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신사참배 神社參拜기사 원문 엄중한 경계리에 일본에서 신궁 어령대 안착 신축한 조선 신궁의 어령대(御靈代)는 예정대로 13일 저녁 5시에 신축한 경성역에 도착하였는데 기차로부터 어령대와 보검(寶劍)은 12명의 일본 청년에게 이반되어 세 채의 자동차로 조선 신궁으로 이안되었는데 불의를 경계코자 헌병대도 출동하였으며 경찰 측에...
- 간행/발행 :
- 동아일보(1925년 10월 15일)조선일보(1935년 12월 05일)매일신보(1936년 08월 02일)
-
신사 참배 神社 參拜1935년 이후 부산 지역을 비롯한 전국에 강요된 신사(神社)에 대한 참배. [역사적 배경] 중일 전쟁 이후 일제는 우리 민족의 독자성과 고유성을 부정하고, 이른바 황국 신민화를 통한 민족 말살 정책의 일환으로 실시되었다. 신사란 일본 왕실의 조상신이나 국가 공로자를 모셔놓은 사당이다. 일제는 국권 강탈 후 신...
- 분야 :
- 역사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신사참배 거부운동 신사참배반대운동, 神社參拜 拒否運動침략 내지 동화정책의 일환으로 한국인에게까지 신사참배와 신사신앙을 강요하였다. 1910년대에는 관공립학교에서, 1920년대 초반부터는 사립학교에까지 신사참배를 강요하였다. 그러나 1925년 조선신궁(朝鮮神宮) 진좌제(鎭座祭)를 고비로 언론과 기독교계 사립학교들이 강력히 반발하자 사립학교 학생들에게까지 강제...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근대사
-
개신교 기독교, 改新敎이러한 교회연합운동의 제도적 결실이었다. 신사참배에 대한 저항과 시련 1921년 선교사들은 '신사참배 불가 진정서'를 조선총독부에 제출한 바 있었으나, 1925년 일제는 서울 남산에 조선신궁을 세우면서 참배를 강요하기 시작했다. 1932년 평양 소재 기독교학교들은 신사참배에 응하라는 공문을 받았다. 이때 교회는...
- 시대 :
- 근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개신교
-
총독부의 신사 참배 강요8월, 조선총독부가 '신사제도의 개정에 관한 규칙'을 발표하고 학생들에게 신사 참배를 강요했다. 한국인을 천황의 충성스러운 신민으로 만든다는 황국신민화 정책의 일환이었다. 그 후 신사 참배 강요 범위는 모든 한국인으로 확대된다. 참조
- 시대 :
- 1936년 8월
- 국가/대륙 :
- 한국
-
아오이 마쓰리 옛 황실의 신사 참배를 재현한 축제, 葵祭上賀茂神社) 두 곳에서 열린다. 과거에는 궁중 의식, 길거리 의식, 사두 의식(社頭の儀)으로 총 3개의 의식이 행해졌지만 현재는 궁중 의식은 사라지고 길거리 의식과 사두 의식만 행해진다. 유료 관람석이 있어 사전 예약이 가능하지만 신사 참배에 관련한 축제여서 그냥 보고 먹거리를 즐기는 것으로도 충분하다. 참고
- 행사시기 :
- 매년 5월 15일
- 장소 :
- 가미가모 신사(上賀茂神社)와 시모가모 신사(下鴨神社)
- 지역 :
- 교토
- 가는 법 :
- 가미가모 신사: 교토 시버스 4번을 타고 가미가모 신사 정류장에서 하차시모가모 신사: 교토 시버스 1, 4, 205번을 타고 시모가모 신사 정류장에서 하차
-
신사 참배 반대 운동 神社 參拜 反對 運動[개설] 한국 교회에 대한 일제의 박해는 다양했으나 가장 대표적인 경우가 신사 참배 강요였다. 일제는 내선 일체(內鮮一體)와 황민화 정책(皇民化政策)의 일환으로 신사(神社, 神祠)에 정기적인 참배를 강요했는데, 이는 기독교인들에게는 우상 숭배의 강요였으므로, 심각한 신교(信敎)의 자유에 대한 위협이었다. 일제...
- 분야 :
- 역사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