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모음 母音, vowel
    사람이 날숨으로 목청을 울려 입을 통해 내는 소리.|말을 할 때 사용하는 음성은 크게 자음과 모음으로 나뉜다. 자음은 허파에서 나오는 숨이 목구멍·혀·입과 같은 발음기관의 방해를 받아 나는 소리인 반면, 모음은 공기의 흐름이 거의 방해받지 않고 나는 소리이다. 공기가 입 안을 통과할 때 입 안의 모양에 따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국어
  • 모음 홀소리, 母音
    모음은 허파에서 올라온 공기가 구강통로에서 폐쇄나 마찰에 의한 장애를 받지 않고 성대의 진동과 함께 나오는 소리이다. 자음과 대립되는 말로서 홀소리라고도 한다. 모음은 단모음과 이중모음으로 구분된다. 모음은 혀의 높이에 따라 고모음·중모음·저모음으로, 혀의 위치에 따라 전설모음·중설모음·후설모음으로...
    유형 :
    개념
    분야 :
    언어/언어·문자
  • 모음 vowel
    발음할 때 구간 내에서 폐쇄협소화를 동반하지 않으면서 원칙적으로 성대의 진동을 수반한 유성음이며, 구강 내에서 공명을 일으키는 악음성의 음을 말한다.
  • 모음 Vowel, 母音
    /a/, /e/, /i/,/o/, /u/와 같이 성문(glottis) 위의 어떤 특정 지점에서 공기 압력이 형성될 때 열린 성도를 통해 특별한 장애를 받지 않고 발음되는 구어의 소리이다. 모음은 자음과 달리, 홀로서도 소리를 낼 수 있는 특성을 가지므로 순우리말로 '홀소리'라고 정의되었고, 하나의 음절을 이루는데 반드시 모음을 필요...
    도서 위키백과
  • 모음
    소리를 낼때 발음기관의 장애·마찰 없이 성대의 진동과 더불어 나는 소리
  • 모음 (해부학) List of adductors of the human body
    다른 뜻 모음(adduction) 또는 내전(內轉)은 신체 일부분을 시상면(矢狀面, sagittal plane, 몸을 정면에서 좌우로 나는 가상의 해부학 면)에 가깝게 하는 움직임을 의미하는 해부학 용어이다. 이러한 근육들을 내전근(adductor)라 한다. 어깨에서 팔에 관하여 (팔을 아래로 함) 어깨밑근(Subscapularis) 큰원근(Teres...
    도서 위키백과
  • 자모 (동의어 모음) 字母
    표음문자의 음절을 이루는 단위인 하나하나의 글자.|국어학에서는 자음과 모음을 표시하는 글자를 가리키기도 한다. ㄱ·ㄴ·ㅏ, a·b 등을 말한다. 보통 이들 글자는 일정한 방법으로 배열되어 기억된다. 자모를 구성하는 문자는 각각 단음을 나타내는 것이 원칙이나 그 음은 반드시 일정한 것은 아니다. 또한 성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모음조화 母音調和, vowel hamony
    어떠한 모음들이 같은 종류에 속하는지는 언어 및 시대에 따라 다르다. 현대국어의 모음조화는 부사 중에서 의성어나 의태어, 그리고 몇몇 형용사에 나타난다. '소곤소곤·촐랑촐랑·파랗다·노랗다'에서는 '오·아'가 한 종류이고 '수군수군·출렁출렁·퍼렇다·누렇다'에서는 '우·어'가 한 종류인 것을 알 수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모음체계 母音體系
    모음들이 조직되어 있는 모습은 혀의 위치와 입술모양으로써 3가지 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각 모음을 발음할 때 혀는 어느 정도 높은가(혀의 높이), 혀가 앞쪽에 있는가 뒤쪽에 있는가(혀의 앞뒤 위치), 입술이 둥근가 둥글지 않은가(입술 모양) 하는 그것이다. 혀의 높이는 사실상 입을 벌리는 정도와 다르지 않으므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조선어 표준말 모음
    있는 제일공립보통학교(오늘날의 창녕국민학교)에서 제3독회를 열어 사정안 전체에 대하여 사정을 완전히 마치고, 같은해 10월 28일 ‘사정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이라는 표제로 발간한 것이다. 표준말을 사정하기 위하여서는 그 사정원칙을 세워야 하는데, 이 사정원칙은 언어학에 바탕을 두고 현실의 언어사용을...
    시대 :
    근대
    유형 :
    문헌
    분야 :
    언어/언어·문자
  • 모음조화 母音調和
    현상이 모음조화이다. 이 모음조화현상은 한국어를 비롯한 알타이제어는 물론이고 우랄제어에서도 널리 나타나는 공통특질의 하나로 주목되어왔다. 모음조화는 모음체계와 관련하여 볼 때에 대립되는 두 모음군의 대립양상에 따라 그 유형을 나눌 수 있다. 첫째, 수직적 조화는 전설모음(前舌母音) 대 후설모음(後舌母音...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언어/언어·문자
  • 모음체계 母音體系
    개설 모음은 단모음과 이중모음으로 구분되는데 표준어의 단모음은 ‘ㅏ, ㅐ, ㅓ, ㅔ, ㅗ, ㅚ, ㅜ, ㅟ, ㅡ, ㅣ’ 10개이다. 이러한 단모음을 발음하는 화자는 경기, 강원, 충청 등 중부 지역의 노년층에 국한되기 때문에 「표준 발음법」에서도 ‘ㅟ, ㅚ’를 제외한 8개의 단모음을 허용하고 있다. 현실 생활에서 많은...
    유형 :
    개념
    분야 :
    언어/언어·문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56건

모음
모음
모음체계표
훈민정음언해 중 모음 설명
카탈루냐어 모음
모음(母音)
문법서 모음
모음잇기장
모음잇기장
모음카드
모음카드
시집모음
이중모음 (diphthong)
공산권 연구지 모음
공산권 연구지 모음
조선어표준말모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