만 실증적·역사인식적 측면에서는 여러 가지 문제를 안고 있다.

먼저 실증적인 면에서는, 그 근거자료로 이용되었던 일본 후기 고분문화에 대한 기존 편년과 해석이, 한국과 일본에서 이루어진 해당 시기의 고고학적 발굴자료의 증가에 의해 수정이 불가피해졌다는 점을 들 수 있다. 4세기초로 추정되는 낙동강 하류의 고고학적 유물·유적 가운데는 이 지역에서의 기마문화의 존재를 시사하는 자료가 발견되지 않고 있으며, 오히려 농경문화의 정착을 알리는 유물이 대부분이다.

가야고분에서 출토된 기병용 계갑(甲)이나 마구류는 5세기초에 있었던 고구려 광개토왕의 낙동강 유역 원정이 계기가 되어 이 지역에 퍼져나간 것으로 보고 있다. 또 기마민족이 세웠다는 진국이 어떤 사회단계의 나라였는지, 그 위치와 영역이 어떠했는지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제대로 연구된 적이 없으며, 진국이 김해지방에 있었는지를 알려주는 증거가 전혀 남아 있지 않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한국의 역사학계에서는 진왕을 삼한의 연맹장으로서 마한 54국의 하나인 목지국(目支國)만을 직접 지배한 존재로 보고 있다.

역사인식의 측면에서 보면, 에가미의 설은 과거 일본의 역사학계가 제기했던 일선동조론(日鮮同祖論)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에가미 자신도 자신의 설이 기다 신키치[喜田眞吉]의 일선민족동조론(日鮮民族同祖論)의 현대판이라고 말한 바 있듯이, 기마민족설은 과거 일본 역사학계가 지니고 있던 식민사관에 뿌리를 두고 구체적으로는 임나일본부설을 일부 보완, 강화하고자 하는 의도를 깔고 제시된 학설이다.

실제로 이 설을 둘러싼 논쟁은 기마민족설의 정당성을 학문적으로 검토하기보다는 임나일본부설의 해석방식에 초점이 맞추어진 듯한 인상이 짙다.

에가미도 임나일본부설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입장을 버리지 않고 5세기에 왜국의 왕들이 중국 남조(南朝)의 여러 왕조에 대해 '임나왕'이라는 호칭을 허락받고자 애쓴 것은, 과거에 그들이 남한 지역을 지배한 역사적 사실에 바탕을 두고 이 지역에 대한 잠재적 권리를 국제적으로 확인받으려 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에가미의 기마민족설은 그에 대한 일본 학계의 부정적 입장에도 불구하고 여러 분야의 연구자들에 의해 재검토와 수정·보완이 시도되어 '퉁구스수군설'(우메사오[梅棹忠夫]), '신기마민족설'(미즈노[水野祐]), '부여족의 구주정복설'(G.K. 레디아드), '한반도 기병집단의 일본정복설'(千寬宇) 등이 제시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세계사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기마민족설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