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중모음 二重母音, diphthong
    이중모음은 이른바 순수 모음, 즉 조음 위치가 처음부터 끝까지 바뀌지 않는 안정상태의 모음과 대조되어 하나의 말소리지만, 발음기호로 옮길 때에는 대개 첫번째와 2번째 발음을 각각 나타내는 1쌍의 기호로 표기한다. 대부분의 영어 방언에는 많은 모음이중모음이다. 예를 들어 'out'과 'ice'의 모음은 각각 [au]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이중모음 二重母音
    발음할 때 혀나 입술이 일정한 상태에 있지 않고 움직여서 음색이 한 번 변하는 모음.|내용 이중모음은 편의상 한 음절(音節) 속의 모음의 연속, 또는 모음과 반모음(半母音)의 결합으로 해석되고 있다. 이 때 음절의 핵심으로 기능하는 부분을 음절주음(音節主音)이라 하고, 그 주변부를 이루는 부분을 음절부음(音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언어/언어·문자
  • 반모음과 이중모음
    고모음 [i,u]를 발음할 때보다 혀를 더 높여 입천장에 접근시키면 반모음 [j,w]가 발음된다([j]를 [y]로 적고 [y,ø]를 [ü, ö]로 적는 학자도 있음). 또 고모음 [y]자리에서 나는 반모음은 [ч]이다. 반모음은 모음과 자음의 중간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단독으로 음절의 핵이 될 수 없는 점이 모음과 다르고, 모음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이중모음
    이어지는 두 개의 모음 중 시작 모음과 끝 모음이 다른 소리를 내며 한 음절을 이루는 경우, 이 두 모음을 가리킨다. 시작 소리가 높은 것은 하강 이중 모음이라 하고, 끝 소리가 높은 것은 상승 이중 모음이라 한다.
  • 이중모음 (관련어 이중 모음) Diphthong, 二重母音
    이중모음(二重母音, Diphthong)이란 이어지는 두개의 모음 중 시작 모음과 끝 모음이 다른 소리를 내는 것을 말한다. 소리를 내는 동안 조음 기관의 위치가 변화하여 다르게 소리난다. 시작 소리와 마지막의 소리를 비교하면 확실히 다르지만, 조음 기관이 매끈하게 이동하여, 청각적으로 하나의 모음으로서 인식된다. ...
    도서 위키백과
  • 모음 홀소리, 母音
    개설 자음(子音)과 대립되는 말로서 ‘홀소리’라고도 한다. 음소로서의 모음과 구별하여 ‘모성(母聲, vocoid)’이라고도 한다. 모음은 단모음과 이중모음으로 구분된다. 모음을 조음(調音)하는 데는 성대 · 혀 · 입술 · 연구개(軟口蓋) 등의 발음기관이 중요한 구실을 하는데 그 중에서 혀의 구실이 가장 중요하다...
    유형 :
    개념
    분야 :
    언어/언어·문자
  • 모음체계 母音體系
    개설 모음은 단모음과 이중모음으로 구분되는데 표준어의 단모음은 ‘ㅏ, ㅐ, ㅓ, ㅔ, ㅗ, ㅚ, ㅜ, ㅟ, ㅡ, ㅣ’ 10개이다. 이러한 단모음을 발음하는 화자는 경기, 강원, 충청 등 중부 지역의 노년층에 국한되기 때문에 「표준 발음법」에서도 ‘ㅟ, ㅚ’를 제외한 8개의 단모음을 허용하고 있다. 현실 생활에서 많은...
    유형 :
    개념
    분야 :
    언어/언어·문자
  • 국어의 모음 변천
    한다. 반모음은 [j, w]둘이 있었는데 이중모음 외에 삼중모음도 형성했다. [j]가 결합된 상향이중모음으로 '야, 여, 요, 유'가 있었고 [w]가 결합된 상향이중모음으로 '와, 워'가 있었다. [j]가 결합된 하향이중모음 '애[aj], 에[əj], 외[oj] , 위[uj], [∧j], 의[ɨj]'가 있었던 것은 현대국어와 특히 다른 점이다. '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모음조화 母音調和, vowel hamony
    종류도 오늘날과 달라서 '오··아'가 양성모음, '우·으·어'가 음성모음이었고 '이'는 중성모음이었다. '애·외'는 현대국어와 달리 이중모음[aj, oj]이어서 양성모음으로 쓰였다. 모음조화가 지켜졌던 범위는 첫째, 한 형태소 내부(즉 단일어 내부)이다.(강)·나모(나무)·다(다섯)·놀애(노래)·가마괴(까마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모음체계 母音體系
    보기도 한다. 이 견해를 따르면 위에서 본 모음체계를 거쳐 이러한 모음체계에 이르렀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지금 젊은 세대의 말에서는 '위·외'가 각각 이중모음 [wi]·[we]이고 '에·애'가 구별되지 않아 모음체계가 좀더 단순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모음체계가 조금씩 바뀌어가는 과정을 모음추이라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모음으로는 4번째 글자이다. 혀가 'ㅣ'에서 'ㅓ'로 옮아가며 나는 이중모음으로 음성기호로는 [j]와 [ə] 또는 [ʌ]가 결합된 [jə] 또는 [jʌ]로 표기한다. 〈훈민정음〉 해례본에서는 "ㅕ 如彆子中聲, 〈훈민정음〉 국역본에서는 "ㅕ 彆 字 가온소리 니라"라고 하여 'ㅕ'음을 설명하고 있다.〈훈민정음〉 해례본 제자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훈몽자회〉 범례 중성독용십일자란에 5번째로 쓰였고 1933년 '한글맞춤법통일안'에서도 이를 따르고 있다. [ㅘ] 와. 현대국어에서 'ㅗ'와 'ㅏ'를 합한 이중모음. 입술을 'ㅗ' 소리를 낼 듯하고 'ㅏ'로 옮겨가며 내는 소리이다. 음성기호로는 [wa]로 표기한다. [ㅙ] 왜. 현대국어에서 'ㅗ'와 'ㅏ'와 'ㅣ'를 합한 이중모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국어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이중모음 (diphthong)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