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애가 예레미야 애가, 哀歌
    〈구약성서〉 제3부인 케투빔(성문서)에 속하는 책.|히브리어 성서에서 이 책은 〈룻기〉·〈아가〉·〈전도서〉·〈에스델〉과 나란히 실려 있으며, 그 책들과 함께 메길라(유대교 종교력의 여러 절기에 낭독하는 5개의 두루마리)를 구성한다. 이 책은 제1·2예루살렘 성전 파괴를 기억하는 아브 월 9일에 낭독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애가 哀歌, Book of Lamentations
    애절한 죽음의 슬픔을 노래한 책이다. 히브리어 성서는 애가(哀歌)의 이름을 ‘어떻게’(’eykah, quomodo, 1:1, 2:1, 4:1 참조)라고 부른다. 사랑하던 사람이 죽으면 “아이고 어떻게 된 일이요, 그대가 죽다니” 하고 통곡하는 사람의 첫말을 본 따 지은 서명(書名)이다. 그리스 말 역본(70인역)은 이 책을 Threnoi, ...
  • 비가 (동의어 애가) 悲歌, elegy
    저명인사·친구·연인의 죽음을 애도하는 명상적인 서정시.|애가(哀歌)라고도 한다. 넓은 의미로는 죽을 수밖에 없는 인간의 운명이라는 포괄적인 주제를 다룬 시들을 가리킨다. 고전문학에서 비가는 단순히 비가체 운율(장단단 6보격과 장단단 5보격이 번갈아 나오는 운율)로 지어진 시를 모두 일컫는 말로서 주제도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애가 Book of Lamentations, 哀歌
    가톨릭교회), 또는 예레미야 애가(개신교)는 타나크의 성문서 케투빔의 다섯 두루마리(지혜서)에 포함된 한 권이다. 전통적으로 유대인은 예루살렘 신전의 파괴를 기념하는 단식일 티샤 바브(Tisha B'Av)에 이것을 읽는다. 애가는 도시를 잃은 장송가인 치나(Qinah)의 요소와 시민들의 회복을 간청하는 "통곡"의 요소를 ...
    도서 위키백과
  • 애가 Lamentations, The Book of
    구약성서의 서른한 번째 책인 애가는 기원전 587년 예루살렘의 몰락과 더불어 있었던 유다의 국가적 재앙을 목격한 사람(때로는 예언자 예레미야로 생각되기도 했음)이 쓴 다섯 개의 시로 되어 있다. 이 애가들에는 죄의 고백, 고통과 비참하게 된 시온에 대한 탄식, 마땅히 받아야 할 징벌, 재건해 주시려는 야훼의 항...
  • 히로시마 희생자에 바치는 애가 크시슈토프 펜데레츠키, Threnody for the Victims of Hiroshima
    표현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히로시마에서 희생된 수만 명의 평범한 사람들에게 이 음악을 바치기로 했다. 펜데레츠키는 〈히로시마 희생자에 바치는 애가〉를 통해 특유의 음향 작법을 확립하고, 이어서 〈폴리모르피아〉, 〈형광〉 등을 작곡하며 아방가르드 음악의 선두주자로 부상한다. 〈히로시마 희생자에...
    시대 :
    20세기 이후
    분류 :
    20세기 음악>기악곡
    제작시기 :
    1960년
    작곡가 :
    크시슈토프 펜데레츠키(Krzysztof Penderecki, 1933~)
    초연 :
    1961년 9월 22일 바르샤바, 안제이 마르코프스키 지휘, 크라쿠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헌정 :
    히로시마 원자폭탄 투하로 희생된 사람들
    편성 :
    52대의 현악기(바이올린 24, 비올라 10, 첼로 10, 더블베이스 8)
  • 예레미야의 애가 The Lamentations of Jeremiah the Prophet
    예루살렘 몰락의 슬픔을 음악으로 승화 구약 성서의 한 부분으로 기록된 ‘예레미야 애가’는 이방인의 침략을 받아 몰락한 예루살렘 성전을 향한 슬픔의 노래와 희망의 기도를 담은 노래다. 자존심과도 같았던 성전이 불에 탄 이 날은 이스라엘 민족에게 가장 치욕스러운 날이었다. 양력으로는 한여름에 해당하는 이 날...
