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연분9등법 年分九等法
    조선시대에 시행된 세법의 하나. 1년 농사의 풍흉을 상상년부터 하하년까지 9등으로 나누어 수세액을 정하는 방식이다. 실제 세액을 산출할 때는 토지의 비옥도에 따라 6등으로 나눈 지품(전등이라고도 함)을 합해 산정했다. 즉 상상년의 경우 1등전은 1결에 30두, 2등전은 25두 5승, 최하급인 6등전은 7두 5승을 내게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연분 9등법 (관련어 연분9등법)
    연분 9등법(年分九等法)은 조선 세종 때 실시한 조세 제도로, 토지세에 토지 1결당 풍흉에 따라서 최저 4두에서 최고 20두를 납부하는 조세 제도이다. 풍흉의 정도에 따라 상상년 20두 상중년 18두 상하년 16두 중상년 14두 중중년 12두 중하년 10두 하상년 8두 하중년 6두 하하년 4두 영정법 대동법 균역법 도조법 타조법
    도서 위키백과
  • 전분6등법 田分六等法
    6등전 이하로 작황에 따라 답험하여 세를 받게 했다. 그러나 조선 후기까지도 토지는 하등급의 토지가 많았으며, 실제로 등급을 정하는 데는 타당성이 분명하지 않아 많은 문제가 야기되었다. 1653년(효종 4)에는 모든 양전척을 1등전척으로 통일하고, 결부수는 환산표를 만들어 수세액을 산정했다.→ 결부제, 연분9등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공법 貢法
    1등을 설정하여 도합 전분6등법(田分六等法)으로 한다. 셋째, 과전법에서의 수조율은 1/10이었으나 공법에서는 1/20로 한다. 넷째, 풍년·흉년에 따라 연분9등법(年分九等法)으로 하며 각 등전의 수조액은 상상년(上上年)이 20두, 이하 등급별로 2두씩 체감하여 하하년(下下年)에는 4두로 한다. 다섯째, 동과수조(同科...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영정법 영정과율법, 永定法
    안집시키고 또 세종대 이래 연분법의 시행과정에서 발생하는 지방관리들의 농간을 막으려는 목적이 있었다. 영정법에서는 세종조의 연분9등법에 전분6등법을 혼입하여 전품을 9등으로 분류했다. 각 지역별 전품은 경상도는 최고가 상지하전으로 미 16두, 전라도·충청도는 최고가 중지중전으로 미 12두, 그밖의 5...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세종의 조세 개혁
    지는 것을 원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결국 최종안이 나온 게 세종 26년(1444). 토지의 비옥도와 풍흉의 정도를 따라 54등급의 세율을 적용하는 '연분9등법'과 '전분6등법'의 축으로 삼는 공법제가 최초 논의 17년 만에 확정된 것이다. 결당 1두 5승~30두로 거두는 공법 제도는 애초의 개혁 의지에 비하면 미흡했으나 조선...
  • 문헌수록 文獻隨錄
    문제점 그리고 개혁방향 등을 제시하고 있다. 각항목을 살펴보면 〈부세〉에서는 중국과 한국의 부세제도의 역사적 연원과 원형을 서술하고, 전분6등법·연분9등법·대동법 등 한국의 역대 세법의 내용과 각 도의 전품, 논밭의 상황, 결전·궁방전 그리고 양전과 정전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을 기록했다. 〈조적〉에서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조선초기사회구조연구 朝鮮初期社會構造硏究
    전세 제도의 일대 개혁을 농업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종래의 족단적(族團的)·집단적 토지경영이 소단위경영으로 전환하게 되면서, 전분6등법(田分六等法)·연분9등법(年分九等法)에 의한 국가의 통일적인 전세제도 운영이 가능하게 된 데서 기인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와 같은 내용을 담고 있는 이 책은 조선 초기...
    시대 :
    현대
    저작자 :
    이재룡(李載龒)
    창작/발표시기 :
    1984년(간행)
    성격 :
    학술서
    유형 :
    문헌
    간행/발행 :
    일조각(1984)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영정법
    징수하였지만, 영정법이 시행되면서 법제적으로 정지의 최저 징수액이었던 1결당 만두로 고정 징수한 방법이다. 15세기 세종 연간에 제정된 전분 6등법연분 9등법은 토지의 작황을 일일이 조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런 이유로 이미 15세기 말부터 풍흉에 관계 없이 하하년 혹은 하중년을 기준으로 징수하는...
    도서 위키백과
  • 1444년 1444, 1444年
    사이에 체게드 조약이 체결 11월 10일 - 바르나 전투: 브와디스와프 3세가 무라드 2세 술탄의 오스만 제국과 충돌하여 사망하다 세종 26년 - 공법 : 연분9등법, 전분6등법 시행 8월 – 오스만 무라트 2세가 12살된 아들 메흐메트 2세에게 양위. 이집트 술탄의 군대는 로도스 기사단으로부터 로도스를 빼앗는데 실패했다...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