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역대병요 歷代兵要
    조선전기 문신 정인지·유효통 등이 역대의 전쟁과 그것에 대한 선유(先儒)들의 평을 집성하여 1453년에 간행한 군서. 병서.|내용 13권 13책. 목판본. 1450년(세종 32) 세종이 정인지 등에게 명해 역대의 전쟁과 그것에 대한 선유(先儒)들의 평을 집성하도록 하고, 친히 ‘역대병요’라고 책명을 붙였다. 그 뒤 1451년...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역대병요
    역대병요(歷代兵要)는 수양대군이 세종의 명을 받아 총재하여 편찬된 동국 전쟁 사서이다. 조선 초기에는 한국의 지세에 맞는 전술을 개발하고 역대의 전쟁사를 정리하여 각종 병서(兵書)가 편찬되었다. 태조 때 정도전은 앞선 시기의 병서를 참고해 독자적인 《진법서(陣法書)》를 편찬하였다. 문종 때에는 김종서의 주...
    도서 위키백과
  • 권람 정경, 權擥
    문경공 제이다. 남이의 장인이다. 1450년(문종 즉위) 향시와 회시 및 전시에 모두 장원으로 급제하여 사헌부감찰이 되었다. 이듬해 집현전교리로서 〈역대병요 歷代兵要〉의 음주 편찬에 참여했는데, 이때 수양대군과 가까워졌다. 그뒤 일찍부터 깊이 사귀어왔던 한명회를 수양대군에게 천거했으며, 그와 함께 양정...
    출생 :
    1416(태종 16)
    사망 :
    1465(세조 11)
    국적 :
    조선, 한국
  • 하위지 河緯地
    장령이 되어 대신들의 비리를 적극적으로 공격하여 대간의 직분을 다했다. 다음해 직집현전이 되어 수양대군(首陽大君)을 보좌, 〈진설 陣說〉의 교정과 〈역대병요 歷代兵要〉의 편찬에 참여했다. 1453년(단종 1) 수양대군이 병서 편찬에 참여했던 학사들의 품계를 올리려 하자, 종신이 함부로 사은을 베푸는 것은 있을...
    출생 :
    1412(태종 12)
    사망 :
    1456(세조 2)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병자자 丙子字
    그해의 간지를 따서 기묘자라고 하는 사람도 있고, 병자자의 보주자로 보는 사람도 있다. 이 두 활자는 그 구별이 쉽지 않다. 병자자로 찍은 인본으로는 〈역대병요 歷代兵要〉·〈신편대동연주시격 新編大東聯珠詩格〉·〈주자어류대전 朱子語類大全〉·〈문원영화 文苑英華〉·〈당유선생집 唐柳先生集〉·〈우재선생...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유물 , 문헌
  • 이석형 백옥(伯玉), 李石亨
    만년에는 성균관 서쪽에 계일정(戒溢亭)을 짓고 시문에 전념하였다. 저서로는 『대학연의(大學衍義)』와 『고려사』에서 권계(勸戒)를 덧붙인 『대학연의집략(大學衍義輯略)』 21권과 『저헌집(樗軒集)』이 있다. 편저로는 『역대병요(歷代兵要)』·『치평요람(治平要覽)』 등이 있다. 시호는 문강(文康)이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출생 :
    1415년(태종 15)
    사망 :
    1477년(성종 8)
    경력 :
    집현전부교리, 직제학, 집현전응교, 전라도관찰사, 예조참의, 황해도관찰사, 판한성부사, 판중추부사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사육신사건
    직업 :
    문신
    대표작 :
    대학연의, 대학연의집략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연안(延安, 지금의 황해도 연백)
  • 정수충 鄭守忠
    명으로 영응대군(永膺大君) 염을 가르쳤다. 1439년(세종 21) 경창부승이 되고, 1450년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이듬해 승문원부교리가 되었다. 집현전에서 〈역대병요 歷代兵要〉를 찬했으며, 훈련원주부·서학교수·성균관사예를 거쳤다. 1453년(단종 1) 행사용으로서 수양대군이 단종의 보위세력인 김종서(金宗瑞...
    출생 :
    1401년(태종 1)
    사망 :
    1460년(세조 6)
    국적 :
    조선, 한국
  • 이문형 문안(文安), 李文炯
    것이 계기가 되어 승지로 발탁되었고, 예문관직제학으로 『손자주해(孫子註解)』를 교정하였으며, 집의·동부승지를 거쳐 이듬해에는 우부승지가 되어 『역대병요(歷代兵要)』를 교정하였다. 그 뒤 좌부승지·우승지를 거쳐 1463년에 형조참판·이조참판에 이르러서는 천추사(千秋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명...
    시대 :
    조선
    출생 :
    미상
    사망 :
    1466년(세조 12)
    경력 :
    우승지, 형조참판, 이조참판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계유정난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경주(慶州)
  • 정수충 경부(敬夫), 鄭守忠
    세종 31) 수부사직으로 경창부승을 겸하였다. 1450년 식년문과에 정과로 급제하였다. 이듬해 승문원부교리가 되어 수양대군을 따라 집현전에 나아가서 『역대병요(歷代兵要)』를 찬하였고, 그 뒤 훈련원주부·서학교수(西學敎授)·성균관사예 등을 거쳤다. 1453년(단종 1) 행사용(行司勇)으로서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시대 :
    조선
    출생 :
    1401년(태종 1)
    사망 :
    1469년(예종 1)
    경력 :
    집현전직제학, 첨지중추원사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학자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하동(河東)
  • 신편산학계몽 新編算學啓蒙
    歷代十八史略)』과 같이 1451년 8월[景泰二年八月日印出]에 인출되었고 인본은 정교하다. 그 인본이 별로 많지 않아서 『고문진보대전(古文眞寶大全)』, 『역대병요(歷代兵要)』 등이 알려져 있다. 조선시대에 같은 제목으로 간행된 판본은 성종 재위기간(1469~1494)에 금속활자로 간행한 을해자본(乙亥字本), 중종 재위...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언론·출판/출판
  • 유성원 태초(太初), 柳誠源
    세종실록』의 편찬에도 참여하였다. 또, 1453년(단종 1) 지평(持平)이 되어, 수양대군이 명나라에 갔을 때 수종한 사람을 가자하고 세종 때 『역대병요(歷代兵要)』와 병서의 찬정(撰定)에 참여한 사람의 가자를 계청(啓請)하였다. 조신이 종친에게 아부하고 종친이 사은(私恩)을 파는 일이므로 명령을 모두 회수하기를...
    시대 :
    조선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집현전의 설치와 기능
    것은 우리나라와 중국의 각종 사서의 편찬과 주해였다. 서적으로는 〈치평요람 治平要覽〉·〈자치통감훈의 資治通鑑訓義〉·〈정관정요주 貞觀政要註〉·〈역대병요 歷代兵要〉·〈고려사〉·〈고려사절요〉·〈태종실록〉·〈세종실록〉 등이 있다. 조선의 정치이념인 유교와 관련하여 유교윤리서인 〈효행록...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조선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역대병요
역대병요(권13) / 태조가 홍건적을 평정한 내용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