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우적 이응규, 李友狄일제강점기 일본에서 동경조선문산청년동맹 서무부위원, 조선공산당 일본부 선전부 책임 등을 역임한 사회주의운동가. 개설 본명은 이응규(李應奎). 경상남도 사천 출신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924년 3월 진주 사립양정학원을 졸업하고 일본으로 건너갔다. 1925년 1월 일본 동경(東京)에서 일월회(一月會)가 조직되자...
- 시대 :
- 근대
- 출생 :
- 1905년
- 사망 :
- 1950년
- 경력 :
- 동경조선문산청년동맹 서무부위원, 조선공산당 일본부 선전부 책임, 사회노동당 임시중앙위원
- 유형 :
- 인물
- 직업 :
- 사회주의운동가
- 대표작 :
- 사고의 선행자로서의 실천, 반유물론자(反唯物論者) 김태수(金泰秀)씨에게 답함, 정치운동에 대한 사견, S형의 서간에 답함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
이우 낭선군(朗善君), 李俁제12남 인흥군(仁興君) 이영(李瑛)의 장남이다. 역대 왕실 및 금석문 자료 편찬, 서화가들의 작품 수습 등 17세기 조선 문화사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 생애 이우의 생애 전반에 대해서는 작고하기 전에 저술한 『백년록(百年錄)』(1692)이라는 자서전에 자세히 밝혀져 있다. 1637년 음력 11월 11일 태어나 15세에 낭선군...
- 시대 :
- 조선후기
- 출생 :
- 1637년(인조 15) 11월 11일(음력)
- 사망 :
- 1693년(숙종 19) 4월 27일(음력)
- 경력 :
- 사은사(謝恩使), 영릉(寧陵) 수릉관(守陵官)
- 유형 :
- 인물
- 직업 :
- 왕족, 서화가, 장서가
- 대표작 :
- 해동명화첩(海東名畵帖), 임지설림(臨池說林), 준치첩(蹲鴟帖), 집자성교서(臨集字聖敎序)
- 성별 :
- 남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본관 :
- 전주(全州)
-
이우당종택 二愚堂宗宅내용 1984년 경상북도 민속자료(현, 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안채는 1640년경에 창건되었고 사랑채는 현 소유자 권일오(權一吾)의 6대조 때 건축되었다고 한다. 마을의 남쪽에서 동과 서로 날개를 펼친 곡성산(曲城山)을 배산하고 북북동쪽에 곡류(曲流)하는 반변천을 향하여 북북동향으로 앉은 집이며, ㅁ자형...
- 유형 :
- 유적
- 분야 :
- 생활/주생활
-
이우 명중(明仲), 李堣참판을 거쳐 강원도관찰사가 되었으나 양친 봉양을 이유로 사직하였다. 그 뒤 영해·김해 부사에 제수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앞서 반정공신 책봉 당시에 이우의 녹훈 문제로 물의가 있었는데, 1514년에 입직 승지로서 신하의 도리에 어긋나게 행동했다는 비난을 받아 삭훈되었다가 이듬해 안동부사로 서용되었다...
- 시대 :
- 조선
- 출생 :
- 1469년(예종 1)
- 사망 :
- 1517년(중종 12)
- 경력 :
- 오위도총부부총관, 형조참판, 강원도관찰사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중종반정
- 직업 :
- 문신
- 대표작 :
- 송재집(松齋集)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진보(眞寶, 지금의 경상북도 청송)
-
이우당실기 二憂堂實紀명인들인 포은 정몽주·목은 이색·야은 길재 등 삼은(三隱)과 수창하여 자기의 뜻이 확고부동하다는 것을 잘 표현하고 있다. 그 밖에 허주(許周)가 지은 「이우당찬(二憂堂贊)」이나 「실기(實紀)」 또는 「두문동사실」은 여말에 있었던 충신열사들의 행적은 물론 이경의 고매한 인격과 불굴의 의지를 잘 나타내고...
- 시대 :
- 고려
- 저작자 :
- 이경
- 창작/발표시기 :
- 1870년(고종 7)
- 성격 :
- 실기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권 1책
- 간행/발행 :
- 이병의, 이종섭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연세대학교 도서관
-
이우당유고 二憂堂遺稿내용 4권 2책. 석인본. 1976년 8세손 이원(二元)이 편집한 것을 저본으로 하여 간행한 것이다. 권두에 나갑주(羅鉀柱)와 변시연(邊時淵)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고재익(高在益)과 이원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앞에 묘도(墓圖)와 비(碑)의 사진, 인장도(印章圖)와 목록(目錄)이 있다. 권1∼3에 서(書...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조유상
- 창작/발표시기 :
- 1976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4권 2책
- 간행/발행 :
- 조이원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
-
이우당문집 二愚堂文集내용 4권 2책. 목판본. 증손 이호(以鎬)와 종손 상리(相履) 등이 처음 편집하고, 1816년(순조 16)에 6대 손 도(燾)가 다시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굉(金㙆)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외손 김세릉(金世錂)과 황용한(黃龍漢)의 발문이 있다. 장서각 도서·규장각 도서·서울대학교 도서관·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권환
- 창작/발표시기 :
- 1816년(순조 16)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4권 2책
- 간행/발행 :
- 권이호, 권상리(편집), 권도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장서각 도서, 규장각 도서, 서울대학교 도서관, 연세대학교 도서관
-
이우당집 二憂堂集내용 6권 3책. 활자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정확한 것은 알 수 없으나, 대략 영조 말년에 출간된 듯하다. 규장각 도서, 장서각 도서, 서울대학교 도서관, 연세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134수, 권2에 시 108수, 차(箚) 2편, 소(疏) 2편, 권3·4에 소 35편, 차 6편, 권...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조태채(趙泰采)
- 창작/발표시기 :
- 영조 말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6권 3책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장서각 도서
-
이우 홍부(洪夫), 李㘾개설 본관은 우봉(牛峰). 자는 홍부(洪夫). 좌참찬 이재(李縡)의 현손이며, 이광문(李光文)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35년(헌종 1) 생원으로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840년 대교(待敎)가 되었고, 1842년 강원도암행어사를 지냈으며, 그 후 부사과 · 성균관대사성을 지냈다. 1849년(철종 즉위년) 이후...
- 시대 :
- 근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역사/근대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