    시대 :
    르네상스
    분류 :
    고음악 > 르네상스 음악
    제작시기 :
    1565년
    작곡가 :
    토마스 탈리스(Thomas Tallis, 1505~1585)
  • 렌의 애가 렌의 哀歌
    증보판과 시대상 『렌의 애가』는 『빛나는 지역』(조선창문사, 1933)에 이은 모윤숙의 두 번째 책이다. 초판에서는 산문집으로 명기했으나 평자들은 이를 시집으로 간주하기도 한다. 『렌의 애가』는 초판이 5일만에 매진되는 기염을 토하며 모윤숙이 작가의 입지를 굳히는 데 기여했다. 초판 발매 후 12년이 지난...
    시대 :
    근대
    유형 :
    문헌/도서
    분야 :
    문학/현대문학
  • 블랑셰로크의 죽음을 기리기 위한 애가 프로베르거, Tombeau fait a Paris sur la mort de Monsieur Blancheroche
    친구의 갑작스러운 사고사 이 곡과 관련된 유일한 자료는 빈 프란체스코 수도회의 문서보관소에 보관되어 있다. 이 악보의 한쪽에는 라틴어로 이 곡의 유래와 관련된 설명이 다음과 같이 적혀있다. “파리의 저명한 류트 연주가이자 프로베르거의 친한 친구였던 블랑셰로크는 생 토머스 부인의 집에서 저녁을 마친 후...
    시대 :
    바로크
    분류 :
    고음악 > 바로크, 기악음악 > 기타
    작곡가 :
    요한 야콥 프로베르거(Johann Jacob Froberger, 1616~1667)
  • 노변(爐邊)의 애가(哀歌)
    밤새껏 저 바람 하늘에 높으니 뒷산에 우수수 감나뭇잎 하나도 안 남았겠다. 계절(季節)의 조락(凋落), 잎잎마다 새빨간 정열(情熱)의 피를 마을 아이 다 모여서 무난히 밟겠구나. 시간(時間) 좇아 약속(約束)할 수 없는 오 ― 나의 파종(破鐘)아 울적(鬱寂)의 야공(夜空)을 이대로 묵수(默守)할 것가! 구름이 끝 열규...
    분류 :
    어문 > 시 > 자유시(현대시)
    저작자 :
    오일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현대문학 , 문학
  • 애가
    인근의 인기 명소로 대구 근대역사관, 경상감영 공원, 약령시 한의학박물관 등이 있다. 1km 내 거리의 계산 주교좌 성당, 도보로 15분 거리의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1.4km 거리의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등 여러 유명한 명소에서 가깝다. 정원, 금연실, 무료 Wi-Fi를 갖추고 있다. 정원 전망을 자랑하며 각 객실에는...
    위치 :
    대구광역시 중구 서성로16길 46-4 (북내동)
  • 애가 타다 애간장이 타다
    가 있다. ‘복장’은 가슴의 한복판을 뜻하므로 ‘복장이 탄다’라고 하면 울분 따위로 마음이 몹시 답답하고 괴롭다는 뜻이고, ‘간장이 타다’ 역시 ‘애가 타다’보다 강렬한 표현으로서 큰 불안이나 초조함을 나타낸다. 〈유의어〉 애간장이 타다 보기글 ㆍ아이가 해가 진 뒤에도 돌아오지 않자 어머니는 애가 타서...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7건

애가 타다
렘브란트, 〈예레미야의 애가〉
렌의 애가
〈이카루스를 위한 애가〉, 1898
렌의 애가 / 모윤숙
애가 끊어질 듯하다
연서 문학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렌의 애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