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모음 홀소리, 母音모음은 허파에서 올라온 공기가 구강통로에서 폐쇄나 마찰에 의한 장애를 받지 않고 성대의 진동과 함께 나오는 소리이다. 자음과 대립되는 말로서 홀소리라고도 한다. 모음은 단모음과 이중모음으로 구분된다. 모음은 혀의 높이에 따라 고모음·중모음·저모음으로, 혀의 위치에 따라 전설모음·중설모음·후설모음으로...
- 유형 :
- 개념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조선어 표준말 모음있는 제일공립보통학교(오늘날의 창녕국민학교)에서 제3독회를 열어 사정안 전체에 대하여 사정을 완전히 마치고, 같은해 10월 28일 ‘사정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이라는 표제로 발간한 것이다. 표준말을 사정하기 위하여서는 그 사정원칙을 세워야 하는데, 이 사정원칙은 언어학에 바탕을 두고 현실의 언어사용을...
- 시대 :
- 근대
- 유형 :
- 문헌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모음조화 母音調和현상이 모음조화이다. 이 모음조화현상은 한국어를 비롯한 알타이제어는 물론이고 우랄제어에서도 널리 나타나는 공통특질의 하나로 주목되어왔다. 모음조화는 모음체계와 관련하여 볼 때에 대립되는 두 모음군의 대립양상에 따라 그 유형을 나눌 수 있다. 첫째, 수직적 조화는 전설모음(前舌母音) 대 후설모음(後舌母音...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모음체계 母音體系개설 모음은 단모음과 이중모음으로 구분되는데 표준어의 단모음은 ‘ㅏ, ㅐ, ㅓ, ㅔ, ㅗ, ㅚ, ㅜ, ㅟ, ㅡ, ㅣ’ 10개이다. 이러한 단모음을 발음하는 화자는 경기, 강원, 충청 등 중부 지역의 노년층에 국한되기 때문에 「표준 발음법」에서도 ‘ㅟ, ㅚ’를 제외한 8개의 단모음을 허용하고 있다. 현실 생활에서 많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