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윤리적 해커 화이트 해커, 善意-
    보안 취약성이 있는 컴퓨터나 네트워크의 소유자를 위해 해당 시스템을 공격하는 해커 전문가. 보안 시스템을 공격하여 그 취약성을 악의적 목적으로 이용하지 않고 다만 문제점을 알려주기 위한 것으로, 침투 시험, 침입 시험, 레드티밍(red teaming) 등을 말한다. 때로는 화이트 해커(white hacker)라고도 한다.
  • 윤리적 공인 해커 CEH, 倫理的公人-
    Ethical Hacker)는 윤리적 해킹 위원회(EC-Council: Ethical Hacking Council)에서 공식 자격을 부여한다. 악의적인 해커와 동일한 지식과 도구를 사용하지만 대상 시스템의 약점과 취약점을 찾아 컴퓨터 시스템의 보안을 평가하는 지식을 입증함으로써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윤리적 공인 해커는 해킹 공격자와 같은...
  • 윤리적 공인 해커 Certified ethical hacker
    테스트 도구를 사용하여 가상 환경 내의 다양한 시뮬레이션 시스템과 타협하는 능력을 입증해야 하는 실험실 환경에서 침투 테스트 기술 테스트이다. 윤리적 해커는 보안 취약점을 찾아 해결하기 위해 네트워크와 컴퓨터 시스템에 침투하기 위해 조직에서 고용된다. EC-협의회는 CNDA(Certified Network Defense...
    도서 위키백과
  • 해커 윤리 Hacker ethic
    해커 윤리해커 문화가 갖는 도덕적 가치관과 철학이다. 해커 윤리는 정보의 접근성, 정보의 자유, 그리고 삶의 질 향상을 요점으로 하는 철학으로,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등)에서도 소개된 적이 있지만, 스티븐 레비가 해커윤리의 정신과 기여자들을 처음으로 정리하여 문서화하였다. 레비...
    도서 위키백과
  • 화이트 해커 White Hacker
    선의의 목적으로 해킹 기술을 사용하는 보안 전문가. 윤리적 해커라고도 한다.
  • 바이오 해커 Bio Hacker
    68운동의 진정한 유산은 반전시위나 히피 문화가 아니라 해커 문화에서 찾아야 한다. 권위주의와 관료주의를 불신하고, 탈중심성과 저항 정신으로 무장한 해커...대해 이렇게 말한다. "권위주의와 관료주의에 대한 거부, 스스로 만든 윤리 원칙, 개방성, 탈중심성, 이들의 문화는 1970년대의 해커들과 너무나 유사하다...
  • 해커 Hacker, ハッカー
    하는 자의 의도를 구분하고자 하는 경우 합법적이며 윤리적해커나 보안 연구자를 화이트햇 해커로, 불법적이며 비윤리적인 해커를 블랙햇 해커 또는 크래커로 부른다. 또한 화이트햇 해커와 블랙햇 해커의 중간적 성격을 띠거나 구분이 불분명한 해커를 그레이햇 해커로 부르기도 한다. 에릭 레이먼드는 오픈 소스를...
    도서 위키백과
  • 왜 토르발스와 스톨먼은 게이츠에 반대하는가?, 카피레프트 copyleft
    전문가들도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0대 컴퓨터 마니아도 리눅스에 들어가 코드를 이모저모 살펴본 다음 토르발스에게 제안을 할 수 있다. 해커들도 리눅스를 개선하는 데에 크게 기여했다. 자발적인 참여자들의 쇄도 이후 토르발스는 리눅스를 유지하고 업그레이드 하는 역할을 해왔다. 그는 참여자들의...
  • 블랙햇 Black hat (computer security), 黑帽黑客
    한다. 블랙햇이라는 말은 주로 서부영화에 나오는 악당 역할의 등장인물이 자주 쓰는 검은 색의 모자에서 유래되었다. 이와 반대로 윤리적해커를 일컬어 화이트햇 해커라고 하는데 이 역시 영화의 주인공 역할이 자주 쓰는 밝은 색 모자에서 유래한 것이다. 사이버테러리즘 그레이햇 해커 훙커(레드 해커) 110...
    도서 위키백과
  • 코드게이트 codegate
    코드게이트는 국내 최초의 해커양성대회이다. 여기서 말하는 해커는 컴퓨터 기술을 보안 강화에 활용하는 윤리적 해커(화이트 해커)들을 지칭한다. 다른 컴퓨터시스템에 침입해 정보를 빼내는 등의 범죄를 저지르는 부정적 의미의 해커인 크래커(cracker)와는 다른 개념이다. IT 기술의 발달과 함께 개인은 물론 국가...
  • 블루햇 BlueHat
    마이크로소프트 엔지니어들과 해커들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의 장을 열기 위해 의도된 이벤트이다. 그 이벤트는 상호 간의 이해 뿐만 아니라 가끔씩 일어나는 대립 또한 해결하기 위해 열린다. 메타스플로이트(Metasploit)가 증명되면 마이크로소프트 개발자들은 매우 불편해한다. 해커 문화 해커 윤리 화이트햇 그레이햇
    도서 위키백과
  • 핵티비즘 Hacktivism
    195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MIT 인공지능연구소 내 학생들의 동아리인 ‘테크모델철도클럽(TMRC)’을 중심으로 형성된 1세대 해커들이 윤리강령을 만들고 이를 토대로 해커 운동을 벌이면서 시작됐다. 1998년과 2002년 인도네시아의 동티모르 탄압에 반대하는 해커들이 인도네시아 정부 사이트를 해킹하고 서버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