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요재지이 聊齋志異, Liao-chai chih-i
    중국 청대의 단편 문언소설집. (병). Liaozhaizhiyi. (웨). Liaochaichihi. (영). Strange stories from a chinese studio.|포송령이 지은 것으로 모두 500여 편이다. 소재는 옛 사람들이 쓴 짧은 이야기나 민간전설에서 널리 취했다. 여우·귀신·도깨비 등을 등장시켜 인간사회를 묘사했고, 저승세계를 현실생활과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요재지이 Strange Tales from a Chinese Studio, ..
    책 정보 《요재지이》은 청나라 초기 포송령이 지은 16권의 소설집이다. 문장은 당의 전기풍(傳奇風)의 것과 육조(六朝)의 지괴체의 것이 있는데 특징은 전자에 있으며, 고귀(孤鬼) 망령이 인간보다도 더 인간미가 있게 그려지고 있다. 문장 마지막 부분 평어(評語)는 훈계나 숙명론을 기술한 것이 많으며, 때로는 격한 ...
    도서 위키백과
  • Strange Stories from a Chinese Studio 요재지이, 聊斎志異
    Strange Stories from a Chinese Studio or Liaozhai Zhiyi (also Strange Tales from a Chinese Studio or Strange Tales of Liaozhai) is a collection of nearly 500 mostly supernatural tales written by Pu Songling in Classical Chinese during the early Qing dynasty.The stories differ broadly in length, w...
  • 포송령 유선, 蒲松齡
    자는 유선, 호는 유천. 그가 쓴 〈요재지이 聊齋志異〉(1766)는 고전문학 장르인 문언체 소설을 되살렸다. 1679년에 완성된 이 단편집은 기이하고 초자연적인 이야기 431편을 모은 책으로, 일상어를 이용해 현실을 좀더 사실적으로 묘사한 화본소설이 지배하던 당시의 문학양식에서 벗어난 것이었다. 그는 당·송대의...
    출생 :
    1640. 6. 5, 중국 산둥 성[山東省] 쯔촨[淄川]
    사망 :
    1715. 2. 25, 쯔촨
    국적 :
    중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중국
  • 중국신화 中國神話, Chinese mythology
    중국의 민간에 전해내려왔다. 이러한 것들은 후세의 문학에 영향을 끼쳐 단편으로는 지괴소설(志怪小說)인 〈수신기 搜神記〉, 당·송의 전기(傳奇), 〈요재지이 聊齋誌異〉 등이 있다. 장편으로는 〈봉신연의 封神演義〉·〈서유기 西遊記〉 등이 큰 성공을 거두었다. 위의 작품들은 도교·불교 고사와 민간전설을 많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기윤 효람, 紀昀
    직접 보완·교정하여 완성시켰다. 그 동안 직위는 예부상서와 협변대학사까지 올랐다. 〈사고전서〉의 편찬에 온 정력을 다 쏟았기 때문에 학술상의 저서는 많지 않다.〈요재지이 聊齋志異〉의 유행에 개탄하여 지은〈열미초당필기 閱微草堂筆記〉는 청대 수필의 대표작이며 시문집에 〈기문달공유집 紀文達公遺集〉이...
    출생 :
    1724
    사망 :
    1805
    국적 :
    청(淸), 중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전등신화 剪燈新話, Chienteng Hsinhua
    아름다움을 지닌 이야기가 많으며, 문체도 화려하다. 이 책은 명말의 통속소설집 〈삼언이박 三言二拍〉과 명대의 희곡에 소재를 제공했으며, 청초의 〈요재지이 聊齋志異〉에도 영향을 주었다. 〈전등신화〉는 우리나라에도 영향을 주었는데, 한국 최초의 한문소설인 김시습(金時習)의 〈금오신화 金鰲新話〉는 이 소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소설
  • 시애설화 屍愛說話
    특히 불경에 많이 실려 있는데 비구승이 죽은 여인을 범했다는 류의 이야기 등이 많다. 중국의 시애설화는 〈후한서 後漢書〉·〈열이전 列異傳〉·〈요재지이 聊齋志異〉 등에 실려 있는데, 무덤을 도굴하다가 죽은 여인이 너무 아름다워서 범한 이야기들이 많다. 일본의 시애설화는 〈우월물어 雨月物語〉·〈천심명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화/전설
  • 청의 문화와 예술
    이어 희곡과 소설이 발달했다(→ 중국문학). 희곡에서는 〈장생전전기 長生殿傳奇〉·〈도화선전기 桃花扇傳奇〉가 2대 명작으로 꼽히며, 소설에서는 〈요재지이 聊齋志理〉·〈부생육기 浮生六記〉·〈유림외사 儒齋志異〉·〈홍루몽 紅樓夢〉 등의 장편이 저술되었다. 청나라 말기에는 린수[林] 등이 서양 근대소설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마쓰충 馬思聰, Ma Ssut'sung
    교향곡 〈숲의 노래 山林之歌〉는 새로운 작곡기법과 서양 기보법을 운용해 자유로운 선율을 보여주고 있다. 미국에 정착한 뒤 청대(淸代) 단편소설 〈요재지이 聊齋志異〉를 바탕으로 대형 발레곡 〈만하 晩霞〉를 지었으며, 성악곡을 작곡하기 시작했다. 1973년 딸 마루이쉐[馬瑞雪]와 함께 〈가향 家鄕〉·〈러비야의...
    출생 :
    1912. 3, 광둥 성[廣東省] 하이펑 현[海豊縣]
    사망 :
    1987. 5. 20
    국적 :
    중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가
  • 최인욱 상천(相天), 崔仁旭
    아동문학가로서도 활동했다. 조선 후기 국문 장편소설 「임화정연」과 「사명당전」(1962)을 편역하고 동양 고전인 『고문진보』, 『사기열전』과 중국 고소설 『요재지이』를 번역하는 등 다양한 문필 활동을 펼쳤다. 문인극 「춘향전」(1965)에서 변학도 역을 연기하기도 했다. 사상과 작품 최인욱은 등단 이후 중 · 단편...
    시대 :
    근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문학/현대문학
  • 변씨열행 卞氏烈行
    때의 수필집 『유양잡조(酉陽雜俎)』 속의 설화들에서도 볼 수 있다. 한편 「변씨열행」은 중국 청초(淸初)에 포송령(蒲松齡, 1640~1715)이 지은 소설집 『요재지이』에 수록된 「화피」와 등장인물, 사건, 문제 해결 방식 등이 전반적으로 일치한다. 다만 「화피」는 작품 말미에 이사씨의 평을 붙여 왕생의 어리석음을...
    시대 :
    근대
    유형 :
    작품/문학
    분야 :
    문학/고전산문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제괴지이』는 청나라 소설가 포송령의 『요재지이』를 모티브로 삼은 작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