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이중모음은 이른바 순수 모음, 즉 조음 위치가 처음부터 끝까지 바뀌지 않는 안정상태의 모음과 대조되어 하나의 말소리지만, 발음기호로 옮길 때에는 대개 첫번째와 2번째 발음을 각각 나타내는 1쌍의 기호로 표기한다. 대부분의 영어 방언에는 많은 모음이 이중모음이다. 예를 들어 'out'과 'ice'의 모음은 각각 [au] 와 [ai] 라는 기호로 나타낸다. 국어의 경우 'ㅑ, ㅕ, ㅛ, ㅠ, ㅒ, ㅖ, ㅘ, ㅙ, ㅝ, ㅞ, ㅢ'의 11소리를 말한다. 하나의 성절 요소 속에 두 모음이 결합되어 있는데, 한 모음이 성절모음으로서 기능하고 다른 하나는 반모음으로 자음적인 기능을 한다. 전자를 음절주음, 후자를 음절부음이라고 하는데, 음절부음은 짧게 나타나며 과도음이라고도 한다.
이런 점에서 이중모음은 이른바 순수 모음, 즉 조음 위치가 처음부터 끝까지 바뀌지 않는 안정상태의 모음과 대조된다. 이중모음은 하나의 말소리지만, 말을 발음기호로 옮길 때에는 대개 첫번째와 2번째 발음을 각각 나타내는 1쌍의 기호로 표기한다.
대부분의 영어 방언에는 많은 모음이 이중모음이다. 예를 들어 'out'과 'ice'의 모음은 각각 [au] 와 [ai] 라는 기호로 나타낸다. 국어의 경우 'ㅑ, ㅕ, ㅛ, ㅠ, ㅒ, ㅖ, ㅘ, ㅙ, ㅝ, ㅞ, ㅢ'의 11소리를 말한다. 겹홀소리·복모음(複母音)·중모음(重母音)이라고도 한다. 하나의 성절(成節) 요소 속에 두 모음이 결합되어 있는데, 한 모음이 성절모음으로서 기능하고 다른 하나는 반모음(半母音)으로 자음적인 기능을 한다. 전자를 음절주음, 후자를 음절부음이라고 하는데, 음절부음은 짧게 나타나며 과도음(過度音)이라고도 한다.
이중모음은 ① 하강적(下降的) 이중모음으로 음절주음이 앞에 오고 음절부음이 뒤에 오는 경우로 영어의 I [aj] 가 있고, ② 상승적(上昇的) 이중모음으로 음절부음이 앞에 오고 음절주음이 뒤에 오는 경우로 국어의 ㅑ[ja], ㅕ[jə], ㅛ[jo], ㅠ[ju], ㅒ[jε], ㅖ[je], ㅘ[wa], ㅙ[wε], ㅝ[wə], ㅞ[we]가 있고, ③ 수평적 이중모음으로 음절주음과 음절부음의 차이를 구별하기 어려우며 두 모음이 수평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로 프랑스어의 pays [pei] 등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언어 일반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