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병자자

다른 표기 언어 丙子字

요약 1516년(중종 11)에 명판 〈자치통감 資治通鑑〉을 자본으로 하여 주조한 동활자.

이전에 주조한 동활자가 마멸이 심하거나 유실된 것이 많았으므로 1월에 주자도감을 설치하고 같은 해 5월까지 활자를 주조했는데 이 동안에 만들어진 것을 병자자라고 한다. 1519년에 병자자와 자체가 같은 활자를 주조하여 상용했는데 이것을 그해의 간지를 따서 기묘자라고 하는 사람도 있고, 병자자의 보주자로 보는 사람도 있다. 이 두 활자는 그 구별이 쉽지 않다. 병자자로 찍은 인본으로는 〈역대병요 歷代兵要〉·〈신편대동연주시격 新編大東聯珠詩格〉·〈주자어류대전 朱子語類大全〉·〈문원영화 文苑英華〉·〈당유선생집 唐柳先生集〉·〈우재선생표주숭고문결 迂齋先生標註崇古文訣〉·〈영규율수 瀛奎律髓〉 등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병자자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