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나크 구약성경 케투빔(Ketubim, 성문서)은 토라(율법서)와 네비엠(예언서)에 이어 타나크 (히브리어 성경)를 구성하는 세 번째 구분 단위의 명칭이다. 히브리어 성경의 영어 번역에서 이 단락은 일반적으로 "Writings"로 표기한다. 케투빔은 성령으로 말미암아 작성되었다고 믿기지만 예언서에 비해 권위가 한 단계 낮...
세계 문학의 걸작으로 꼽힌다. 정경(正經)의 3번째 부분인 '케투빔'(Ketuvim) 또는 '성문서'에 실린 이 책은 저자를 밝히지 않으나, 자기에게 닥친 고통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중심인물의 이름을 따서 '욥기'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BC 6~5세기에 씌어졌으나, 저자는 이스라엘 밖의 산문체 고대 전설을 틀로 삼아 자신의...
에제키엘〉(에스겔), 12개의 소예언서 등 이스라엘 민족을 향해 하느님에게로 돌아오라고 권하는 내용의 후기 예언서로 나누어진다(→ 느비임). ③ 케투빔, 즉 성문서(聖文書):헌신과 사랑을 주제로 한 시·신학·드라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시편〉·〈잠언〉·〈욥기〉·〈아가〉·〈룻기〉·〈애가〉·〈전도서...
하깨〉·〈즈가리야〉·〈말라기〉 등 모두 12권이 들어 있다. 12권이지만 일찍부터 한 두루마리에 기록되어 있었으므로 1권으로 여겼다. 성문서인 케투빔에는 〈시편〉·〈잠언〉·〈욥기〉 등의 시와 지혜, 〈아가〉·〈룻기〉·〈애가〉·〈전도서〉·〈에스델〉의 다섯 두루마리(하메시 메길로트), 이밖에 〈다니엘...
개신교도들과 유대인들에게는 외경으로, 로마 가톨릭교도들에게는 제2정경으로 알려진 부수적인 책들을 덧붙였다. 히브리 정경은 토라·느비임(예언서)·케투빔(성문서)의 3부분으로 나뉘는 데 비해, 70인역은 율법서·역사서·시가서·예언서의 4부분으로 나뉘며 외경들도 적절히 배치되어 있다. 오늘날 서방세계...
유대 정경의 3번째 부분(〈구약성서〉는 크게 율법서·예언서·성문서로 나뉨)인 케투빔[聖文書] 속에 있지만, 그리스도교 정경에서는 예언서에 포함되어 있다. 〈다니엘〉 전반부(1~6)에서는 다니엘과 그의 친구들이 네부카드네자르 2세(바빌로니아 왕), 벨사자르(바빌로니아 마지막 왕), 다리우스 1세(메대 왕...
케투빔(성문서로 알려진 성서 정경의 3번째 부분)에 속한다. 히브리어 성서에서 〈전도서〉는 〈아가〉와 〈애가〉 사이에 있으며, 이 책들과 함께 유대 종교의 여러 절기에 읽혀지는 5개의 두루마리인 메길로트에 속한다. 보통 영역(英譯) 성서는 70인역의 순서를 따라 〈전도서〉를 〈잠언〉과 〈아가〉 사이에 놓는데...
유대교에서는 보통 히브리어 성경을 "타나크" (Tanakh 또는 TaNaKh) 또는 "미크라"(Mikra)라고 부르는데, 타나크는 토라 (율법), 네비임 (예언서), 그리고 케투빔(성문서)의 세 히브리어 이름에서 각각 첫 글자를 따서 지어졌고, 미크라는 히브리 성경이 미쉬나( = "구전 토라")와 달리 "기록된 토라"라는 것을 나타내기...
본문의 전통을 따랐으며, 이는 세파르디 성경 사본의 후기 전승과 일치하는 레닌그라드 사본과 유사하다. 토라 및 네비임은 다른 히브리어 성경과 일치하나, 케투빔의 각권의 순서가 현저하게 다르다. 알레포 사본에서는 케투빔의 순서가 역대기, 시편, 욥기, 잠언, 룻기, 아가, 전도서, 애가, 에스델기, 다니엘서...
입장이지만, 현대 성서학계에서는 실제 문헌 작성 연대를 훨씬 나중으로 이해한다. 토라(모세오경)의 경우에는 주로 유대왕국 후반부터 바빌론 유수기에, 케투빔(성문서)와 느비임(예언서, 선지서)의 경우에는 바빌론 유수기부터 예루살렘 귀환 이후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현재의 히브리성경 내 24권의 모든...
본문의 전통을 따르고 있으며, 이 전통은, 후대의 세파르딕 계열의 성경 사본의 전통과 일치한다. 성경 각권의 배열은, 다른 히브리어 성경 판본과 비교하여 케투빔(성문서) 부분이 현저하게 다른데, 역대기, 시편, 욥기, 잠언, 룻기, 아가, 전도서, 에스델기, 다니엘서, 에즈라-느헤미야기 순으로 되어 있다. 자세한...