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윤웅렬

다른 표기 언어 尹雄烈 동의어 영중, 英仲, 반계, 磻溪
요약 테이블
출생 1840(헌종 6), 충남 아산
사망 1911
국적 한말, 한국

요약 한말의 정치가 윤치호의 아버지이다. 1910년 일제가 조선을 강점한 후 조선 합병에 공을 세운 친일인물들을 포상할 때 남작 작위를 받았다.
1856년 무과에 급제, 1878년 통리기문아문참사·남양부사 등을 지내고, 1880년 2차 수신사 김홍집의 수행원으로 일본에 다녀왔다. 1881년 5군영에서 지원자 80명을 선발하여 조선 최초의 신식군대인 별기군을 만들고, 좌부영관으로서 별기군의 운영을 주도했다. 1882년 임오군란이 일어나 군민들이 일본공관을 습격하자 서울을 탈출하여 일본 나가사키로 망명했다. 임오군란이 실패한 후 귀국했으며, 1884년 갑신정변이 일어나자 내각의 형조판서에 임명되었다. 청의 개입으로 갑신정변이 실패하자 능주로 유배되었다. 청일전쟁 이후 풀려나 1895년 제3차 김홍집 내각의 경무사로 임명되었다. 1896년 참장군부협판에 임명되었으며, 1899년 귀족원경이 되었다. 1902년 특진관으로서 평리원재판장사무를 지냈다.

윤웅렬(尹雄烈)

조선 말기의 무신, 군인이며 개화파 정치인, 대한제국의 계몽운동가

ⓒ Okderions/wikipedia | Public Domain

본관은 해평. 한말의 정치가 치호의 아버지이다.

1856년(철종 7) 무과에 급제, 1861년 충청감영중군 겸 공주중군, 이듬해 북청병마우후토포사 등을 지냈다. 1878년(고종 15) 통리기문아문참사·남양부사 등을 지내고, 1880년 2차 수신사 김홍집(金弘集)의 수행원으로 일본에 다녀왔다. 이때 도쿄[東京]에서 동양3국의 협력을 취지로 하여 일본 정계와 학계 인물 및 일본체류 중국외교관들이 만든 흥아회의 환영회에 참석했으며, 개화승 이동인의 소개로 일본 조야인사들과 접촉했다. 이듬해 함경남도병마절도사를 거쳐 1881년 5군영에서 지원자 80명을 선발하여 조선 최초의 신식군대인 별기군을 만들고, 좌부영관으로서 별기군의 운영을 주도했다.

1882년 임오군란이 일어나자 정부의 지시로 일본 판리공사 하나부사[花房義質]에게 군민들이 일본공관을 습격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통보하고 자위책을 강구하도록 했다. 군민들이 친일인물들의 집을 파괴하고 일본공관을 급격하자 서울을 탈출하여 원산을 거쳐 부산으로 가서, 박제경과 일본군 중위 가이즈[海津]의 주선으로 일본 나가사키[長崎]로 망명했다. 임오군란이 실패한 후 귀국하여, 김옥균(金玉均) 등 개화당 인물들과 가깝게 지냈으나 조직에 직접 참여하지는 않았으며 그들의 급진적이고 혁명적인 행동에는 반대하여 신중론을 펼쳤다.

1884년 갑신정변이 일어나자 내각의 형조판서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갑신정변이 진행되는 동안에 아들 윤치호에게 외세에 의지한 것이기 때문에 오래 견딜 수 없으며, 소수의 일본군으로는 다수의 청나라 군대에 대항할 수가 없다는 등 6가지 이유를 들어 실패를 예견했다. 청의 개입으로 갑신정변이 실패하자 능주로 유배되었다. 1894년 청일전쟁이 일어나면서 일본군이 경복궁 쿠데타를 일으켜 일본에 망명해 있던 개화파 인물들을 귀국시키고 대원군을 끌어들여 친일 정권을 수립하자 풀려났다.

1895년 제3차 김홍집 내각의 경무사로 임명되었다. 그해 을미사변이 일어나자 10월 12일 미국 공사를 비롯한 주한 구미외교관들의 협력을 얻어 고종을 궁성 밖으로 모셔나와 친일정권을 타도하고 새 정권을 수립하려던 춘생문사건에 호응, 이를 조종했으나 실패로 돌아가자 중국 상하이[上海]로 망명했다. 1896년 참장군부협판에 임명되었으며, 서리대신사무·법부협판·의정부찬정을 겸임했다. 이어 법부대신 겸임 고등재판소재판장이 되고, 군부대신을 지냈다.

1899년 귀족원경이 되었다. 1902년 특진관으로서 평리원재판장사무를 지내고, 이듬해 다시 군부대신에 임명되었으며, 이어 내장원경사무를 겸했다. 1903년에는 군부대신으로서 원수부검사국총장사무를 겸했다. 러일전쟁 무렵 정계를 은퇴한 후 기독교에 귀의했다. 1910년 8월 일제가 조선을 강점한 후 조선 합병에 공을 세운 친일인물들을 포상할 때 남작의 작위와 공채 2만 5,000원을 받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윤웅렬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