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윤리적 해커 화이트 해커, 善意-보안 취약성이 있는 컴퓨터나 네트워크의 소유자를 위해 해당 시스템을 공격하는 해커 전문가. 보안 시스템을 공격하여 그 취약성을 악의적 목적으로 이용하지 않고 다만 문제점을 알려주기 위한 것으로, 침투 시험, 침입 시험, 레드티밍(red teaming) 등을 말한다. 때로는 화이트 해커(white hacker)라고도 한다.
-
윤리적 공인 해커 CEH, 倫理的公人-Ethical Hacker)는 윤리적 해킹 위원회(EC-Council: Ethical Hacking Council)에서 공식 자격을 부여한다. 악의적인 해커와 동일한 지식과 도구를 사용하지만 대상 시스템의 약점과 취약점을 찾아 컴퓨터 시스템의 보안을 평가하는 지식을 입증함으로써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윤리적 공인 해커는 해킹 공격자와 같은...
-
-
왜 토르발스와 스톨먼은 게이츠에 반대하는가?, 카피레프트 copyleft전문가들도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0대 컴퓨터 마니아도 리눅스에 들어가 코드를 이모저모 살펴본 다음 토르발스에게 제안을 할 수 있다. 해커들도 리눅스를 개선하는 데에 크게 기여했다. 자발적인 참여자들의 쇄도 이후 토르발스는 리눅스를 유지하고 업그레이드 하는 역할을 해왔다. 그는 참여자들의...
-
핵티비즘 Hacktivism195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MIT 인공지능연구소 내 학생들의 동아리인 ‘테크모델철도클럽(TMRC)’을 중심으로 형성된 1세대 해커들이 윤리강령을 만들고 이를 토대로 해커 운동을 벌이면서 시작됐다. 1998년과 2002년 인도네시아의 동티모르 탄압에 반대하는 해커들이 인도네시아 정부 사이트를 해킹하고 서버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