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중국신화

다른 표기 언어 Chinese mythology , 中國神話

요약 중국의 초기 신화를 통해 천지개벽, 인류기원, 일월성신, 자연산천, 홍수, 부족전쟁 등의 다양한 기록을 살펴볼 수 있는데 이 신화들은 천지만물의 제반 현상에 대한 상고시대 사람들의 해석을 반영하고 있다. 신앙과 경외감이 충만한 고대 신화들은 세월이 흐르고 중국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종교·예술·문장·풍속의 기원이 되었다. 천제에 관한 신화는 진·한 시대의 방사와 그후 도교가 흥기하면서 차츰 옥황상제로 바뀌었고, 서왕모도 옥황상제의 황후가 되어 하나의 신선집단을 형성했다. 중국의 고대신화는 대부분 〈산해경〉·〈좌전〉·〈여씨춘추〉·〈회남자〉·〈목천자전〉·〈사기〉 등의 고서적에 흩어져 실려 있으며, 근래 들어 대량으로 기록·발굴된 소수민족들의 신화는 중요한 연구가치를 지니고 있다.

중국신화

ⓒ jomphong/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중국신화는 역사가 매우 오래되었으며 내용도 대단히 풍부하다. BC 30~21세기, 즉 우(禹) 이전의 시기에 신화가 이미 발달했다. 지금까지 전해내려오는 수인(燧人)·공공(共工)·여와(女媧)·복희(伏羲)·신농(神農)·황제(黃帝)·제준(帝俊)·과보(夸父) 등의 초기 신화를 통해 천지개벽, 인류기원, 일월성신, 자연산천, 홍수, 부족전쟁, 토템 활동, 무술예의(巫術禮儀)의 다양한 기록을 살펴볼 수 있다.

이 신화들은 천지만물의 제반 현상에 대한 상고시대 사람들의 해석을 반영하고 있다. 서술된 신(神)과 사적(史蹟)에는 신앙과 경외감이 충만하고, 또한 그 위령(威靈)을 노래했다. 중국사회가 변하고 발전함에 따라 이런 고대신화들은 종교·예술·문장·풍속의 기원이 되었다. 천제(天帝)에 관한 신화는 진(秦)·한(漢) 시대의 방사와 그후 도교가 흥기하면서 차츰 옥황상제로 바뀌었고, 서왕모(西王母)도 옥황상제의 황후가 되어 하나의 신선집단을 형성했다. 〈사기 史記〉의 오제본기(五帝本紀)·고조본기(高祖本紀)에서는 신화를 제왕이 천명을 받은 근거로 삼아 정사(正史)에 집어넣었다. 신도(神이미지)와 울루(鬱壘)는 갈대와 끈으로 호랑이를 묶고 흉악한 귀신을 막은 고대의 신으로, 후세에 문을 지키는 문신으로 받들어졌다. 이들은 문신인 진경(秦瓊)·위지경덕(尉遲敬德)의 전신으로, 이 풍속은 1940년대까지 중국의 민간에 전해내려왔다. 이러한 것들은 후세의 문학에 영향을 끼쳐 단편으로는 지괴소설(志怪小說)인 〈수신기 搜神記〉, 당·송의 전기(傳奇), 〈요재지이 聊齋誌異〉 등이 있다. 장편으로는 〈봉신연의 封神演義〉·〈서유기 西遊記〉 등이 큰 성공을 거두었다. 위의 작품들은 도교·불교 고사와 민간전설을 많이 담고 있으며, 모두 신화의 아류이다.

중국 고대신화는 대부분 〈산해경 山海經〉·〈좌전 左傳〉·〈여씨춘추 呂氏春秋〉·〈회남자 淮南子〉·〈목천자전 穆天子傳〉·〈사기〉 등의 고서적에 흩어져 실려 있다. 이 기록들은 시간이 일치하지 않으며 담겨 있는 관념과 사실 또한 차이가 있다. 중국의 현대 학자들은 신화를 많이 정리·연구했는데, 저술로는 루쉰[魯迅]의 〈중국소설사략 中國小設史略〉, 마오둔[茅盾]의 〈중국신화 ABC〉, 원이둬[聞一多]의 〈복희고 伏羲考〉, 위안커[袁珂]의 〈고대신화선석 古代神話選釋〉·〈중국고대신화〉 등이 있다.

중국 소수민족들의 신화는 근래 대량으로 기록·발굴되었는데 중요한 연구가치를 지니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문화 일반

문화 일반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중국신화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