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형사소송법, 약식 명령 (관련어 약식 기소) 음란이냐, 예술이냐사례 작가 마공수 씨의《사라의 변명》은 대담한 성 묘사와 파격적인 문체로 출간되자마자 화제 속에 베스트셀러 1위를 기록하였다. 서울지검에 보수적이기로 유명한 최도덕 검사는 우연한 기회에 이 책을 읽고는 마공수 씨를 음란 혐의로 전격 소환, 수사, 기소하였다. 다만 마공수 씨가 유명 인사라는 점을 고려하여 ...
-
-
기소 起訴, Indictment범죄의 시일, 장소 및 방법을 명시하여 사실을 특정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변천과 현황 1954년의 제정 「형사소송법」 이래로 지금까지 약식절차를 포함한 정식기소와 관련된 법적 규율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의의와 평가 「형사소송법」은 검사에 의한 정식기소와 약식기소에 대해서, 「즉결심판에관한...
- 시대 :
- 현대
- 성격 :
- 소송행위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954년 9월 23일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약식재판절차 ・ 즉결심판절차절차가 아닌 약식명령에 의하여 형벌을 정하는 절차를 말한다. 검사는 범죄가 있다고 판단되는 사람을 법원에 기소하는데 비교적 가벼운 범죄에 대해서는 약식으로 기소한다. 이때 법원도 판결 대신 약식명령을 내리게 된다. 통상의 형사재판이 공개된 법정에서 검사와 피고인의 공방을 통해 이루어지는 데 반해, 약식...
-
즉결심판 卽決審判있다. 현재 우리 나라에서 실시하고 있는 즉결심판은 <도로교통법> 위반과 <경범죄처벌법> 위반이 대부분이다. (1) 절 차 일반형사소송절차에서는 검사가 기소를 하는데, 즉결심판에서는 관할경찰서장 또는 관할해양경찰서장이 기소에 해당하는 즉결심판청구를 한다. 따라서, 즉결심판에서도 불고불리(不告不理...
- 시대 :
- 현대
- 성격 :
- 절차, 법률제도
- 유형 :
- 제도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
-
형사고소, 고소인이 알아야 할 몇 가지 진실 홧김에 했다가 큰코다친다구속할지 불구속 상태로 재판받게 할지를 검사가 최종 판단한다는 말이다. 이 단계에서 비교적 가벼운 사건은 법정에 출석하지 않고 서류재판을 하는 약식기소를 할 수도 있고, 그보다 경미한 사건은 기소유예처분을 내리기도 한다. 법원은 검사가 기소한 내용(공소사실)과 증거를 토대로 피고인이 죄가 있는지를 가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